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간호학 향상을 위한 IOT기술의 활용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4차 산업혁명과 노인복지
1.1. 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특징
1.2. 4차 산업혁명과 노인복지의 관계
1.3. 4차 산업혁명시대에 노인복지 영역의 적용영역
1.3.1. 스마트 홈(Smart Home)
1.3.2. 간호 로봇
1.3.3. 잡 매칭(Job-Matching)
2. U-헬스케어(U-Health Care)의 정의와 사례 연구
2.1. U-헬스케어(U-Health Care)의 정의
2.2. U-헬스케어(U-Health Care)의 방법
2.3. U-헬스케어(U-Health Care)의 도입으로 기대되는 긍정적 영향
2.4. U-헬스케어(U-Health Care) 사례 연구
2.4.1. 지역사회
2.4.2. 병원
2.4.3. 개인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4차 산업혁명과 노인복지
1.1. 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특징
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2016년 1월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에서 산업혁명을 4단계로 구분하였고, 제4차 산업혁명은 제3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AI), 사물 인터넷(IoT), 빅데이터 등의 디지털 기술이 바이오산업, 물리학 등의 경계를 허무는 융합의 기술이라고 정의하였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은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모바일 등이며 이를 통해 모든 사물이 지능적으로 연결되어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이전 산업혁명과의 차이점은 생산방식의 변화이다. 이전의 산업혁명들은 인간이 수동적으로 조작을 해주어야 했지만,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AI)에 의해 능동적으로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그동안의 산업혁명이 물리적 공간과 사이버 공간의 발전으로 각각 나뉘어 발전했다면, 4차 산업혁명은 두 공간이 융합하여 조금 더 인간과 친화적이고 지능화된 사회로 발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은 기존의 생산방식과 산업구조를 바꾸어 놓으며, 디지털 기술의 발전을 통해 사회 전반에 걸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1.2. 4차 산업혁명과 노인복지의 관계
4차 산업혁명과 노인복지의 관계는 밀접하다. 노인복지정책은 노인들의 만족도와 사회적 공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노인세대의 소득, 건강, 고용, 주거, 여가 등 다양한 욕구와 관심을 4차 산업기술인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하여 분석하면, 노인의 정서적, 신체적, 사회적 욕구에 동시에 대응할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노인복지서비스에 4차 산업기술을 접목하면 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함께 노인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 초고령 사회를 맞이한 한국은 노인의 욕구와 필요에 맞는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발굴하고 적용하기 위해 4차 산업기술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1.3. 4차 산업혁명시대에 노인복지 영역의 적용영역
1.3.1. 스마트 홈(Smart Home)
4차 산업혁명시대에 노인복지 영역의 적용영역 중 하나인 스마트 홈(Smart Home)은 4차 산업기술이 융합된 시스템으로, 노인시설의 노인 부상이나 직원의 학대 등의 부정적 사례를 줄일 수 있다. 스마트 기기를 노인에게 입히거나 착용하여 노인의 건강상태와 오물처리 등을 실시간으로 점검하도록 할 수 있다. 재가 서비스와 입주의 시설 서비스에서 사물인터넷을 통해 노인과 주택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빅데이터화하여 인공지능(AI)등을 통해 위급상황에 기관과 지역사회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진단 시스템으로 질병의 선제적인 예방과 정밀한 진단과 치료로 의료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즉, 스마트 홈과 같은 4차 산업기술을 이용하여 노인복지정책의 전달체계의 확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1.3.2. 간호 로봇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보건의료 기술 발전 영역은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 바이오 3D 프린팅 기술, 그리고 로봇 기술이다. 전 세계적으로 인구 구조 변화와 고령 인구 증가로 인해 부양 인구가 증가하지만 이를 부양할 인구가 부족하며, 로봇 기술을 비롯한 기술 발전이 이에 대한 해결책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일본은 로봇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노인의 일상생활을 돕는다. 간호 로봇이나 이동 보조, 말동무와 놀이를 함께 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4차 산업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애완용 로봇이 노인의 우울감과 외로움, 기분, 스트레스 개선에 효과가 있고 사회적인 의사소통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기능이 저하된 노인을 대상으로 치료적 애완용 로봇, 엔터테인먼트 로봇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인지 기능의 저하를 늦추고 일상생활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 로봇은 낙상 및 기타 부상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알람 기능은 노인들이 언제 식사를 하거나 약을 복용할 것인지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된다. 2012년 국내 처음으로 노인 간호 보조 로봇을 노인요양병원에 배치해 본 우리나라는 2014년에 '창조경제산업 엔진창출전략'의 13대 과제에 국민안전, 건강로봇이 포함 되었으며, 제2차 지능형 로봇기본계획(2014~2018)을 수립하여 추진하였다.
