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 고혈압 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1.1. 치매
1.1.1. 정의
1.1.2. 발병 빈도
1.1.3. 원인
1.1.4. 증상 및 징후
1.1.5. 진단
1.1.6. 치료
1.2. 고혈압
1.2.1. 원인
1.2.2. 증상
1.2.3. 진단
1.2.4. 치료 및 간호
1.2.5. 합병증 및 예후
2. 간호사정
3. 신체 검진
4. 기능 사정
5. 약물
6. 간호과정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1. 치매
1.1.1. 정의
치매는 기억력, 사고력, 지남력, 이해력, 계산능력, 학습능력, 언어 및 판단력 등이 상실되거나 장애를 일으키는 증후군이다. 또한 행동과 성격 변화도 일어나며 85세 이상의 노인의 약 45%가 어느 정도 인지기능 감퇴를 경험한다"이다.
1.1.2. 발병 빈도
우리나라의 경우 2008년에는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10.3%이었으나 2020년경에는 거의 12%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기존의 보고에 의하면 치매환자의 빈도는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 중 10% 내외를 차지하며 연령이 5세 증가함에 따라 그 빈도는 약 2배가 된다고 알려져 있다.
1.1.3. 원인
노인성 치매는 단일 질환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고 여러 가지 원인 질환에 의해 노년기에 발병하는 치매를 총칭하는 것이다. 노년기에 치매를 일으킬 수 있는 원인들은 매우 다양한데, 이들 중 가장 많은 것은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이며, 알츠하이머병이 노인성 치매 원인의 50% 이상을 차지하며, 혈관성 치매는 20~30% 정도를 설명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알츠하이머병의 정확한 발병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노화와 함께 뇌 신경세포의 점진적인 손상과 사망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에 혈관성 치매는 뇌졸중과 같은 뇌혈관 질환으로 인해 뇌 조직의 손상이 발생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1.4. 증상 및 징후
치매의 증상 및 징후는 다음과 같다""
초기(경증) 단계에서는 보통 이상의 건망증, 단기기억 손상, 숫자가 의미하는 것을 빨리 알아차리지 못함, 독창성과 흥미 상실, 판단력 감퇴, 지리적 지남력 장애가 나타난다""
중기(중등도) 단계에서는 가족이나 친구를 잘 알아보지 못함, 배회, 혼란, 이해력 장애, 실어증, 불면증이 관찰된다""
후기(중증) 단계에서는 짧은 기억, 새로운 정보를 처리하지 못함, 단어를 이해하지 못함, 섭취 및 삼킴 문제 발생, 자가 간호 불가능, 부동, 요·변실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1.1.5. 진단
치매의 진단은 원인이 가역성인지 아니면 비가역성인지를 밝히는 것에 초점을 두며, 의학적, 신경학적, 심리학적 병력을 조사하고 신체검진을 통해 다른 진단들을 배제한다. 정신상태검사로 MMSE를 이용하며, 기억력, 계산, 언어, 시공간지각력, 민첩성 등에 초점을 두어 평가한다. 우울증상으로 슬픔, 사고와 집중력 장애, 피로, 무감동, 절망, 비 활동성 등이 있으며, 우울이 심해지면 집중력이나 주의가 저하되고 기억력과 기능장애가 초래될 수 있다. 우울은 치매와 함께 발병하지만 치료가능하다.
치매의 진단검사로는 혈액검사, 신경심리학적 검사, 기타 심전도, 소변검사, 뇌전도, 요추검사 등이 있다. 혈액검사에는 complete blood count, 혈당, 요 질소, 전해질, 칼슘과 인, 간기능 검사, 갑상선 기능검사, 비타민 B12 엽산, 인간면역 결핍 항체 유전 및 생화학적 검사가 포함되며, 신경심리학적 검사로는 Dementia Rating scale, MMSE, Iowa Screening Baterry for Mental Decline, Korean- Dementia Rating Scale 등이 있다.
노인에서의 치매 정도 판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정상, ±: 경계선, +1: 경도, +2: 중등도, +3: 고도, +4: 최고도"로 구분된다. 정상은 활발한 정신활동(지적활동)이 인정되는 경우이며, 경계선은 일상생활에서 보통의 회화가 가능한 수준이다. 경도는 사회적인 일에 대한 흥미 및 관심 저하와 보통의 생활지도 수준이 필요한 경우, 중등도는 간단한 일상회화가 겨우 가능하고 익숙치 않은 환경에서는 지각능력이 일시적으로 상실되는 수준이다. 고도는 간단한 일상회화가 곤란하고 실내에서 지각능력을 상실하는 경우이며, 최고도는 자신의 이름과 방금 전의 일도 잊어버리는 수준이다.
따라서 치매의 진단은 치매의 유형을 구분하고 원인을 파악하여 가역적인 경우와 비가역적인 경우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진단검사와 정신상태평가가 활용된다.
1.1.6. 치료
치매의 치료 방법에는 약물 치료와 비약물 치료가 있다.
알츠하이머병의 약물 치료로는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제와 NMDA 수용체 길항제가 사용된다.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제는 뇌에서 감소된 아세틸콜린의 양을 증가시켜 인지기능 장애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중등도 이상으로 진행된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는 NMDA 수용체 길항제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약물은 치...
참고 자료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 2, 수문사 (2020), p.921 -928
윤숙희 외, 노인간호학, 수문사 (2017), p. 36-37, 67-68, 79-81, 102- 103, 178
차영남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현문사(2013), p.214-215
MEG GULANICK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현문사(2017) p.100-102, 263-267
드러그인포https://www.druginfo.co.kr/
약학정보원https://www.health.kr/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성미혜 외 공저, 간호과정의 적용, JMK
공은숙 외 공저, 알기 쉬운 노인간호학, 학지사메디컬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322
삼성서울병원 질환백과, http://www.samsunghospital.com/m/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39b&CONT_SRC=CMS&CONT_ID=2282&CONT_CLS_CD=001020001004
질병관리청 만성질환건강통계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pblcVis/main.do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박은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9
KIMS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박영화 외, 「노인간호학」, 학지사메디컬, 2019.
성미혜 외, 「비판적 사고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