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재난체험 보고서 - 영화 '컨테이젼'을 보고
1.1. 영화 '컨테이젼' 줄거리
영화 '컨테이젼'은 매개체가 원인이 되어 전염되는 신종 바이러스가 발생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확진자 수가 한 명에서 네 명, 네 명에서 열 여섯 명, 수백, 수천 명으로 늘어나며 수많은 사망자를 내는 이야기이다. 이 영화에서는 주로 CDC(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와 WHO의 대처방식, 바이러스에 무방비하게 노출된 지역사회 사람들의 상황에 대해 다루었다. 홍콩으로 출장을 간 한 여성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시카고로 돌아오게 되면서 시카고에 많은 감염자가 생겨 도시가 폐쇄되는 상황까지 가게 된다. 이처럼 감염성 질환은 한 지역의 최초의 감염자에서 시작하여 다른 지역으로, 한 국가로, 전 세계로 퍼져나가게 되는 양상을 보인다.
1.2. 감염성 질환의 유행을 막기 위한 지역사회 간호사의 역할
영화 '컨테이젼'에서 감염성 질환이 한 지역에서 발생하여 전 세계로 퍼져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역사회간호사가 감염성 질환의 유행을 막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첫째, 질병의 원인이나 증상 같은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보건교육을 하여 경각심을 갖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외출을 최대한 삼가고, 주변환경을 수시로 소독하며, 개인위생에 신경을 쓰고, 적절한 보호장구를 착용하며, 증상이 보이거나 확진자와 접촉을 했다는 것을 인지하는 즉시 지역보건소에 연락하여 알릴 것을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잘못된 정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항상 긴장감 있는 상태를 가지고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해야한다. 지역 내에 확진자가 발생하면 확진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격리시킨 뒤, 확진자의 역학조사를 통해 접촉자를 선별하여 접촉자의 검사와 조치하는 역할을 해야한다. 이 과정에서 지역사회간호사는 감염병을 옮길 수 있는 매개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자신부터 감염병 예방을 위한 손씻기 보호구 착용 등의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셋째, 질병의 발생상황 · 수행한 대처의 효과를 평가하고, 이것을 기반으로 끊임없이 연구해야 한다.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대처 방안을 고안해 유행 예방에 힘써야한다.
넷째, 취약계층의 관리에 힘써야한다. 의료취약계층에 있는 사람들은 감염성 질환에 노출되기 쉽고 감염성 질환의 정보를 접하기 쉽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을 위해 마스크 지원, 교육 등의 대책을 마련하여 감염병이 퍼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
이처럼 지역사회간호사는 감염병 유행 상황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사회의 중요한 일원으로 기능할 수 있다.
1.3. 느낀점
영화를 보면서 감염성 질환이 유행할 때, 지역사회간호사가 갖춰야 할 자세와 역할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첫 번째로, 질병의 원인이나 증상 같은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보건교육을 하여 경각심을 갖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외출을 최대한 삼가고, 주변환경을 수시로 소독하며, 개인위생에 신경을 쓰고, 적절한 보호장구를 착용하며, 증상이 보이거나 확진자와 접촉을 했다는 것을 인지하는 즉시 지역보건소에 연락하여 알릴 것을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영화에서 보면 개나리가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개인의 잘못된 의견이 소문으로 퍼지게 되어 큰 피해를 입게 되었다. 비슷하게 COVID-19 상황에서 마늘이나 생강이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근거없는 소문이 돌았었다. 이런 상황을 보면 중간에서 올바른 정보를 파악하여 정확한 정보 제공해야 하는 지역사회간호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
두 번째로, 항상 긴장감 있는 상태를 가지고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해야한다. 지역 내에 확진자가 발생하면 확진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격리시킨 뒤, 확진자의 역학조사를 통해 접촉자를 선별하여 접촉자의 검사와 조치하는 역할을 해야한다. 이 과정에서 지역사회간호사는 감염병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