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기술 신공법 건축 리모델링 적용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건설공법
1.1. RC공법
1.2. PC공법
2. 단부 보강형 PC 더블월 복합화 공법
2.1. 개념
2.2. 시공절차 및 방법
2.3. 적용사례
3. 신기술의 특징 및 기대효과
3.1. 특징
3.2. 기대효과
4. 리모델링
4.1. 리모델링의 개념
4.2. 리모델링의 필요성 및 국내 리모델링 시장의 현황
4.2.1. 리모델링의 필요성
4.2.2. 국내 리모델링 시장의 현황
4.2.3. 리모델링 관계법률 개정 현황
5. 리모델링을 위한 보수·보강공법
5.1. 구조물의 보수공법
5.2. 구조물의 보강공법
6. 사례분석을 통해 알아본 국내 리모델링공법의 특징
6.1. 압구정대림아크로빌
6.1.1. 개요
6.1.2. 리모델링 공사범위
6.1.3. 코어벽체 신설
6.1.4. 내진벽체 신설 및 보강
6.1.5. 단면결손 보수·보강
6.1.6. 기둥 보강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건설공법
1.1. RC공법
RC공법(reinforced concrete)은 현장에서 거푸집을 파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 보, 바닥판, 벽 등의 구조물을 일체화시켜 구성하는 방식이다. 이 공법은 강성이 크고 차폐성능이 높으며 일체성확보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구도와 내진성능이 우수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현장 작업으로 인해 공기가 길고 인건비 및 관리비, 초기투자비가 높은 편이며, 균열발생시 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1.2. PC공법
PC공법은 콘크리트 부재를 공사 현장이 아닌 제조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는 공법으로, 철근 기둥, 보, 슬래브, 벽과 같은 구조물을 미리 만들어 현장에서는 조립만 진행한다"" 19C말 등장한 PC공법은 주로 창고나 공장을 위주로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전쟁이나 재해로 신속한 복구에 적용되면서 급진적 발전을 이뤄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전쟁 직후 주택공급을 위해 도입되었으나, 기술력 부족과 국내 환경의 기온차로 접합 부위에 관한 문제가 다수 발생했다""
PC공법의 장점은 공장 생산으로 우기 및 동절기 공사가 가능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인건비 및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고 높은 품질의 시공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반면 단점으로는 PC와 콘크리트 사이 접합 결함으로 인한 단열, 누수, 방음 하자와 PC 부재의 현장 보관 장소 필요, 80-90년대 기술력 부족으로 구조안전성 문제가 다수 발생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는 PC공법에 대한 부정적인식이 이어지며 국내 아파트 공사에서는 RC공법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최근 기술력 발전으로 국외에서는 3-40층 고층건물에도 PC공법을 활용하고 있어 국내에서도 PC기술의 새로운 신공법을 통해 안전성과 기술력을 확보해 PC공법에 대한 인식을 바꿔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2. 단부 보강형 PC 더블월 복합화 공법
2.1. 개념
'단부 보강형 PC 더블월'은 두 개의 얇은 PC 패널이 이격 공간(중공부)을 두고 서로 마주 보도록 철물로 연결하고, 부재 단부에서 두 PC패널을 보강 연결 철물로 연결 보강하는 PC 부재이다.이후 '단부 보강형 PC 더블월'은 현장 조립을 마친 후, 중공부에 채움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해 주 구조체와 일체화하는 PC공법 기반 RC공법을 융합한 '단부 보강형 PC 더블월 복합화 공법'이다.
이 방식은 기존 PC 및 RC 공법에서 구현하기 어려웠던 부분을 보완하여, 지상 및 지하 구조물에서 현장 타설 콘크리트 벽체와 동등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부재의 접합부가 콘크리트로 연결되기 때문에 일체성을 확보하여 우수한 사용성 및 구조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벽체 단부 보강 공정을 공장에서 정밀하게 구현 가능해 높은 품질의 내진 성능 또한 확보하게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존재한다.
2.2. 시공절차 및 방법
시공절차 및 방법은 그림 2와 같이 먹매김 → 더블 월 조립 → 슬래브 조립 → 슬래브 상부 철근 배근 → 콘크리트 타설 → 양생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먼저 시공현장에서는 먹매김 작업을 통해 시공 위치와 크기 등을 확인한다. 그 다음 공장에서 제작된 더블 월 패널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한다. 이때 더블 월 패널은 철물로 연결되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슬래브 또한 공장에서 제작된 것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더블 월 패널 위에 올려놓고 조립한다. 그리고 슬래브 상부에 철근을 배근한다.
이후 중공부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더블 월 패널과 슬래브를 일체화한다. 마지막으로 콘크리트 양생 과정을 거치면 시공이 완료된다"
2.3. 적용사례
단부 보강형 PC 더블월 복합화 공법은 지하주차장, 주동하부, 지하외벽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더블 월에 단열재를 설치해 단열 성능을 확보한 단열벽체(IDW)로도 활용되고 있다.
2021년 10월 20일부터 2029년 10월 19일까지 현대건설 주식회사와 삼표피앤씨 주식회사에서 보호받는 이 신기술은 다양한 건설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먼저 현대건설이 시공한 힐스테이트 운정 지하주차장 공사(2016년 1월~2018년 7월, 2,988세대)와 힐스테이트 평택3차 지하주차장 공사(2016년 11월~2019년 1월, 542세대)에 단부 보강형 PC 더블월 복합화 공법이 활용되었다. 또한 힐스테이트 영통 지하주차장 공사(2015년 10월, 2,140세대), 힐스테이트 고덕 아르테온 지하주차장 공사(2017년 4월~2020년 2월, 1,918세대), 힐스테이트 레이크송도2차 공사(2016년 10월~2020년 2월, 889세대) 등 다수의 지하주차장 공사에서 이 기술이 적용되었다.
한편 가산테라타워 공사(2018년 5월~2020년 2월, 지식산업 514실)와 힐스테이트 봉담 근생PC공사(2019년 2월~2021년 5월, 1,004세대) 등 다양한 용도의 건물에서도 이 기술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참고 자료
KAIA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누리집. 건설신기술 https://www.kaia.re.kr/portal/newtec/nView.do?apntNo=920&frMenu=list&menuNo=200076&newtecId=24243&pageUnit=10&pageIndex=1#
국토교통부 누리집. 단부 보강형 프리캐스트 더블월 복합화 공법 http://www.ltm.or.kr/2009/board.php?board=kkknews2&category=1&sort=wdate&command=body&no=245&PHPSESSID=b9bacf28c5c5613ceccf529f18ceb3a6
삼표피앤씨. 누리집 .더블월 PC http://www.sampyopnc.com/bbs/content.php?co_id=archi_04
최호철, 조경래, 김경호, 김영욱, 문정호, 오영훈. (2016). 힐스테이트 영통 현장: PC 더블월 벽체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외벽 시공. 콘크리트학회지, 28(6), 53-56.
오영훈, 문정호, 김재건, 이제훈, 신상훈. (2021). PC 특수전단벽으로서 더블월의 구조성능 및 내진성능 평가.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33(1), 65-73, 10.4334/JKCI.2021.33.1.065
나옥빈, 임창근, 김삼수, 김성진, 박성태. (개최날짜). 지하구조물 급속시공을 위한 PC 더블월 공법 접합부 개선방안. 한국콘크리트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개최지.
방배동 궁전아파트 리모델링에 적용한 구조 및 시공사례 –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