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건축재료 골재 함수상태 설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골재의 함수상태
1.1. 골재의 종류와 분류
1.1.1. 천연골재
1.1.2. 인공골재
1.2. 골재의 품질과 일반적 성질
1.2.1. 강도
1.2.2. 입경 및 모양
1.2.3. 알칼리-실리카 반응(ASR)
1.2.4. 염분함량
1.3. 골재의 함수상태와 그에 따른 영향
1.3.1. 입자 크기
1.3.2. 입자 형태
1.3.3. 밀도와 경도
1.3.4. 화학적 상태
1.3.4.1. 알칼리-실리카 반응
1.3.4.2. 염분 함량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골재의 함수상태
1.1. 골재의 종류와 분류
1.1.1. 천연골재
천연골재는 자연에서 직접 채취되는 재료로, 물리적, 화학적, 기상적 변화를 통해 생성되는 자연적 과정을 거쳐 형성된다. 천연골재는 그 출처에 따라 강골재, 산골재, 해산골재 등으로 분류된다.
강골재는 강이나 시냇물에서 채취되는 골재로, 자연적인 마모 과정을 통해 부드러운 모서리와 표면을 가지고 있다. 강골재는 품질이 좋고, 대체로 균일한 입경과 모양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특정 지역에서만 채취될 수 있어 공급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산골재는 산에서 채굴되는 골재로, 주로 화강암, 섬록암, 석회암 등의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산골재는 강도가 높고, 입경과 모양이 다양하며, 대량으로 채굴될 수 있다. 하지만, 산골재는 표면이 거칠고, 입경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어 콘크리트의 작업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해산골재는 바다에서 채취되는 골재로, 주로 해산 모래와 조약돌로 구성되어 있다. 해산골재는 부드러운 표면과 균일한 입경을 가지고 있지만, 염분 함량이 높을 수 있어 사용 전에 염분 제거 처리가 필요하다.
1.1.2. 인공골재
인공골재는 산업적 과정을 통해 생성되며, 특정 조건 및 요구에 맞게 설계와 제작이 가능한 골재이다. 고로슬래그, 발포 슬래그, 산업폐기물 등은 인공골재의 대표적인 예이다.
고로슬래그는 철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 이를 재활용하여 고로슬래그 골재를 제조할 수 있다. 고로슬래그 골재는 강도가 높고, 내화성이 좋으며, 알칼리-실리카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고로슬래그는 콘크리트 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발포 슬래그는 철강 제조 과정에서 생기는 폐기물로, 가벼운 콘크리트에 사용된다. 발포 슬래그는 경량 콘크리트의 제조에 적합한데, 이는 낮은 밀도와 높은 단열성 때문이다. 경량 콘크리트는 건물의 자중을 감소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산업폐기물은 적절한 처리과정을 거쳐 안전하게 재활용될 수 있으며, 그 중 일부는 골재로 사용된다. 건설 폐기물, 폐유리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건설 폐기물 골재는 입경과 모양이 다양하며, 재활용으로 인한 환경적 이점이 있다. 폐유리 골재는 투명성, 무색성, 화학적 안정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강도가 낮고 표면이 매끄러워서 콘크리트의 작업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처럼 인공골재는 산업 부산물이나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제조된 골재로, 천연골재의 공급이 부족해지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그 활용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인공골재는 천연골재에 비해 강...
참고 자료
양근혁, 이재삼, & 정헌수. (2005). 골재의 함수상태가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21(10), 103-110.
김세환, 김상헌, & 서치호. (2011). 경량골재의 공극 특성. 건축시공, 11(3), 26-30.
문경태. "순환 굵은 골재의 함수상태와 양생조건에 따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019)
양근혁. "골재의 함수상태가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5)
UNIWIS. 건축재료I. 7강. 시멘트(4), 골재(1) - 8강. 골재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