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세 수도원 경제적 발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중세 기독교와 교육
1.1. 기독교의 지배와 교회부설 학교
1.2. 수도원 교육
1.3. 스콜라철학
2. 봉건제도와 기사교육
3. 시민교육의 발달
3.1. 암흑시대의 종결과 도시의 발달
3.2. 시민교육의 발달
3.3. 도제교육제도
4. 중세 대학의 성립과 발전
4.1. 중세 대학의 성립 배경
4.2. 볼로냐 대학과 파리 대학
4.3. 7자유교과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중세 기독교와 교육
1.1. 기독교의 지배와 교회부설 학교
기독교의 지배와 교회부설 학교는 유럽의 중세 사회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로마제국이 멸망한 이후 혼란의 시기가 계속되자 안정된 삶과 학문, 예술의 발전을 기대하기 어려웠지만, 로마인이 구축했던 교회조직은 여전히 건재하여 침략자들을 기독교도로 개종하는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했다. 그 결과 중세사회는 점차 기독교적 세계관과 인생관에 지배되는 사회로 변화했다.
로마제국이 기독교를 수용하고 국교로 공인한 이후, 4세기까지는 관념과 풍속들이 기독교 정신과 맞지 않았다. 그러나 이후 성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은 교부 철학자들이 문법과 수사학 공부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세속 학문과 기독교의 통합을 시도했다. 5세기경에는 야만족들의 침공과 기독교인의 학교교육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529년 동로마의 유스티니아누스황제가 비기독교 학교에 대한 폐쇄령을 내림으로써 플라톤의 아카데미 같은 세속 학문을 연구하던 학교들이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로마제국 시절에 국가와 지방도시가 세워서 운영하던 공공학교가 사라지자 학교를 세우고 운영하는 일을 점차 교회가 떠맡게 되었다. 이는 시일이 지남에 따라 세속적 학문을 가르치지 않고는 교회의 일도 제대로 할 수 없다는 것을 차츰 깨달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각국의 왕들도 국가가 번영하기 위해서는 학문을 권장하고 국민을 교육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과거 로마 황제들이 그랬던 것처럼 교육을 장려하기 위해 노력했다. 결과적으로 중세 교회부설 학교에서 교육받은 사람들의 모습은 교양을 갖춘 실무자가 아닌 교육받은 성직자의 모습으로 변모했다.
1.2. 수도원 교육
수도원 교육은 중세 교육의 중심이었다. 기독교가 지배하던 중세 사회에서 수도원은 신앙의 실천과 함께 학문적 전통을 보존하고 교육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였다. 수도원 교육에는 다양한 특징이 있었는데, 첫째, 수도원 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은 다양한 인품과 자질, 능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수도원의 교육 형식도 매우 다양하였다. 그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529년 베네딕트 수도회의 규칙이었다. 베네딕트는 수도원 생활 규칙인 73개조를 제정하여 수도원 교육의 기본 틀을 마련하였다.
둘째, 수도원 학교의 교육내용은 초급과정과 고급과정으로 나뉘었다. 초급과정에서는 전통적인 학교교육이 이루어졌으며, 고급과정에서는 신학, 교회법, 교부학 등의 교육이 제공되었다. 수도원 학교는 중세 초기 암흑기에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학문적 전통을 보존하여 후대에 전해줌으로써 큰 공헌을 하였다.
셋째, 수도원은 기독교 정신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면서도 교회조직과는 다른 경로로 발달해 왔다. 수도원의 근본정신은 육체적, 현세적 향락을 거부하고 경건한 신앙 속에서 영적인 안정과 영혼의 구원을 얻으려는 것이었기 때문에 금욕주의적이고 내세 지향적이었다. 이러한 수도원 교육은 중세 교육의 중심이 되어 성직자 양성의 주요 통로가 되었다.
1.3. 스콜라철학
스콜라철학은 기독교 신앙을 이성에 의해 지지하려는 목적으로 기독교 교리를 이성적, 논리적으로 설명하려는 철학적 방법이었다. 초기 기독교회는 믿음에 기반한 교회의 권위에 순종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사라센제국의 팽창과 이슬람 세력과의 접촉, 십자군 원정의 실패 등으로 인해 교리에 대한 의심과 이성적 의문이 자라나면서 11세기 이후부터...
참고 자료
최형걸. 중세교회사. 서울: 도서출판 이레서원, 2000.
칼 수소 프랑크. 기독교 수도원의 역사. 최형걸 역. 서울: 도서출판은성, 1997.
위키디피아
윌리엄 보이드 (2008)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빌헬름 딜타이(2012).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교육. 지만지(지식을 만드는 지식)출판사
이석우 (1997) 「서양 중세 대학의 형성과 전개 : 내적 동인과 외부 세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양사론 제53호, 한국서양사학회
이주한(2007), 교육의 역사와 철학의 탐구, 창지사
차주호(1998), “중세 기독교교육의 고찰과 칼빈주의 교육의 필요성”, 고신대학교
박정원(2014), “로마서의 기독교교육구조에 기초한 복음교육목회”, 장로회신학대학교
「Medieval University」: https://en.wikipedia.org/wiki/Medieval_university
「The University from the 12th to the 20th century — University of Bologna」: http://www.unibo.it/en/university/who-we-are/our-history/university-from-12th-to-20th-century
「University of Bologna」: https://en.wikipedia.org/wiki/University_of_Bologna
「University of Paris」: https://en.wikipedia.org/wiki/University_of_Paris
김중기, “중세 대학의 기원에 관한 고찰.” pp. 189–226, 2000.
K. Georgedes, “Religion , Education and the Role of Government in Medieval University,” pp. 73–96, 1999.
L. Curtis Musgrave, “Medieval university life.” History today, pp. 120–127, 1972.
P. Abelson, “The Seven Liberal Arts, A study in medieval culture.” 1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