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of Newborn, RDS)
1.1.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의 정의 및 원인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폐의 발달이 미숙하여, 출생 직후 폐가 지속적으로 팽창하지 못하고 찌그러들어 출생 후 진행성 호흡부전이 생기는 질병이다. 미숙아는 폐가 작고, 폐를 팽창하게 하는 물질인 폐 표면활성제(계면활성제)의 생산과 분비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신생아기 호흡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이고 이로 인해 신생아 특히, 미숙아 사망의 주된 원인으로서, 오늘날 신생아 집중치료(NICU)의 범위중 가장 주된 질병이다.
재태기간 37주 미만의 미숙아는 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이 발생할 수 있다. 미숙아는 전신적으로 각 장기의 발달이 미숙하여 폐 발달도 미숙하다. 이는 폐포 확장을 유지할 만큼의 충분한 계면활성제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다. 미숙아는 폐가 아직 발달하지 않은 상태로 태어났기 때문에 폐포의 크기가 작다. 폐포가 공기로 차고 찌그러지지 않도록 하는 물질인 폐 표면활성제가 있어야만 폐포의 모양을 유지하고 호흡할 공간이 생긴다. 미숙아는 아직 폐 표면활성제를 충분히 만들어 내지 못하여 폐포가 자꾸 찌그러지고 호흡할 공간이 없어진다. 이로인해 호흡 곤란이 심해져 이 질병이 발생한다.
또한 RDS를 잘 초래하는 요인에는 미숙아 자체, 남아, 백인, 제왕절개술 분만아, 태아-신생아 가사(asphyxia), 당뇨병 산모에게서 출생한 아이(infant of diabetic mother), 다태아에서 2번째 이후 출생하는 아이, 과거 RDS 분만력, 태반 조기박리, Rh 부적합증 등인 경우는 RDS의 빈도가 높다.
1.2.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의 병태생리
RDS를 가진 미숙아는 폐의 순응도가 낮게 나타나 일반적으로 기계적 환기와 산소공급이 필요하다. 폐 표면활성제의 부족으로 폐포가 동일하게 확장되지 못하고, 허탈되는 무기폐가 발생한다. 무기폐는 환기의 저하를 초래하여 저산소혈증을 야기한다. 저산소혈증이 지속되면 무산소 당분해가 활성화되고, 다량의 젖산이 생성되어 대사성산증을 초래한다. 또한, 무기폐성 폐는 과다한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배출하지 못해 호흡성 산증을 일으킨다. 즉, 폐 표면활성제 부족→무기폐→저산소증, 고탄산혈증→대사성 산증→산혈증의 병태생리가 나타나게 된다.""
1.3.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의 진단
1.3.1. 산전 진단
산전 진단은 임신 중 양수 검사를 통해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의 발생 위험을 예측할 수 있다.
레시틴(Lecithin)과 스핑고마이엘린(Sphingomyelin) 비율이 2:1 이상이면 자발 호흡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임신 35주 이상에서 이 비율이 2.0 이상이면 폐 성숙도가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반면 1.5 미만이면 호흡곤란 증후군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양수를 이용한 Shake 검사와 Stable microbubble rating 검사를 통해 폐 표면활성제의 성숙도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Shake 검사에서 거품이 생기면 폐 표면활성제가 있다는 뜻이며, Stable microbubble rating 검사에서 microbubble이 weak나 zero로 나타나면 RDS의 빈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산전 진단을 통해 RDS 발생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고 관리할 수 있으므로, 고위험군 신생아에게 적절한 치료와 간호 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1.3.2. 출생 후 진단
출생 후 진단은 병력, 아기의 진찰 소견, 특징적인 방사선 사진 소견, 혈액 검사, 위나 기관지에 들어 있는 양수를 이용한 검사 등으로 이루어진다.
임상 양상으로는 급성기에 호흡곤란, 청색증, 빈호흡, 함몰 호흡, 호기시 신음, 청색증이 있고, 정상 혹은 감소된 호흡음, 초기 대사성 산증에서 나중에 호흡성 혹은 혼합형 산증이 생긴다. 동맥관 개존증에 의한 폐부종이 생길 수 있다. 전신 부종, 장관 마비, 핍뇨 등이 생긴다.
급성 합병증으로는 저혈압, air leak에 의해 폐기종, 기흉, 폐간질성 기종, 동맥관 개존증, 뇌실내출혈, 산염기 대사 이상이고, 만성으로는 기관지 폐이형성증과 같은 만성 폐질환이 생길 수 있다.
Cotton의 RDS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미숙아(자궁내 발육부전이 없는), 호흡관리의 다른 원인 없음, 처음 24시간내에 PaO₂를 60mmHg 이상 유지하기 위하여 FiO₂가 0.3이상 필요하고 생후 60시간에 distending airway pressure가, 70시간에 CPAP 이상의 인공환기요법이 필요시, 최고 FiO₂가 0.4 이상 필요시, X-선상 diffuse, very fine granular or reticular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