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방광암에 관한 문헌고찰 작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대상자 선정 이유
1.2. 해당 질환에 대한 통계적 자료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전립선암(prostate cancer)
2.1.1.1. 정의
2.1.1.2. 원인 및 병태생리
2.1.1.3. 증상
2.1.1.4. 치료
2.1.2. 직장암(Rectal cancer)
2.1.2.1. 정의
2.1.2.2. 원인
2.1.2.3. 증상
2.1.2.4. 치료
2.2. 간호력
2.2.1. 개인력
2.2.2. 현병력
2.2.3. 과거력
2.2.4. 가족력
2.3. 간호사정
2.3.1. 신체검진
2.4. 진단적 검사
2.4.1. 일반혈액검사
2.4.2. 일반화학검사
2.5. 진단(치료)을 위한 수술, 시술, 검사
2.6. 주요 약물요법
2.7. 입실 후 경과
3. 간호과정
3.1.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3.2. 간호과정 적용
4. 결론
4.1. 느낀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대상자 선정 이유
지난 성인간호학 교외실습에서 colostomy를 시행한 환자의 장루 교환 교육을 보게 되었다는 것은 대상자 선정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해당 환자와 보호자에게 장루 교환 방법을 시범 보이고 격려하는 전담간호사 선생님의 모습이 인상 깊었기에, 이번에는 장루를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사례보고서를 작성해보고자 하였다. 이후 SICU에서 간호사 선생님들을 도와 수술 환자를 받는 과정에서 colostomy를 시행한 환자를 만나게 되었고, EMR 확인 결과 해당 대상자가 과거 직장암으로 수술을 받았으며 현재는 전립선암 치료 중 vesicointestinal fistula로 인해 재수술을 받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이번 기회를 통해 전립선암, 직장암, 방광소장 누공의 관련성을 학습하고,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을 작성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1.2. 해당 질환에 대한 통계적 자료
전립선암은 2019년 국가암등록 통계에 따르면 한 해 1만 6,803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국내 남성에서 발생하는 암 가운데 4위를 차지했다. 이는 1990년대 초 한해 약 270여명의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한 것에 비하면 50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전립선암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에 따르면, 전립선암 진료 인원은 2017년 7만7천77명에서 2021년 11만2천88명으로 45.4%(3만5천11명) 증가했다. 이러한 증가세는 초고령화 사회로의 이행, 식생활을 포함한 생활 습관의 서구화 등으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근래 들어서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국내 대장암은 2020년 세계보건기구(WHO) 자료를 기준으로 10만 명 당 27.2명의 발생률을 보였다. 이는 세계적으로도 매우 높은 수치에 속한다. 사망률도 2021년 기준 인구 10만 명 당 17.5명으로 덩달아 높아졌다. 때문에 대장암의 예방과 관리가 더욱 중요해졌다. 국가암통계자료에 의하면 대장암은 2020년 기준 갑상선암, 폐암 다음으로 많이 발생했다. 향후에는 폐암도 앞설 것으로 예상된다.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전립선암(prostate cancer)
2.1.1.1. 정의
전립선은 남성에게만 있는 장기로, 정액의 일부를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치골 뒤쪽에 위치하며, 방광 아래 측에 있으면서 직장에 인접해 있다. 전립선은 방광에서 나오는 요도를 둘러싸듯이 존재하고, 밤 열매와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전립선암은 이러한 전립선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이다.
2.1.1.2. 원인 및 병태생리
전립선암의 원인 및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전립선암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가지 위험 요인들이 알려져 있다. 고령, 아프리카계 미국인 혈통, 가족력, 비만과 고지방 식단 등의 생활 습관 요인 등이 전립선암 발병의 위험을 높인다.
나이가 들수록 전립선암 발병률이 증가하는데, 특히 40세 이하에서는 드물고 55세 이상의 남성에서 주로 발생한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경우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전립선암 발병률이 높은 편이다.
또한 전립선암 환자 중 약 10-20%에서 가족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유전적 요인이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형제나 아버지가 전립선암 진단을 받은 경우 발병 위험이 2-3배 증가한다.
