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2020년 '한국어 표준교육 과정'이 제정되면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은 한국어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하고 해석하며, 상호 간의 의미협상을 가능하게 하는 능력이자 한국어를 매개로 타인을 비롯한 자신의 주위 환경에 적응하고 환경을 조정하며 주어진 상황에서 적절하게 타인과 협력함으로써 상호 간의 의사소통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정의되었다"" 따라서 '한국어 능력 평가'는 학습자들이 실생활에서 언어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실제적인 요소들을 반영하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필자는 한국어 능력 시험(TOPIK) 듣기 평가 영역의 기출 문제를 토대로 각 문항이 실제 상황에서의 언어 사용 상황을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는지, 수험자로 하여금 실제 상황에서 부합되는 언어 행동을 하게 하는 상호작용적 진정성을 가지는지, 수험자의 언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적절한 내용과 범위로 추출되었는지를 검토한 결과, 부적절해 보이는 다음 10개 문항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분석해보고 개선 방향을 제시해 보도록 하겠다""
2. TOPIK 기출 문제 듣기 평가 문항 분석
2.1. 제83회 한국어능력시험 TOPIK 2 듣기 1번 문제
제83회 한국어능력시험 TOPIK 2 듣기 1번 문제는 정답이 1번 '극장'이지만, 이 문제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여자가 "네, 지금 가요."라고 말하는데 이 표현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지금 가고 있어요.'라는 뜻이거나 "'곧 갈게요.'라는 의미로도 쓰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사람이 실제로 극장에서 얼굴을 마주한 상황이라고 보기 어렵다"" 만약 남자가 상영관 안에 이미 들어와 있고, 여자가 아직 입구에 도착한 경우라면 "지금 입구에 도착했어요."와 같은 표현이 더 적절했을 것이다"" 이처럼 대화 상황과 문항의 질문이 잘 어울리지 않아 수험자들이 혼란스러워 할 수 있다""
2.2. 제83회 한국어능력시험 TOPIK 2 듣기 28번 문제
제83회 한국어능력시험 TOPIK 2 듣기 28번 문제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