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요로감염의 개요
1.1. 정의 및 원인
요로감염이란 바이러스가 아닌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신장 또는 방광 그리고 두 곳 모두에서 세균 또는 진균 감염이 발생한 질환을 말한다"" 대부분의 감염경로는 요도로 세균이 들어와서 방광, 요관, 신장으로 상행해서 올라가는 상행성 감염이다"" 요로감염의 원인균은 대부분 장내 세균이며, 그중에서도 대장균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그 외에도 황색포도알균, 칸디다 등 다양한 세균과 진균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불량한 위생, 배변 후 불충분한 씻기, 회음 부위의 자극 등이 요로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1.2. 병태생리
대부분의 요로감염은 세균이 요도를 통해 방광으로 침입하여 감염을 일으키는 상행성 감염이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배뇨에 의해 세균이 씻겨나가고, 방광점막의 항균 효과에 의해 세균이 빠르게 제거되지만, 균 자체의 독성이 강하거나 양이 많을 때, 피로, 성관계, 피임제, 고령, 당뇨 등 균의 제거를 저해하는 요인이 있을 때는 염증으로 파급하게 된다"" 장내에 상주하고 있는 대장균과 같은 장내 세균들이 질 입구나 요도주변의 피부에 집락을 형성하게 되면 요로감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1.3. 임상증상
요로감염의 임상증상은 감염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신우신염의 경우 고열, 오한, 복통, 구역, 구토, 옆구리 통증, 늑골척추각 압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중등도에서 중증의 탈수 증상도 동반될 수 있다. 방광염이나 요도염의 경우 소변볼 때 통증이나 따가운 느낌, 소변을 자주 보고 촉박감(소변이 마렵다고 느끼면 참기가 어려움)과 소변을 찔끔거림, 자주 마려우나 소변량이 적은 증상, 야뇨증, 혼탁하고 불쾌한 냄새가 나는 소변 등이 나타난다. 나이가 어릴수록 감염 부위에 따른 특이한 증상 없이 발열, 보챔, 구토, 설사 등의 비특이적인 증상이 주로 나타나므로 열이 나는 어린 아동은 요로감염을 의심하여 소변배양검사를 시행하여 요로감염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1.4. 진단방법
요로감염의 진단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증상과 함께 소변에서 균이 발견되고 소변 검사에서 염증 소견이 나타나는 경우 진단을 내릴 수 있다. 소변에서 염증 소견이 나타난다는 것은 환자의 소변을 현미경으로 볼 때 백혈구가 상당량 보이는 경우를 말하는데 이를 농뇨라고 한다. 하지만 증상이 있는 경우에도 균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를 요도증후군 또는 빈뇨 배뇨통 증후군이라 하여 대개는 세균에 의한 염증이거나 부인과 질환 또는 성병일 가능성도 있다. 또한 세균이 전혀 발견되지 않고 농뇨만 보이는 경우는 트리코모나스, 결핵, 곰팡이균 등 예외적인 균에 의한 감염일 가능성이 있어 보다 정밀 검사를 하여야 한다.
따라서 요로감염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증상과 함께 소변 검사를 통한 농뇨 및 세균 검출이 중요하며, 진단이 어려운 경우 추가적인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2. 요로감염의 유형
2.1. 신우신염 (상부요로감염)
신우신염은 요로감염의 심각한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