소개글
"오버투어리즘 사례와 해결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과잉관광에 관한 고찰
1.1. 과잉관광의 개념과 특징
1.2. 과잉관광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1.3. 과잉관광 대응 사례
1.4. 과잉관광의 해소방안
2. 코로나19와 관광수요의 변화
2.1. 전염병과 관광수요의 상관관계
2.2. 코로나19로 인한 관광산업의 변화
2.3. 코로나19 이후 관광 수요 전망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과잉관광에 관한 고찰
1.1. 과잉관광의 개념과 특징
과잉관광의 개념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과잉관광(overkourismus)은 지역의 관광 수용력을 넘어선 관광객의 유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부작용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부작용으로는 지역의 수용력을 초과하는 과도한 관광객 유입, 이로 인한 지역주민의 기본 생활권 침해, 투어리스티피케이션(touristification) 발생, 관광 강박증 확산, 관광객 유입을 저지하는 지역주민의 시위 등이 있다.
적정 수준의 관광객 수는 관광지의 물리적·경제적·사회문화적 환경을 파괴하지 않고 관광객의 만족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에서 동시에 해당 지역을 방문할 수 있는 최대 인원을 의미한다. 그러나 과잉관광 현상에서는 이러한 적정 수준을 초과한 관광객이 몰려듦으로써 지역사회에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과잉관광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첫째, 관광객의 수가 지역의 관광 수용력을 초과하는 것이다. 둘째, 관광지를 수용할 수 있는 시설(숙박 등)이 부족한 것이다. 셋째, 관광객들의 부적절한 태도와 행동이 문제가 된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과잉관광 부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과잉관광의 개념은 관광객 수가 지역 수용력을 초과함으로써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의미하며, 그 특징은 관광객 증가, 시설 부족, 관광객 행태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1.2. 과잉관광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과잉관광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과잉관광은 지역사회의 환경, 교통, 사회문화, 경제 분야에 걸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먼저 환경적 측면에서는 관광객과 관광 안내책자로 인한 소음 문제, 관광객의 쓰레기 무단 투기, 노상 방뇨 등 청결 문제가 발생한다. 교통 문제로는 무단 주차와 주차장 부족, 관광버스의 불법 주·정차, 도로 교통체증 및 교통사고 위험 등이 있다.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관광객의 사생활 침해, 절도, 폭력, 무단 흡연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인구구조 변화와 주민 간 교류 감소 및 갈등, 지역문화 훼손, 상업문화나 소비문화의 침투로 지역의 가치와 규범이 변화하고 장소정체성이 상실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경제적으로는 지역주민의 편의 업종이 감소하고 관광객 위주의 업종이 증가하는 등 상권 변화가 일어나며, 부동산 및 물가 상승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런 과잉관광의 부작용은 지역공동체 내 여러 이해집단 간 극명한 견해차와 갈등을 유발하며, 공동체가 균열하는 현상으로 이어진다.
1.3. 과잉관광 대응 사례
유명관광지는 관광수용력 초과로 관광지 지역주민의 삶과 생활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과잉관광(오버투어리즘)이 관광 분야의 주요 이슈 중 하나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세계 유명 관광도시들은 과잉관광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탈리아 베네치아는 당일치...
참고 자료
정책연구 2018-01, 오버투어리즘 현상과 대응 방향, 박주영
경향신문. 2017. 바르셀로나 주민들은 왜? 관광버스 타이어 펑크 냈나? 8월 2일.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 (2019년 9월 30일 검색).
박주영, 정광민. 2018. 오버투어리즘 현상과 대응방향.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박주영(2018), 오버 투어리즘 현상과 대응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186
강현수(2019), 도심활성화에 따른 투어리스티피케이션과 정책과제:서울 북촌과 서촌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1-8
안소현(2020), 오버 투어리즘으로 인한 지역공동체 갈등 해결 사례연구:부산 감천문화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1-36
권태일(2020), 전염병 확산에 따른 관광수요 변화와 대응방안-사스와 메르스 사례를 중심으로, 투어고인사이트 제 22호, 1-6
오창균(2020), 코로나19 사태가 지역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향, 대구경북연구원, 1-16
전효재(2015), 전염 질병에 대한 대응 사례, 투어고포커스 제 173호, 1-2
산업경제정보(2015), 메르스 확산이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 제618호, 1-12
이지현(2020), 코로나19의 역설,‘지구는 지금 휴가중’, 이로운넷
서유진 기자(2020), 코로나의 역설, 60년만에 맑아진 베네치아 운하, 중앙일보
김민수 기자(2020), 코로나의 역설, 인간이 멈추자 지구가 건강해졌다, 동아사이언스
김다영의 똑똑한 여행 트렌드(2020), 세계의 여행은 오버 투어리즘에서 언더 투어리즘으로
www.cnn.com
TRIPADVIOR.CO.KR
엠브레인 www.panel.co.kr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부산광역시 사하구청 www.saha.go.kr
감천문화마을 블로그, www.frog30000.tistory.com/9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