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적문제해결전략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최초 생성일 2024.11.06
6,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창조적문제해결전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창의적 문제 해결 전략
1.1. 창의적 문제 해결의 정의와 도구
1.2. 창의적 문제 해결 사례
1.2.1. 다기능성의 원리를 사용한 사례
1.2.2. 주기적 작동의 원리를 사용한 사례
1.2.3. 매개체의 원리를 사용한 사례
1.3. 제임스 본드와 멕가이버의 문제 해결법
1.4. SWOT 분석을 통한 자기소개와 마인드맵

2. 대만 여행 계획
2.1. 여행하고 싶은 나라와 그 이유
2.2. 여행 계획 및 주요 관광지
2.3. 경비 및 준비물

3. 자기소개서 작성
3.1. 자기소개서(예상 지원회사: 한국거래소)
3.2. 자기소개 마인드맵

4. 원광대학교의 미래 모습
4.1. 우리 대학의 미래 모습 마인드맵
4.2. 마인드맵 도출과정

5. 자기 SWOT 분석 및 자기완성 계획
5.1. 나에 대한 SWOT 분석
5.2. 자기소개 마인드맵
5.3. 자기 완성을 위한 계획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창의적 문제 해결 전략
1.1. 창의적 문제 해결의 정의와 도구

창의적 문제 해결이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 해결법을 만들어내는 정신적 과정이다. 이는 문제 해결을 위한 특별한 형태로 어떤 도움을 받기보다는 독립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창의적 문제 해결의 도구는 논리적, 체계적으로 사고하는 방법들을 말하는데, 그 종류에는 TRIZ, 마인드맵(Mind Mapping),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 체크리스트(Checklist)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창의적 문제 해결의 도구는 TRIZ로 알트슐러(AltShuller)에 의해 제창된 방법론이다. TRIZ는 브레인스토밍과 마인드맵의 단점을 보완하여, 현재 가장 각광받고 있는 기법이다. TRIZ는 40가지 발명 원리가 있는데, 이를 통해 직접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1.2. 창의적 문제 해결 사례
1.2.1. 다기능성의 원리를 사용한 사례

다기능성(Multifunctionality)의 원리를 사용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대학교 2학년 1학기에 'OOO'이라는 강의를 수강하게 되면서, 처음으로 '조별과제'를 수행하게 되었다. 모든 조들이 6~7명으로 구성이 되어 있었고, 우리 조도 마찬가지로 6명으로 구성이 되어 있었다. 첫 날에는 조원 6명 모두가 참석하여 인사를 하고 각자의 역할과 주제를 정하는 등의 순조로운 활동을 진행할 수 있었으나, 하루 하루가 지날수록 조원들이 연락이 잘 되지 않다가 결국에 모든 연락할 수단과 연락처를 차단하고 수업에 나오지 않는 경우가 생기게 되었다. 그것도 우리 조에 이탈자가 두 명이나 생겨버린 것이다. 한꺼번에 많은 조원이 빠져버려서 다른 조들에 비해 인력이 많이 모자란 상황이 되어버린 것이다.

하지만 나는 이러한 상황에서 포기하지 않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고안해냈다. 다기능성의 원리를 적용하여 한 사람이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팀의 조장의 역할과 서기, PPT 만들기까지 3가지의 역할을 내가 직접 수행하게 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남들보다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했지만, 결과적으로 두 명의 조원 없이도 조별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해낼 수 있었고, A0라는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나는 다기능성의 원리가 단순히 사물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람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한 사람이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이겠지만, 그 일이 충돌하지 않도록 잘 조율하고 수행한다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보았다. 또한 이러한 방법이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아주 효과적일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제부터는 이러한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다양한 상황에서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1.2.2. 주기적 작동의 원리를 사용한 사례

주기적 작동(Periodic action)의 원리를 사용한 사례: 낮잠

주기적 작동(Periodic action)이란 연속적인 작동 대신에 주기적인 또는 맥동적인 작동을 이용하고, 만일 작동이 이미 주기적이라면 주기의 크기 또는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어렸을 적부터 잠이 많았던 나는 아침에 잘 일어나지 못하여 학교에 지각을 할 뻔한 적이 많았다. 이런 점 때문에 선생님과 부모님께 꾸짖음을 많이 들었지만, 잠을 자는 생리적 활동을 고치는 것은 너무 어려웠다. 잠은 잘수록 늘어나는지, 점점 더 많이 잠을 자게 되었다.

