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검체채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최초 생성일 2024.11.08
6,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미생물검체채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병원 내 검체 관리
1.1. 혈액 Sample Bottle
1.2. Stool Sample Bottle
1.3. Urine Sample Bottle
1.4. Sputum Sample Bottle
1.5. Body Fluid

2. 기생충학 및 미생물 진단
2.1. 인체감염 기생충학
2.1.1. 원생동물
2.1.2. 후생동물
2.2. 미생물의 진단을 위한 검체관리
2.2.1. 미생물 검사실의 기능
2.2.2. 검체의 선택
2.2.3. 검체 채취시기
2.2.4. 검체의 채취방법
2.2.5. 검체의 취급

3. 혈액배양검사
3.1. 목적
3.2. 검사 방법
3.3. 혈액배양검사 결과 해석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병원 내 검체 관리
1.1. 혈액 Sample Bottle

병원 내 검체 관리에서 '혈액 Sample Bottle'은 다양한 검사 항목에 따라 각기 다른 용기를 사용하게 된다. 빨강색 용기는 SERUM 검사를 위해 사용되며, 보라색 용기는 CBC(Complete Blood Count) 검사를 위한 EDTA 처리된 혈액을 담는다. 파랑색 용기는 PT(Prothrombin Time)/PTT(Partial Thromboplastin Time) 검사를, 노랑색 용기는 간기능 검사(LFT)를, 회색 용기는 Glucose 검사를 위해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초록색 용기는 동맥혈가스분석(ABGA, VBGA)을 위한 혈액 채취에 사용된다. 이때 채혈 순서는 파란색, 노란색, 빨간색, 초록색, 보라색, 회색 순으로 담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다양한 색상의 용기와 검사 항목별 채혈 순서를 숙지하는 것이 병원 내 검체 관리에 있어 필수적이다.


1.2. Stool Sample Bottle

주황색 Stool Sample Bottle은 OB검사를 제외한 모든 Stool 검사에 사용된다. 검정색 Stool Sample Bottle은 OB(정성) 검사를 위해 원내에서 사용되며, 초록봉투 스틱은 OB(정량) 검사를 위해 외주검사에 사용된다.

Stool 검체는 질병을 유발하는 병원성 미생물을 확인하기 위해 채취된다. 대표적인 검사로는 구토, 설사, 혈변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의 대변에서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있다. 이를 통해 병원체를 신속하게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Stool 검체 채취 시에는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무균적인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검체는 분변이 가장 많이 배출되는 시간에 채취하며, 채취 후에는 즉시 검사실로 이송되어야 한다. 검체 용기는 밀폐되어 있어야 하며, 검체 채취 시간과 부위 등의 정보가 기록되어야 한다.

이처럼 Stool Sample Bottle은 환자의 대변 검체를 안전하게 수집하고 신속한 검사를 가능하게 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1.3. Urine Sample Bottle


회색 : Urine Culture & Sensitivity
흰색 컵 : 일반 U/A
24H urine : 검사항목에 따라 보존제 미리 넣고 24시간동안 냉장보관하면서 채취한다. 지정된 시간에 소변 보게 하고 그 시간 소변은 버리고 이후 소변부터 전부 모으고 그 다음날 지정 시간에는 소변 마렵지 않아도 완전히 방광 비워 용기에 담고 대변 볼 때 나오는 소변도 모두 받는다. 100ml이상 검체 유실 시 새로 검체 모은다. 모은 소변검체를 잘 혼합하여 Conical tube에 채취하고 총뇨랑 기재 필수!이다.


1.4. Sputum Sample Bottle


객담 검체 병은 결핵균 및 미생물 검사를 위해 사용된다. 객담 검체는 ①Xpert MTB/RIF, ②M.tuberculosis PCR, ③N-GY, ④AFB culture&sensitivity(고체,액체)AFB stain, Gram stain과 같은 다양한 검사에 사용된다. 이 중 ①Xpert MTB/RIF, ②M.tuberculosis PCR, ③N-GY는 객담통 단독으로 채취하며, ④AFB culture&sensitivity(고체,액체)AFB stain, Gram stain은 하나의 객담통으로 검사가 가능하다. 따라서 객담 검체 채취 시 검사 항목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대상자에게 지시하고 채취해야 한다...


참고 자료

간호미생물학 / 박서현 외 공저 / 수문사
알엔지야TV https://www.youtube.com/watch?v=inGoo9ybsR0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labtestsonline.kr/tests/bloodculture
https://nedrug.mfds.go.kr/bbs/18/1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