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실리카겔의 제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리카겔의 제조
1.1. 실리카겔의 개요
1.2. 실리카겔의 특성과 용도
1.3. 실리카겔의 제조 방법
1.3.1. 물유리와 산의 반응을 이용한 제조
1.3.2. 알콕사이드 sol-gel 법을 이용한 제조
1.4. sol-gel 공정의 특징과 원리
1.4.1. 가수분해와 축합반응
1.4.2. 겔화 및 숙성 과정
1.4.3. 건조와 소결
1.5. sol-gel 공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5.1. pH
1.5.2. 온도
1.5.3. 유도효과, 입체효과, 용매효과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리카겔의 제조
1.1. 실리카겔의 개요
실리카겔은 화학식 SiO2·nH2O로 표현되는 다공성의 비결정질 물질이다. 실리카겔은 작은 구멍 입자들이 서로 연결되어 튼튼한 그물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그물 구조 사이에 용매인 물 등이 들어가서 굳어버린 형태를 띤다. 실리카겔은 표면적이 매우 넓어 물, 알코올 등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실리카겔의 성질로 인해 실리카겔은 제습제, 흡착제,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실리카겔은 무색이거나 황갈색을 띠며, 경도 4.5-5, 비중 2-2.5의 물리적 특성을 가진다. 실리카겔은 산업적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되는데, 주요 제조 방법에는 물유리와 산의 반응을 이용한 방법과 알콕사이드 sol-gel 법이 있다. 실리카겔의 제조와 활용은 다공성 재료 개발 및 응용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1.2. 실리카겔의 특성과 용도
실리카겔은 화학식 SiO2·nH2O를 가지며, 작은 구멍 입자들이 서로 연결되어 튼튼한 그물 조직을 이루고 있는 비결정형의 입자이다. 이 그물 조직 사이에 용매인 물 등이 들어가 있어 굳어 버린 상태이다. 실리카겔은 표면적이 매우 넓기 때문에 물, 알코올 등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실리카겔은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주로 제습제로 많이 사용된다. 실리카겔은 공기 중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제품을 건조하고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김을 말릴 때 시중에서 판매되는 김에 첨가되어 김이 수분을 흡수하여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크로마토그래피의 흡착제, 촉매의 운반체 등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실리카겔은 무색 또는 황갈색을 띠며, 경도가 4.5~5, 비중이 2~2.5 정도이다. 다공성 구조로 인해 비표면적이 450m²/g에 이르러 높은 흡착력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으로 활성탄보다 불연성이 크고 기계적 강도가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실리카겔은 우수한 흡착력과 다양한 용도로 널리 활용되는 소재라고 할 수 있다.
1.3. 실리카겔의 제조 방법
1.3.1. 물유리와 산의 반응을 이용한 제조
물유리와 산의 반응을 이용한 실리카겔의 제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물유리(sodium silicate, Na2O·xSiO2)는 규산나트륨으로 알려진 무기 화합물로, 물에 잘 녹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물유리와 산(주로 염산)을 반응시켜 실리카 겔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Na2O·xSiO2 + 2HCl → xSiO2 + 2NaCl + H2O
이 반응에서 물유리와 염산이 섞이면 규산(SiO2)이 침전되어 실리카 겔이 생성된다. 생성된 겔은 불용성이며, 탈수 과정을 거치면 내부 기공이 발달된 건조 실리카 겔(xerogel)이 된다.
물유리와 산의 반응을 이용한 실리카겔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물유리와 산을 혼합하여 중화반응을 시킴으로써 실리카가 석출되는 간단한 공정으로 실리카겔을 제조할 수 있다. 둘째, 제조 과정이 상온에서 진행되므로 에너지 소비가 적다. 셋째, 합성 조건을 잘 조절하면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실리카겔을 얻을 수 있다. 넷째, ...
참고 자료
‘실리카겔’,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 (2021-04-16)
‘Tetraethyl orthosilicate’, 위키피디아(영문), https://en.wikipedia.org/ (2021-04-16)
‘Sol(솔)’, ‘젤(gel)’, ‘콜로이드’, 네이버 지식백과(화학백과), https://terms.naver.com/ (2021-04-16)
‘겔화’,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 (2021-04-16)
김창은, 이해욱, 정형진, 김구대, & 박노경. (1988) “합성한 Aluminuim Sec-Butoxide로부터 알콕사이드졸겔법에 의한 알루미나 미분말의 제조”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Vol 25 No.6, 585-592
이수진, 최석범, 곽형섭, & 백승욱. (2006) “Propylene Oxide를 이용한 졸-겔법에 의한 MO∙Fe12O18 (M/Ba, Sr) 나노 분말의 합성과 물리적 특성” J. Korean Ind. Eng. Chem Vol 17 No.4, 420-425
한원택, 이병우, 윤영권, &황태진 (1998) “Sol-Gel법을 이용한 유기∙무기 복합재료의 제조와 응용기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66-68
최진석 &안성진. (2015) “물유리를 이용한 나노실리카 제조 시 pH가 미치는 영향” 한국재료학회지 Vol 25 No.4, 209-213
이경희, 이병하, 오부근, 안광훈 & 김종옥. (1989) “졸-겔법에 의한 실리카 유리의 제조와 온도 의존성 및 활성화에너지 변화”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Vol 27 No.4, 471-478
http://lps3.pubs.rsc.org.proxy.cau.ac.kr/en/content/articlelanding/2012/jm/c1jm13225c#!divAbstract
C.A Milea 외, Bulletin of the Transilvania University of Braşov, Series I: Engineering Sciences • Vol. 4 (53) No. 1 – 2011 : The influence of parameters in silica sol-gel process, 5~7pg
John McMurry, Organic chemistry, 313~327pg
7주차_실리카겔 제조실험pdf
실험유기화학 자유아카데미 윤용진 36~37p
유기화학실험 자유아카데미 문석식 19~20p
Wilcox 저, 화학교재편찬위원회 번역, "유기화학실험" : pp 45-69, 청문각, 1997.
R. M. Roberts 외 3인 저, 김정균 외 5인 번역, "유기화학실험" : pp 2-1∼2-2, 2-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