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장애인 직업재활의 현황과 전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장애인 직업재활의 현황과 전망
1.1. 서론
1.2. 장애인 직업재활의 개념 및 중요성
1.3. 장애인 직업재활 서비스의 과정
1.4.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종류와 현황
1.4.1. 시설 유형별 현황
1.4.2. 이용 장애인 현황
1.4.3. 근로 장애인 임금 및 훈련수당 현황
1.5. 장애인 일자리 사업 현황
1.6. 장애인 직업재활의 전망
1.7. 결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장애인 직업재활의 현황과 전망
1.1. 서론
현대사회에서 직업은 인간의 삶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인간은 직업적 역할을 통해 사회에 참여하는데, 이로 인해 직업이 없다면 사회생활에서 정체감을 가질 수 없게 될 수 있고, 집단에 소속감이 없어지면서 사회에 고립될 수 있다. 이러한 직업은 단순히 의식주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을 넘어서, 일을 통해 보람을 느끼며 자아를 실현하고 사회와 인류 발전에 기여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은 직업에 종사할 근로의 권리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근로권으로 남성, 여성, 장년, 노인, 비장애인을 포함하여 장애인에게도 동등히 보장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 특히 장애인은 사회의 편견, 국가정책 및 제도의 미비 등으로 인해 개인이 원하는 직업에 종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장애인의 직업재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론에서는 장애인 직업재활의 현황과 전망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1.2. 장애인 직업재활의 개념 및 중요성
모든 사람에게 직업이란 삶을 영위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는 단순히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일 뿐만 아니라 개인의 사회적 지위와 자아실현의 방법이기도 하다. 그러나 장애인들은 신체적·정신적 손상으로 인해 안정된 고용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직업을 갖는 것 자체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장애인들에게 보다 안정된 고용 상태를 확보하고 이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기 위한 서비스가 필요한데, 이를 '장애인 직업재활'이라고 할 수 있다.
장애인 직업재활은 장애인이 자신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직업을 찾고 취업할 수 있도록 하며, 취업 후에도 직장생활에 잘 적응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제노동기구(ILO)에 따르면 직업재활은 장애인이 적절한 고용을 확보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직업지도, 직업훈련, 취업 알선 등의 직업적 서비스를 포함하는 연속적이고 협력적인 재활과정의 일부라고 정의하고 있다. 우리나라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서도 직업지도, 직업적응훈련, 직업능력개발훈련, 취업, 취업 후 적응지도 등을 통해 장애인이 원활한 직업생활을 영위하며 자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직업재활의 내용으로 규정하고 있다.
장애인 직업재활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은 단순히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넘어 개인의 자아실현과 사회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장애인에게 있어서도 직업은 경제적 자립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위 획득, 자존감 향상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둘째, 직업에 참여하지 못하는 장애인은 상대적으로 경제적 궁핍과 사회적 고립에 놓일 위험이 크다. 따라서 장애인의 고용 기회를 확대하고 직업을 통한 자립을 지원하는 것은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통합 실현을 위해 필수적이다. 셋째, 장애인 고용은 장애인 당사자뿐만 아니라 기업과 사회 전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장애인 고용은 기업의 인력난 해소와 사회적 책임 이행, 그리고 장애인의 소득 증대를 통한 국가 경제 활성화 등에 기여할 수 있다.
이처럼...
참고 자료
조성열(2004). 장애인 직업재활분야의 현황과 과제 -관련 법과 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직업재활학회.
김태진, 주희진, 이효주, 허재준(2014).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정진엽(2016). [복지부 특별 칼럼]직업재활은 장애인 복지의 중심이다. 백세시대.
한명훈, 김도윤, 박혜선, 박한선, 황태연, 서용진, 김승준, 이상민(2017). 우리나라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현황 조사연구. 정신신체의학.
조인숙,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복지서비스와 생산성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4.
김성수, 「장애인 직업재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호복지대학원, 2005.
장애인복지론(2017)/정민사/정무성, 양희택, 노승현, 정진옥 공저
직업재활실천론(2011)/창지사/박혜전, 이창희, 이명진, 정찬동 지음
보건복지부(2022) 2021년도 장애인직업재활시설 및 판매시설 운영실적
보건복지부(2022) 장애인복지시설 일람표
한국장애인개발원(2022) 장애통계연보
보건복지부, 한국장애인개발원(2020) 2021년 장애인 일자리사업안내
통계청 https://kostat.go.kr/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
한국장애인개발원 https://www.koddi.or.kr/
한국장애인고용공단 www.kead.or.kr
고용노동부 https://www.moel.go.kr/
에이블뉴스 / 이슬기(2022) /‘제14회 장애인직업재활의 날 기념식’ 28일 개최
https://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34&NewsCode=*************3414013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