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혈액종양내과에 입원해있는 환자들은 대부분 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림프종과 같은 질환을 앓고 있다. 그 중에서 림프종(Lymphoma)은 골수나 림프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의 악성종양을 총칭하며, 주로 림프구의 조절할 수 없는 중식을 초래하는 것이 특징이다. 매년 4500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하며, 현재 림프종 환자는 3만명 정도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림프종은 60대 초반에 호발하는데, 고령화 시대가 되면서 림프종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통계결과를 보아 림프종이 결코 소홀하게 다뤄서는 안 될 질환이며, 그만큼 예방과 관리가 중요한 질환이므로 자세히 알아보고 싶어 선택하게 되었다.
1.2. 문헌고찰
1.2.1. 정의
림프종은 골수나 림프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의 악성종양을 총칭하는데, 주로 림프구의 조절할 수 없는 중식을 초래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Reedsternburg 세포의 유무에 따라 이 세포를 포함하고 있는 림프종을호지킨병, 그리고 나머지 림프종은 비호지킨 림프종으로 구분한다. 비호지킨 림프종에는 림프육종, 세망세포육종, 버킷 림프종 등이 포함된다. 어느 형태에서나 림프조직의 비대가 공통적으로 나타나지만 질환에 따라 임상소견이나 치료법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1.2.2. 원인
림프종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가지 요인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림프종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면역체계의 기능 장애, 바이러스 감염, 방사선 및 화학물질 노출 등이 대표적이다.
첫째, 유전적 요인이다. 림프종은 유전적 소인이 있는 경우 발병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 구성원 중 림프종 환자가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림프종 발병 위험이 2-3배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유전적 요인으로는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나 염색체 이상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둘째, 면역체계의 기능 장애이다. 림프종은 정상적인 림프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므로, 면역체계의 기능 저하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면역억제치료를 받는 장기이식 환자나 HIV 감염자, 노령층에서 림프종의 발병률이 높은 이유도 이와 관련이 있다.
셋째, 바이러스 감염이다. 특히 에프스타인-바 바이러스(Epstein-Barr virus, EBV)는 대표적인 림프종 발생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EBV에 감염되면 림프구가 증식하여 림프종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HTLV-1 바이러스, 간염 바이러스 등도 림프종 발생과 관련이 있다.
넷째, 방사선 및 화학물질 노출이다. 방사선치료나 화학요법제 투여 후 2차적으로 림프종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농약, 페놀, 벤젠 등의 화학물질 노출이 림프종 발생과 관련되어 있다.
이처럼 림프종의 발생에는 유전적 요인, 면역 기능 저하, 바이러스 감염, 방사선 및 화학물질 노출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3. 병태생리
림프종(Lymphoma)은 골수나 림프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의 악성 종양을 총칭하는데, 주로 림프구의 조절할 수 없는 중식을 초래하는 것이 특징이다. 림프종은 증식된 림프구의 형태와 분화 정도에 따라 여러 형태의 질환들이 포함된다. 호지킨 림프종의 경우, 종양 조직에서 독특한 Reed-Sternberg 세포의 출현이 특징적인데, 이 세포는 대형의 핵을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다핵성을 보인다. 이 세포는 주변의 정상 림프구, 조직구, 호산구 등의 반응성 세포침윤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종양 세포들은 림프절 내로 침윤하여 점차 주변 림프절로 퍼져나가게 된다.
한편 비호지킨 림프종은 종양 세포가 다양한 형태와 분화도를 보이는데, 이는 성숙 B 림프구나 T 림프구의 악성 변화에 의한 것이다. 종양 세포는 림프절을 넘어 다른 림프조직이나 장기로 침범하는 경향이 강하다. 예를 들어 일부 비호지킨 림프종은 위장관, 중추신경계, 피부 등에 국한되어 발생하기도 한다.
림프종의 병태생리에는 다양한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작용한다. 호지킨 림프종의 경우 Epstein-Barr 바이러스 감염과의 관련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비호지킨 림프종에서는 유전적 소인, 면역억제 상태, 화학물질 및 방사선 노출 등이 발병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림프종 발생 기전에는 종양 억제 유전자의 불활성화, 암 유발 유전자의 활성화, 세포자멸사 억제, 세포 증식 신호 증강 등이 관여한다.
1.2.4. 증상과 징후
림프종 환자의 증상과 징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림프절 비대와 이로 인한 압박증상이다. 비대된 림프절을 주변 신경에 압박을 가하지 않는 한 통증을 유발하지는 않으나, 소량의 음주 후에 갑작스런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종격동과 후복막강 내 림프절이 침범되면 심한 압박증상이 초래된다. 기관압박으로 인한 호흡곤란, 식도압박으로 인한 연하곤란, 그리고 신경압박으로 인해 후두마비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