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창의성과 문제해결 기법
1.1. 창의적 문제 해결
창의적 문제 해결(Creative Problem Solving)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 해결법을 만들어내는 정신적 과정이다. 이것은 문제 해결을 위한 특별한 형태로 어떤 도움을 받기 보다는 독립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창의적 문제 해결의 도구는 논리적, 체계적으로 사고하는 방법들을 말하는데, 그 종류는 TRIZ, 마인드맵(Mind Mapping),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 체크리스트(Checklist)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창의적 문제 해결의 도구는 TRIZ로 알트슐러(AltShuller)에 의해 제창된 방법론이다. TRIZ는 브레인스토밍과 마인드맵의 단점을 보완하여, 현재 가장 각광 받고 있는 기법이다. TRIZ는 40가지 발명 원리가 있는데, 분할, 분리, 국소품질, 비대칭, 병합 등의 원리를 통해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1.2. 브레인스토밍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이란 일정한 테마에 관하여 회의 형식을 채택하고, 구성원의 자유발언을 통한 아이디어의 제시를 요구하여 발상을 찾아내려는 방법이다. 브레인스토밍의 원리는 첫째, 한 사람보다 다수인 쪽이 제기되는 아이디어가 많다는 것이다. 둘째, 아이디어 수가 많을수록 질적으로 우수한 아이디어가 나올 가능성이 많다는 것이다. 셋째, 일반적으로 아이디어는 비판이 가해지지 않으면 많아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브레인스토밍에서는 어떠한 내용의 발언이라도 그에 대한 비판을 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자유분방하고 엉뚱하기까지 한 의견을 출발점으로 해서 아이디어를 전개시켜 나가도록 하고 있다. 이를 테면, 일종의 자유연상법이라고도 할 수 있다. 회의에는 리더를 두고, 구성원 수는 10명 내외를 한도로 한다. 이 기법은 1939년에 미국의 광고회사 부사장 A.F.오즈번이 제창하여 그의 저서 《독창력을 신장하라》(1953)로 널리 소개되었다.
브레인스토밍 기법의 장점으로는 첫째, 쉬운 수법이기 때문에 손쉽게 실행할 수 있다는 점, 둘째 거의 모든 경우에 적용할 수 있고 각종 다양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반면 단점으로는 첫째, 다른 사람에게 의지하여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는 멤버가 나올 위험성이 있다는 점, 둘째 리더에 따라서 브레인스토밍의 성과가 좌우된다는 점, 셋째 남의 앞에서 발언을 잘 하지 못하는 사람의 능력을 살리기 어렵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1.3. 고든법
고든법(Gorden Technique)은 브레인스토밍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브레인스토밍의 창시자였던 A.F.오즈번이 고안한 아이디어 발상법이다. 고든법은 추상적인 사고를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이끌어내는 방법으로, 문제 대상을 한 단계 더 추상화하여 생각해봄으로써 더 많은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초콜릿에 대한 아이디어를 구상할 때 초콜릿 자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한 단계 더 추상화하여 "과자", "음식물" 등으로 생각의 범위를 넓혀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다. 이처럼 고든법은 문제 해결을 위해 대상을 추상화하여 보다 창의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방식이다.
고든법의 장점은 브레인스토밍과 달리 추상적인 사고를 필요로 하므로 참여자들의 창의력을 더욱 자극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리더의 역할이 중요한데, 리더가 풍부한 지식과 창의력을 갖추고 있어야 참여자들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고든법은 다른 기법에 비해 장시간이 소요되며, 추상적인 사고가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고든법은 주로 신제품 개발 등 창의성이 필요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참여자들의 사고를 유연하게 만드는 데 효과적인 기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1.4. 연상법
연상법(association)은 창의성의 근원인 상상력의 원천이 되는 연상력을 활용하는 기법이다. 연상법에는 자유연상법과 통제연상법이 있다.
자유연상법(free association)은 어떤 대상, 방법, 주제 등을 제시하고, 그로부터 자유롭게 떠오르는 아이디어들을 포착하여 제시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칠판"이라는 단어를 제시하면 연상되는 개념들을 말하거나 쓰게 하는 것이다. 이때 단어뿐만 아니라 형태, 소리, 몸동작 등 다양한 자극을 이용할 수 있다.
통제연상법(controlled association)은 자유연상에 어느 정도 제한을 두어 통제된 연상을 이끌어내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리"자로 끝나는 단어를 말하게 하거나, 앞의 단어 끝 글자로 시작하는 새로운 단어를 연결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물건과 관련된 사진이나 그림을 보여주고 이를 다양하게 연관시켜 생각해 보게 하는 이미지 연상법 등이 있다.
연상법은 창의성의 근원인 상상력을 펼치게 하고, 기존의 사고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개념을 도출하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자유연상법은 아이디어의 유창성을, 통제연상법은 아이디어의 유연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이처럼 연상법은 창의적 문제 해결의 핵심 기법 중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1.5. 결점열거법
결점열거법은 개선하려는 대상의 결점을 밝혀내어 제거함으로써 개선방법을 찾아내는 기법으로서 브레인스토밍의 변형이며, 희망점 열거법과는 상반된다. 대상의 결점을 찾아내기 위해 생각하는 방향을 정하고 모두가 자유롭게 발표한다. 예를 들어 연필에 대한 결점으로 "사용하면 심이 굵어진다. 심이 부러진다. 마지막까지 쓸 수 없다. 연필심 색깔을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바꿀 수 없다." 등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