생활 습관 요인으로는 비만과 고지방 식단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과도한 동물성 지방 섭취는 전립선암 발병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채소와 과일 섭취가 충분한 경우 전립선암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이처럼 전립선암의 발병에는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한다. 노화에 따른 생리적 변화와 유전적 요인, 식이 및 생활 습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전립선 상피 세포의 증식과 변화를 유발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전립선에 악성 종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2.1.1.3. 증상
전립선암의 주요 증상은 배뇨 곤란, 빈뇨, 잔뇨감, 야간 다뇨, 요의 절박 등이다. 전립선암이 요도를 압박하면 배뇨 곤란이 악화되어 소변을 볼 수 없는 상태(요폐)가 된다. 전립선암이 요도 및 인접하는 방광 내로 진전된 경우에는 그 부위에서 출혈이 발생하여 육안으로 혈뇨가 관찰된다. 전립선암이 방광으로 전이되면 방광 자극 증상이 심해져 요실금 상태가 된다. 전립선암이 진행되면 림프절, 뼈로 잘 전이되므로 그에 따른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뼈로 전이된 경우 그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고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뼈로의 전이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면 골수부전으로 인한 빈혈과 지혈 장애가 생길 수 있다.
2.1.1.4. 치료
전립선암의 치료법에는 호르몬 치료, 수술적 치료, 방사선 치료, 항암 화학 치료의 4종류가 있다"" 의사는 암이 있는 장소, 병기, 연령, 지금까지의 병력이나 일반적 상태에 근거하여 치료 방법을 계획한다"
① 호르몬 치료는 전립선암의 기본이 되는 치료법이다"" 전립선암은 남성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증식하는 암이므로, 남성호르몬을 억제하거나 전립선에 작용하지 못하게 하여 암을 억제한다""
② 수술적 치료는 암이 전립선 내에 국한되어 있을 때 수술로 암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하복부를 절개하여 전립선을 제거하고 방광과 요도를 연결하는 수술을 한다"" 최근에는 로봇을 이용한 수술을 시행하여 부작용과 합병증을 줄이고 있다""
③ 방사선 치료는 고에너지의 방사선을 사용하여 암세포를 죽이는 방법이다"" 전립선암의 경우 보통 체외에서 전립선으로 방사선을 조사한다"" 입원이 필요없고 마취나 수술 관련 부작용이 적지만 7-8주 정도 긴 치료 기간이 필요하다""
④ 항암 화학 치료는 호르몬 치료가...
참고 자료
기본간호학Ⅰ, 메디컬사이언스, 이동숙 외(2018)
기본간호학Ⅱ, 메디컬사이언스, 이동숙 외(2018)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윤은자 외(2018)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윤은자 외(2018)
NANDA 간호진단 : 정의와 분류(2018-2020), 학지사메디컬, 국제간호진단협회(2018)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2014)
핵심임상간호 매뉴얼1 성인간호학, Woori Medical Books/EduCase팀(2018)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main/index.do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main.do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비뇨기과), https://www.snubh.org/dh/ur
서울성모병원 평생건강증진센터, https://www.cmcseoul.or.kr/healthcare/index.do
국가암정보센터, https://www.cancer.go.kr/
유튜브(TUR-BT), Retrograde En block TURBT, https://www.youtube.com/watch?v=FixJhTX3Fy0
전립선암 환자 4년 만에 45%↑... PSA 검사 중요”, 아시아경제
“결장암과 직장암 중 더 위험한 것은?” 대장암 알아보기, 헬스인뉴스
서울아산병원. 전립선암, 대장암[인터넷]
충남대학교병원 대전지역암센터. 전립선암의 치료[인터넷]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비뇨기과). 전립선암[인터넷]
확옥남, 유양숙, 조경숙, 김희경, 권보은, 은영 외 공저. 성인간호학 하. 7판. 경기도: 현문사; 2019. p.235-238.
확옥남, 유양숙, 조경숙, 김희경, 권보은, 은영 외 공저. 성인간호학 상. 7판. 경기도: 현문사; 2019. p.423-432.
대한진단검사의학회. 건강진단에서 시행하는 혈액검사들에 대한 안내[인터넷]
대한민국 의약품정보의 표준 약학정보원[인터넷]
이은희, 김유정, 안지원, 최예숙, 고영지 외.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서울: 고문사; 2019. p.217-222
전미양, 고진강, 김경미, 김동희, 김명수, 천의영, 최수영 외 편역. 기본간호학Ⅱ. 경기도: 수문사; 2019. p.203, 208, 214, 227, 307, 322-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