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임신지식 부족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2. 목적 및 범위
2. 이론적 배경
2.1. 모자보건사업의 정의와 개념
2.2. 모자보건사업의 범위와 중요성
2.3. 지역사회 모자보건사업 현황
3. 사례연구
3.1. 대상자 개인 및 가족 상황
3.2. 건강상태 사정
3.3. 건강문제 우선순위 선정
3.4. 간호진단 및 목표 설정
3.5. 간호중재 계획 및 평가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통계표명 : 결혼이민자 현황(연도별·성별·지역별·국적별)에서 알 수 있듯이, 결혼이민자는 우리나라에 체류하는 외국인 중 국민의 배우자 체류자격을 가진 외국인을 이르는 말이다. 이러한 결혼이민자의 현황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07년과 가장 최근의 통계인 2015년에 드러나 있는 결혼이민자의 합계가 계속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4만 명 이상이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02년 이후 매년 28%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던 결혼이민자는 최근 국제결혼 건전화를 위한 결혼이민 사증발급심사강화 및 국제결혼 안내프로그램 이수 의무화조치 등으로 인하여 최근 3년간 평균 증가율은 0.7%에 그쳤지만, 계속해서 결혼이민자는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게 결혼이민자에 대한 통계를 내는 것도 국제결혼이 증가함에 따라 결혼이민자 및 그 가족에 대한 외국인 정책수립 및 평가 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현재 다문화 가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고, 결혼이민자의 증가에 따라 이들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결혼이민자에 대한 연구를 해볼 필요가 있다.
1.2. 목적 및 범위
본 사례연구의 목적은 20대 초반의 임신 4개월 여성(박oo씨)이 겪고 있는 건강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간호과정을 적용하는 것이다. 특히 대상자가 저소득층이자 외국인 신분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내에서 제공되는 모자보건사업 서비스를 연계하여 종합적인 건강관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상자의 개인 및 가족 상황과 건강문제를 사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을 내리며, 이에 맞춘 간호중재 계획과 평가를 수립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사례연구를 통해 취약계층 임산부에게 필요한 지역사회 중심의 포괄적인 모자보건 서비스 제공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모자보건사업의 정의와 개념
모자보건사업은 세계보건기구(WHO)의 모자보건위원회에 의해 "모성의 건강유지와 육아에 대한 기술을 터득하여 정상 분만과 건강한 자녀를 갖도록 하며 예측 가능한 사고나 질환, 기형을 예방하는 사업"이라고 정의된다.
우리나라 「모자보건법」에 따르면 모자보건사업은 "모성과 영유아에게 전문적인 보건의료서비스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모성의 생식건강 관리와 임신, 출산, 양육 지원을 통하여 이들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건강을 유지하게 하는 사업"이다. 이는 모성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고 건강한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하여 모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국민건강 수준을 유지, 증진하는데 목적을 둔다.
구체적으로 모자보건사업은 지역사회의 건강수준 향상, 임신과 분만에 수반되는 합병증 발생 위험 감소, 다음 임신에 대한 준비, 신생아 사망률 감소, 불임 예방 및 치료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2.2. 모자보건사업의 범위와 중요성
모자보건사업의 범위와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모자보건사업의 범위는 임신에서부터 태아기, 영아기, 유아기, 학령기, 사춘기 그리고 생산기 여성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문제를 포함하며, 모자보건사업의 대상은 모성인구와 아동인구를 의미한다. 「모자보건법」 제 2조에서는 모성이란 임산부와 가임기 여성을 말하며, 영유아란 출생 후 6년 미만인 사람을 말한다.
모자보건사업은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첫째, 모자보건의 대상인구가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제한된 자원과 재원의 투입으로 영구적이고 확실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다른 사업에 비해 적은 비용으로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정도가 크다. 셋째, 여성과 아동의 건강을 다음 세대의 인구의 자질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넷째, 지속적...
참고 자료
성미혜 외(2014). 간호과정-과학적, 체계적 문제 접근-;(2). 정문각:서울
유광수 외(2016). 지역사회 보건간호학Ⅰ;(4). 정담미디어:서울.
유광수 외(2016). 지역사회 보건간호학Ⅱ;(4). 정담미디어:서울.
구미시 보건소, www.gumi.go.kr/health/main.do
다누리 홈페이지, www.liveinkorea.kr
임신그림, http://terms.naver.com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www.childcare.go.kr
한국건강증진개발원, www.khealth.or.kr
e-나라 지표, www.index.go.kr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여성건강간호학Ⅰ, Ⅱ』, 수문사, 2016년
이동숙·홍영혜·박미성·장희경 외 편저,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포널스출판사, 2016년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약물 참고)
한국임상의학연구소; http://www.kcllab.com/ (진단검사 참고)
통계청(2020). 2019년 출생 통계. 모.(母)의연령별출산율 2005, 2015, 2019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편(2021).최신지역사회보건간호학2, 수문사. 모자보건.629-632
구미시 보건소. 보건 사업. 건강 증진 사업. 출산 장려 정책/ 모자 보건 사업. (https://www.gumi.go.kr/health/contents.do?mId=0309030000)
여성건강간호학II(2010), 이경혜·이영숙 외 공저, 현문사, 308
여성건강간호학II(2020),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수문사. 81,99-105
한국건강증진개발원(2013). 집중건강관리 중재집 임산부 편. 9-14
보건복지부(2020). 2020년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 7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