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간호학 가와사키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가와사키병 개요
1.1. 정의 및 특성
1.2. 발생 현황
1.3. 병인
2. 병태생리
2.1. 원인
2.2. 증상
2.3. 진단
3. 치료 및 관리
3.1. 약물 치료
3.2. 합병증 예방 및 관리
3.3. 간호 관리
4. 간호과정
4.1. 간호 사정
4.2. 간호 진단
4.3. 간호 계획 및 수행
4.4. 간호 평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가와사키병 개요
1.1. 정의 및 특성
가와사키병은 급성 열성 혈관염으로 1962년 일본에서 처음 보고된 후 전 세계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 질환은 최근에 들어 소아 연령에서 가장 흔한 2차성 심장질환으로 부각되었다. 치료하지 않으면 약 20%정도에서 관상동맥에 합병증이 발생하고 이는 심근 경색증 또는 급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여러 부위에 발진을 일으키며, 8세까지의 어린이에게서 나타나지만 대개 학령 전기 아동에서 흔하며 환아의 80%가 5세 미만이다.
1.2. 발생 현황
가와사키병은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 빈도가 높다"이다. 국내에서는 매년 3천여명 정도의 환아들이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데, 실제 발병률은 훨씬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이다.가와사키병은 주로 늦겨울이나 초봄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계절적 요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이다. 이 질병은 감염 환경, 유전 등이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될 뿐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이다.
1.3. 병인
가와사키병의 병인에 대해 살펴보면,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학적 요인과 다양한 감염인자들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가와사키병은 주로 5세 이하의 소아에게서 호발하며, 특히 6개월에서 2세 사이의 영유아에게서 가장 높은 발병률을 보인다. 또한 재발률도 약 3% 정도로 나타난다. 이는 유전적 감수성을 가진 소아가 특정 병원체에 감염되면 과도한 면역반응을 일으켜 발병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와사키병은 중간크기의 혈관을 주로 침범하는 전신성 혈관염으로, 유전적으로 감수성이 있는 소아가 특정 감염원에 노출되면 면역 체계가 과도하게 반응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과정에서 IgA 형질세포의 침윤, 혈관벽의 부종 및 염증, 다형 백혈구의 증가 등이 관찰된다.
또한 가와사키병의 발병은 계절적 요인과도 관련이 있는데, 주로 늦겨울과 초봄에 호발한다. 이는 특정 병원체에 의한 감염이 발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편, 가와사키병은 지역별 발병률에도 차이가 있는데,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의 발병률이 높은 편이다. 이러한 지역적 차이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종합해보면, 가와사키병의 병인은 유전적 소인과 특정 감염원 간의 상호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향후 보다 정밀한 병인 규명을 통해 예방 및 치료 방안이 모색될 것으로 기대된다.
2. 병태생리
2.1. 원인
가와사키병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면역학적 반응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가와사키병은 주로 5세 이하의 영유아에게 발생하며, 특히 6개월에서 2세 사이의 연령에서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인다. 이는 특정 연령에서 유전적 소인과 외부 자극이 결합하여 가와사키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가와사키병은 유전적으로 감수성이 높은 소아가 특정 병원체에 감염되면 과민반응이나 비정상적인 면역학적 반응이 일어나면서 발병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즉, 유전적 요인이 있는 소아가 바이러스나 세균 등 외부 항원에 노출되면 체내에서 과도한 면역반응이 유발되어 혈관염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가와사키병은 계절적 요인과도...
참고 자료
간호과정 전시자·손영희·김남조·원종순 외 현문사
아동간호학 Ⅱ 개정 증보판 조결자 송지호 외 현문사 (2000년)
아동간호학 각론 김영혜 외 현문사 (2006년)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제 7판 현문사 (2004)
Mosby's dictionary 현문사 (2004)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아동건강간호학Ⅱ(2018), 수문사
핵심건강사정(2018), 수문사
기본간호학Ⅱ(2017), 수문사
한지환(2018). 가와사키병 진단의 최신 지견, 대한소아응급학회지, 5(1), 1-4
조성필 외(2015). 응급실에 내원한 불완전한 가와사키병 환아에서 심혈관 합병증으르 예측하기 위한 인자로서 Pro-BNP의 유용성, 대한소아응급학회지, 2(2), 75-80
이승주, 유경희(2018). 가와사키병의 급성기 치료에서 고용량 아스피린과 이부프로펜의 사용효과 비교 연구, Soonchynhyang Medical Sicence, 24(2), 175-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