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필요성
저나트륨혈증은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전해질 불균형으로 신경계 증상을 유발한다. 또한 급속히 저나트륨혈증을 교정하면 치명적인 부작용이 유발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저나트륨혈증의 환자의 치료 속도를 비롯한 신경학적 임상 양상에 대한 다양한 보고와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저나륨혈증 환자의 임상상 및 경과는 저나트륨혈증의 발생 속도, 기저질환, 치료 방법, 환자의 수분조절상태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일괄적으로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저나트륨혈증 환자 관리에 있어서 상황에 적절한 약물치료와 간호를 적용하고 환자를 교육할 수 있도록 본 간호사례연구를 통해 저나트륨혈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며, 대상자에게 가장 적합한 간호과정을 적용하기 위해 대상자를 선택하여 조사 및 연구를 하게 되었다.
1.2. 대상 및 방법
ㅇㅇ대학교병원 ㅇㅇ에 입원하신 김○○님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22년 3월 14일부터 2022년 3월 25일까지 대상자를 직접관찰하고, 간호정보조사지, 검사결과, 문헌고찰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기록하여 본 연구를 수행했다.
2. 문헌고찰
2.1. 정의
혈액의 정상 나트륨 농도는 1L당 135mEq/L - 145mEq/L 정도이다. 저나트륨혈증은 혈액 중 나트륨이 부족하여 135mEq/L 미만인 경우를 저나트륨혈증이라고 한다. 대부분 저나트륨혈증은 혈액의 삼투질 농도를 낮추는 저장성의 형태 (저혈량성 저나트륨혈증)이나, 드물게 울혈심장기능상실, 복수를 동반한 간질환(복강내 비정상적인 체액축적) 및 만성콩팥기능상실(신부전)로 인해 과도한 수분정체로 인한 과혈량증(hypervolemia)과 저나트륨혈증이 동반되는 고혈량성 저나트륨 혈증이 되기도 한다.
2.2. 병태생리
병태생리는 저나트륨혈증의 유형과 그에 따른 신체 내 총 수분량과 총 나트륨량 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저나트륨혈증의 유형은 주로 체액량의 상태와 관련이 있으며, 크게 저혈량성 저나트륨혈증, 고혈량성 저나트륨혈증, 정상혈량 저나트륨혈증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저혈량성 저나트륨혈증의 경우 나트륨의 손실이 수분 손실보다 많은 경우이다. 신체 내 총 수분량이 감소하고 총 나트륨량도 매우 감소한다.
고혈량성 저나트륨혈증은 신체 내 총 수분량이 매우 증가하고 총 나트륨량은 증가하거나 정상인 경우이다. 이는 신부전, 울혈성 심부전, 간경화증 등과 같은 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다.
정상혈량 저나트륨혈증은 신체 내 수분량이 약간 증가했는데 나트륨은 정상인 경우이다. 항이뇨호르몬 분비 이상 증후군(SIADH)에서 주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나트륨은 세포외액에 분포하는데, 세포외액의 나트륨 농도가 낮아지면 세포외액과 내액 사이의 나트륨 농도 차이가 줄어든다. 이에 따라 수분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수분이 세포 내로 이동한다. 이러한 삼투질 농도로 인한 수분 이동은 나트륨 부족을 초래할 수 있다.
감소된 나트륨에 대한 조직의 반응은 다양한데, 가장 민감한 세포는 중추신경계 세포이다. 뇌세포는 뇌혈류량을 줄이고 뇌척수액을 이동하며 뇌의 세포 내 삼투질 농도를 줄임으로써 보상작용을 하려고 시도한다.
저나트륨혈증이 지속되면 세포외액량 손실로 인해 쇼크가 생길 수 있고, 심한 저나트륨혈증 상태는 신경계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고혈량 저나트륨혈증 상태가 지속되면 세포외액량 과다를 초래한다.저나트륨혈증의 원인은 다양하며, 나트륨 배설 증가, 나트륨 섭취 부족, 혈청 나트륨 희석 등의 기전으로 발생할 수 있다.
나트륨 배설 증가의 원인으로는 이뇨제 사용, 과도한 발한, 알도스테론 분비 저하, 콩팥질환, 위장관 상실(구토, 설사 등), 신경계 질환 등이 있다.
나트륨 섭취 부족은 금식, 저염식이, SIADH, 통증 및 심리상태 변화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혈청 나트륨 희석은 울혈성 심부전, 간경화증, 신증후군 등 부종성 질환과 급·만성 신부전에서 나타날 수 있다.
이처럼 저나트륨혈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체액량 상태와 나트륨 농도 변화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난다.
2.3. 증상
저나트륨혈증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저나트륨혈증의 임상증상은 원인, 중증도 및 진행 속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혈청 내 나트륨량이 115mEq/L 보다 낮으면 심한 신경계 변화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