...
참고 자료
고영삼,‘고령화 문제의 해결법으로서 디지털 에이징 정책에 대한 탐색적 연구’,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 Nov; 14(11): 115-123
고인순,‘파로(PARO) 로봇 중재가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정서, 사회적 상호 작용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김선정, 김연선, 김지훈, 이정화, 장경은,‘4차 산업혁명 대비 보건의료 산업 분야종사자를 위한 융합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한국융합학회논문지, 9(5), 43-52.
박정현, ‘초고령 사회에 대비한 한국 노인복지정책의 방향에 관한 연구: 4차 산업을 중심으로’, 대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송정희, ‘치매 노인에 대한 동물 로봇(robot pet) 매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9(4), 562-573.
오진환, 이여진, 신철진, 박천수, 강상승, 김재홍, 김인숙,‘실버케어로봇 프로 그램이 시설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 간호학회지, 45(3), 388-396.
임난영, 강현숙, 박영숙, 안동현, 오진환, 송정희,‘동물 로봇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기분 상태, 문제행동 및 반응의 변화.’, 기본 간호학회지, 16(2), 223-231
클라우스슈밥,클라우스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더 넥스트,새로운현재, 2018
홍은민,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케어 로봇에 대한 인식’, 이화여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김명남, 박희준, 권기룡. (2009). u-헬스케어 서비스의 동향.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13(2), 1-3
주지홍. (2017). 사물인터넷(IoT) 헬스케어 서비스 법제도 개선 방향. 강원법학, 50(), 805-810
김진숙, 오수현, 김석영. (2015). 원격의료 정책 현황 분석 연구, 의료정책연구소 연구 보고서, 33-35
이상우, 여창민, 이효석, 조윤아. (2020). 2021년 글로벌 의료기기 규제대응 전략 보고서. 한국의료기기안정정보원, 27-29
국경완. (2018). 원격의료서비스 기술 동향 및 시장 전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6-9
周成載 (1999).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원격의료 활용방안. 국토, 32-35
이정선, 이민정 (2014). 일반의료서비스와 전화를 이용한 원격의료서비의 비교.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2), 143-144
박병돈, 유동균, 정희경. (2017). 유헬스케어 기반의 위험상황 알림 시스템.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1(1), 193-198.
방제일, “서울 강서구. 치매 예방 사업도 으뜸”, , 2021.04.04 접속
http://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697
전준상, “2021년까지 '5G' AI기반 응급의료시스템 구축에 231억원 투입”, <연합뉴스>, 2021.04.04 접속 https://www.yna.co.kr/view/AKR20190603046800017
김찬혁, “강남성심병원, 원격의료시스템 통해 몽골환자 진료”, <청년의사>, 2021.04.04 접속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00267
주재용, “언택트 솔루션, 로봇의 진화…치매예방로봇 사용화 임박”, <머니투데이방송>, 2021.04.04 접속 https://news.mtn.co.kr/v/2020081416550110389
강애란, “[코로나19 원격의료] ① 감염병 재난에 첫 시행…'서울-지방' 진료격차 없었다”, <연합뉴스>, 2021.04.04 접속 https://www.yna.co.kr/view/AKR20200312179200017
박성은, “국내서도 원격진료 지원 ‘플랫폼 버시브’ 출시”, <데일리메디>, 2021.04.04 접속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53534
박선혜, “당 관리에 유용한 '당뇨병 앱'…왜 개원가 활용 어렵나?”, <메디컬옵저버>, 2021.04.04 접속 https://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9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