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성검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다면적 인성검사의 해석 절차
1.1. 서론
1.2. 다면적 인성검사의 해석 절차
1.2.1. 피검자의 검사 태도 검토
1.2.2. 척도별 점수 검토
1.2.3. 척도 간 연관성 분석
1.2.4. 척도 간 응집 혹은 분산을 찾아 해석적 가설 수립
1.2.5. 낮은 임상 척도 검토
1.2.6. 형태적 분석
1.2.7. 전체 프로파일 형태 분석
1.3. 결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다면적 인성검사의 해석 절차
1.1. 서론
다면적 인성검사라고 하는 것은 개인의 성격과 정서 그리고 적응 수준에 대해서 다차원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개발이 된 것이며, 자기보고 형 성향 검사라고 말할 수 있다. 투사 검사와 비교하면 체계적인 해석의 절차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는 매우 객관적인 성격검사라고 말할 수 있다. 이를 우리는 MMPI라고 부르고 있으며, 해당 MMPI에는 여러 가지 종류들이 있다. 먼저, MMPI-2라고 하는 것은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라 말할 수 있으며, 문제는 총 567문항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 MMPI-A라고 하는 그것은 만 13세에서 18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검사로 총문항수는 338문항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다음 MMPI-RF라고 하는 것은 정신병리를 위해서 위계적인 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명료한 해석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개발이 되어 있는 검사라고 할 수 있으며, 성인용의 경우에는 MMPI-S-RF 그리고 청소년의 경우에는 MMPI-A-RF라고 말할 수 있다. 이는 사람들의 성격과 정신병리에 대해서 표준화가 되어 있는 심리측정 도구라고 할 수 있으며, 심리학자들과 정신 건강의료인들이 매우 다양한 버전의 MMPI를 사용하고 있으며, 치료 계획을 구성하는 데에도 이를 통해서 지원과 활용을 하는 성격검사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론에서는 다면적 인성 검사의 해석 절차에 관해서 서술하고자 한다.
1.2. 다면적 인성검사의 해석 절차
1.2.1. 피검자의 검사 태도 검토
피검자의 검사 태도 검토는 다면적 인성 검사에서 매우 중요한 절차이다. 해석할 때, 피검자의 검사에 대한 태도와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검사 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피검자의 검사 태도 검토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포함된다. 첫째, 검사 소요 시간을...
참고 자료
심리진단 및 평가 교안
한수정, 임상심리학 (심리학적 검사해석과 면담기법 및 심리치료를 위한 임상심리학 전문도서), 2012, 서울대학교출판문환
김갑숙, 심리진단 및 평가, 2019, 학지사
최영주, 장혜정, 심리재활현장에서의 심리진단 및 평가, 2017, 시그마프레스(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