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이효석 작가와 「메밀꽃 필 무렵」
1.1. 이효석 작가 소개
이효석(李孝石, 1907년 2월 23일 ∼ 1942년 5월 25일)은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대한민국의 작가이다. 호는 가산(可山)이며, 본관은 전주 이씨 안원대군파이다. 김동리는 그의 작풍에 대해 '소설을 배반한 소설가'라는 평을 내렸는데, 이는 소설의 분위기를 잡는 데 뛰어났다는 의미이다. 이는 그의 작품 중 「메밀꽃 필 무렵」에 잘 나타나고 있다.
이효석은 1907년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하진부리에서 한성사범학교 출신으로 교직에 있었던 부친 이시후와 성결교단 집사였던 모친 강홍경 사이에서 1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지금의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문학과에서 영문학을 전공했다.
작품 활동 초기에는 사회주의 운동에 동조하는 경향의 작품을 펴냈으나, 대학 재학 시절 순수문학의 길을 걸었고, 향토색이 짙은 작품을 다수 발표했다. 다만 의무 교육 상에서 다루어지는 이효석은 주로 「메밀꽃 필 무렵」과 같은 향토색 짙은 작품을 낸 작가로 강조되고 있다.
1933년 8월부터 순수문학단체인 '구인회'의 창립 멤버로 참여하여 활동하였으나 오래지 않아 탈퇴하였고, 1936년 평양 숭실전문학교, 대동공업전문학교 교수로 부임했다. 1936년에는 걸작 「메밀꽃 필 무렵」을 발표하는 등, 교직에 있으면서도 작품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2차대전 와중에는 생활고에 시달렸고 병에 걸린 자신의 아내와 차남을 살리고자 부득이하게 친일행적을 하였다. 아내와 차남은 안타깝게도 1940년 연이어 세상을 떠나고 만다. 이효석 역시 병마로 고생하다가 1942년 5월 25일 한창 나이인 35살에 결핵성 뇌수막염으로 사망했다.
그의 저작 활동은 100편에 가까운 단편에 집중되어 있으나, 장편소설, 수필, 평론, 희곡 · 시나리오, 번역 등 다방면에서 작품을 발표하였다. 단편집 기준으로 그의 대표작은 「향수」, 「메밀꽃 필 무렵」, 「화분」 등이 있다. 장편으로는 『화분(花粉)』, 『벽공무한(碧空無限)』 등이 있다.
1.2. 「메밀꽃 필 무렵」 작품 분석
1.2.1. 「메밀꽃 필 무렵」 발표 당시 문학사
「메밀꽃 필 무렵」이 발표되던 1930년대는 일제의 민족분열통치 시기로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변절하는 일부 작가들이 나오기 시작했다.""초창기에는 소규모 동인지를 통해 명맥을 이어 왔으며 1935년 이후 신문 소설이 유행하기 시작했다.""1933년 결성된 구인회와 해외에 살던 해외문학파가 중심이 되어 모더니즘 문학이 퍼지기 시작했다.""반면, 1935년 카프가 해체되는 등 당파적인 프롤레타리아 문학은 쇠퇴기에 접어들었다.""모더니즘에 따라 농촌 소설, 휴머니즘 소설 등 다양한 주제의 작품이 나왔으며, 장르소설 중에서는 역사소설, 애정소설, 추리소설 등이 나타났다.""이중 역사소설이 가장 인기를 끌었다.""30년대 소설 표제에는 기괴, 환상, 농촌, 농민, 역사, 애정, 엽기 탐정, 대중, 시대, 모험, 유머 등 장르나 소재에 따른 태그가 붙어 있기도 했다.""대중 소설의 유행에 따라, 문단 소설과 장르소설의 경계가 허물어져 가던 시기이기도 하다.""염상섭,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김동리, 김동인, 박종화, 이광수, 이태준, 심훈, 현진건 등의 소설가가 활동했다.""장르소설계에서도 여러 작가들이 등장했는데, 애정소설계에서는 김말봉, 역사소설에서는 이광수, 김동인, 윤백남, 박종화, 홍명희, 이태준, 박태원, 현진건, 국내 추리소설의 아버지라 할 수 있는 김내성 등이 존재한다.""
1.2.2. 등장인물과 줄거리
허생원은 평생 장돌뱅이로 살아온 인물로, 못난 얼굴과 가난, 소심한 성격 때문에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