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임상병리사 전공 소개
1.1. 임상병리검사학 정의 및 분야
임상병리검사학(clinical laboratory science, CLS, medical technology)은 기초과학, 기초의학을 사용해서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대변, 체액 및 조직 등의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경과관찰, 치료 및 예후판정 등에 관련된 검사를 시행하는 학문이다.
임상병리학의 주요 분야로는 임상화학, 임상혈액학, 임상면역학, 임상미생물학, 임상생리학, 면역혈액학, 수혈의학, 세포유전학, 진단분자유전학, 조직병리학 등이 있다. 이를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자를 임상병리학자라고 하며, 이와 같은 검사업무를 실시하는 전문인을 임상병리사(biomedical laboratory scientist, BLS)라고 한다.
임상병리검사의 주요 목적은 ① 질병의 조기 진단 및 감별진단 ② 질병의 중증도 및 경과 평가를 통한 치료 방향 결정 ③ 질병의 예후 판정 ④ 건강검진이나 선별검사를 통한 질병 발견 및 예방 ⑤ 치료 효과의 모니터링이다. 이를 위해 임상병리검사는 진단검사의학과와 병리과로 구분되어 이루어진다.
임상병리검사 분야의 주요 업무에는 혈액검사, 요검사, 임상화학검사, 미생물검사, 면역혈청검사, 혈액은행검사, 임상생리검사, 조직·세포검사, 핵의학검사, 진단분자유전학검사 등이 포함된다. 각각의 검사는 서로 다른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활용된다.임상화학(clinical chemistry)은 질병에 의한 체액 내 존재하는 화학 물질의 변화를 연구 분석하는 학문이다. 임상화학 검사실에서는 혈액, 요, 기타 체액으로부터 각종 화학 물질의 양을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기계기구, 시약 관리 및 제조법, 정도관리법, 검체 취급법, 화학물질의 분석법, 분석물질과 질병과의 관계 등을 연구한다.
임상화학 검사에 사용되는 주요 기구로는 피펫, 플라스크, 뷰렛, 실린더, 시험관 등이 있으며, 원심분리기, 수소이온농도측정기, 저울, 분광광도계, 원자흡광광도계 등의 장비를 활용한다. 또한 검체 전처리, 용액과 농도 계산, 물 정제 등의 기술이 필요하다.
임상화학 검사실에서 주로 분석하는 검체에는 전혈, 혈장, 혈청, 요, 뇌척수액 등이 있다. 이를 통해 탄수화물, 지질, 전해질, 비타민, 호르몬, 효소 등 다양한 성분을 측정하여 질병의 진단, 치료 및 예후 판정에 활용한다.
1.2. 임상병리사 업무 및 역할
임상병리사의 업무 및 역할은 다음과 같다.
임상병리사는 보건의료인의 일원으로서 검체 또는 생체를 대상으로 병리적·생리적 상태의 예방·진단·예후 관찰 및 치료에 기여하며,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검사결과를 제공하고, 검사결과의 연관성을 해석하며 현재 사용 중인 검사법의 평가와 개선을 통해 새로운 검사법을 평가하는 전문 의과학 기술인이다.
구체적으로 임상병리사는 ① 병리학·미생물학·생화학·생충학·혈액학·수혈검사학·혈청학·법의학·요화학·세포병리학·방사성동위원소를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