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1.1. 정의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은 혈액 및 골수 내 림프구 계통 세포에서 발생하는 혈액암이다. 조혈모세포가 미성숙하게 되면 이를 미성숙 세포라고 부르게 되며, 림프구 계통의 혈액 세포에서 급성의 경과를 보이는 경우를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이라고 한다.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은 소아암 중 가장 흔한 종양으로, 전체 소아암의 약 1/3을 차지한다. 주로 2~10세 사이의 소아에서 호발하며, 백인 아동에게 더 흔하다고 알려져 있다.
1.2. 원인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소인, 바이러스 감염, 방사선 조사, 화학 약품 등 다양한 요인들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경우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원인을 알 수 없지만, 일부 요인들이 질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 유전적 소인이 작용할 수 있다. 백혈병 환자의 쌍생아 또는 가족 구성원에게서 발병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유전적 요인이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 둘째, 바이러스 감염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에프스타인-바 바이러스(EBV) 및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등의 바이러스 감염이 백혈병 발생과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셋째, 방사선 조사 또한 백혈병 발병의 위험을 높인다. 원폭 피해자나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에게서 백혈병 발생이 증가하는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넷째, 벤젠과 같은 화학 약품 노출도 백혈병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 외에도 선천성 면역결핍 질환이나 항암화학요법 등이 백혈병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결국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정확한 발병 원인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 바이러스 감염, 방사선 조사, 화학 약품 노출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1.3. 증상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주요 증상은 감기나 다른 흔한 질환과 비슷한 경우가 많아 병이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도 백혈병에 걸렸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첫 번째 증상으로는 혈액을 구성하는 정상세포(적혈구, 백혈구, 혈소판)들이 부족하여 생기는 증상들이 나타난다"". 적혈구 부족으로 인한 증상으로 빈혈, 창백함, 무기력, 식욕부진, 빈맥, 호흡곤란, 심비대, 심잡음 등이 관찰되며, 백혈구 부족으로 인한 증상으로 각종 감염, 폐렴, 열, 패혈증 등이 나타나고, 혈소판 부족으로 인한 증상으로 피부자반, 코피, 장출혈, 혈뇨, 눈(망막)출혈, 뇌출혈 등이 나타난다""
두 번째는 미성숙 림프구가 여러 기관(비장, 간, 골수, 림프절, 뼈, 뇌 등)을 침범하여 생기는 증상이다"". 이로 인해 비장이나 간이 커지고, 목 주위나 겨드랑이 등의 림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