이에 나는 일찍 자는 것은 공부를 해야하기 때문에 어려웠고, 일찍 자더라도 중간에 낮잠을 자게 되는 버릇이 생기게 되었다. 그래서 나는 늘 하루에 1~2시간씩 낮잠을 자고 일어나는 주기적 작동을 하면 어떨까?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렇게 1~2시간씩 낮잠을 계속해서 자고 일어나기를 반복하자, 나에게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낮잠을 자고 일어나면 머리가 맑아지는 기분이 들고, 오히려 더욱 공부에 집중을 할 수 있게 된 것이었다. 실제로 정오 시간의 낮잠은 지적 작업의 효율을 높여준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다.

이는 곧 전화위복 즉, 해로움을 이로움으로 바꾸게 된 좋은 일이 되었다. 고쳐야했던 점이었던 나의 단점이 어느덧 장점으로 바뀌어 있었고, 나는 낮잠을 자는 것을 3학년이 된 지금까지도 주기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시간표를 짤 때에 점심의 2~3시간을 비워두고, 집에 와서 낮잠을 청하고 오후의 수업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만드는 계획성도 얻을 수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낮잠을 자는 것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지만, TRIZ의 40가지 발명의 원리 중 하나인 '주기적 작동'의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부정적인 감정을 떨쳐내고 단점을 장점으로 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이처럼 주기적 작동이 왜 창조적 문제 해결의 도구인가를 이 경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나는 이 '낮잠'이라는 경험을 고쳐야 하기 때문에 고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아닌, 장점으로 바꿀 수 있도록 노력하였고, 그 결과로써 집중력 향상이라는 좋은 결과를 가지고 올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내가 직접 겪는 것이 창조적으로 발상하는데 더 도움이 되는 길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1.2.3. 매개체의 원리를 사용한 사례

매개체(Intermediary)의 원리를 사용한 사례

동아리 활동에서 나는 매개체의 원리를 사용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였다. 동아리 활동 중 일부 동아리원들이 약속을 지키지 않아 우리 동아리의 결속력이 약해지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에 나는 직접 동아리원들과 상담하여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으나, 동아리원들이 나와의 상담을 부담스러워하여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나는 매개체의 원리를 사용하여 문제 해결의 돌파구를 찾고자 하였다.

나는 동아리에서 가장 사교적이고 모두와 잘 지내는 친구에게 부탁하여 다른 동아리원들이 왜 참여하지 않는지 물어보도록 하였다. 이 친구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하여 동아리원들과 원활히 의사소통할 수 있었고, 결국 그들이 개별적으로 겪고 있는 어려움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동아리원들은 그 친구를 믿고 자신들의 고민을 털어놓았는데, 주된 이유는 "혼자 안무를 연습하기가 어렵고, 다른 사람들에게 그런 모습을 보이기 싫어서"였다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나는 동아리원들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었고, 이들의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였다. 나는 먼저 안무를 직접 익혀 동아리원들에게 알려주는 방식으로 접근하였고, 이에 동아리원들도 점차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결국 이러한 노력 끝에 우리 동아리는 축제...


참고 자료

창의적 문제 해결 전략의 정의
https://ko.wikipedia.org/wiki/%EC%B0%BD%EC%9D%98%EC%A0%81_%EB%AC%B8%EC%A0%9C%ED%95%B4%EA%B2%B0
TRIZ의 40가지 발명의 원리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d19d88757d048e85ffe0bdc3ef48d419&outLink=N
창의적 문제 해결 전략 6주차 강의의 TRIZ에 대한 설명 참고
제임스 본드
https://namu.wiki/w/%EC%A0%9C%EC%9E%84%EC%8A%A4%20%EB%B3%B8%EB%93%9C#toc
SWOT 분석의 정의
https://namu.wiki/w/SWOT%20%EB%B6%84%EC%84%9D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