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사례연구
1.1. 환자의 간호정보
1.1.1. 일반적 사항
환자의 일반적 사항은 다음과 같다.
이름 나이 성별 체중 입원일 (수술일) 퇴원일 간호수행기간은 한**(여성, 52kg)이며, 2018.05.29.에 입원하였고 2018.05.29.에 수술을 받았으며, 2018.06.01.에 퇴원하였다. 간호수행기간은 5.29~6.1이다.
주소증은 호흡곤란(dyspnea)과 가슴통증(chest pain)이며, 진단명은 STEMI(ST 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이다.
1.1.2. 대상자의 건강력
대상자의 건강력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발병 당시 6년 전 esophageal stricture로 LMC에서 수술을 시행받았고, 그 때부터 GERD로 약물 치료 중이었다" 발병 6년 전 화장실에서 현기증 증상 후 실신이 있었으나 추가 검사를 받지 않았다" 발병 5년 전에는 이불을 정리하던 중 다시 현기증이 발생하여 쓰러졌으나 의식 소실은 없었고, 이후 간헐적인 현기증이 지속되어 LMC를 방문하여 부정맥 진단을 받고 약물 치료를 받았다" 발병 4년 전에는 BPH 진단을 받고 약물 치료 중이었다" 발병 4년 전 본원 CV 내원하여 부정맥으로 cardioversion을 시행받았고, 이후 warfarin과 cordarone을 복용 중이었다" 발병 2주 전 폐렴 진단으로 입원하여 항생제 치료를 받았으나 증상이 지속되어 약물 변경 후 내원하게 되었다""
1.1.3. 건강사정
대상자의 건강사정은 다음과 같다"
건강관리 양상: 남편과 사별하고 딸이 주는 생활비로 생활하고 계시며, 주 3회 이상 동네 친구분들과 운동하며 건강관리를 하고 계신다"
영양 - 대사 양상: 최근 3개월 사이 3~6kg정도의 체중감소, 평소 섭취량의 1/2이상 감소, 소화기계의 장애(오심/연하곤란/구토/복부팽만/소화장애/복부동통)가 나타나고 계신다"
배설양상: 입원 전에는 평균 하루 5~10회 배뇨, 평균 이틀에 한번 배변하셨다"
활동과 휴식양상: 입원 전 자가 보행이 가능하셨으나, 현재 하루 종일 집에서 생활하고 계시며, 일찍 잠들고 새벽에 자주 깨시며 평균 6시간 이상 수면하신다"
역할관계 양상: 남편과 사별하고 혼자 생활하고 계시며, 가장 중요한 사람은 딸이다. 딸에게 생활비를 받아 생활하고 계신다"
인지-지각 양상: 긍정적으로 생각하나 PCI수술 후 망상증상이 나타나 진정이 되지 않고 있다. 이해정도와 학습능력은 정상이다"
1.1.4. 신체검진 결과
신체검진 결과, 대상자의 피부는 색깔이 정상이나 윤기가 없고 탄력성이 떨어져 있었다. 손톱이 두껍고 갈라진 상태였다. 균형잡힌 안면부를 보였으며, 압통은 없었다. 눈의 공막은 아이보리색이었고 결막은 분홍색을 띠고 있었다. 동공의 크기는 정상범위였으며 시야와 안구에도 특이 소견이 없었다. 청력과 외이, 분비물, 고막, 이개 등 귀 부분도 정상이었다.
코의 외형과 비강, 중격, 부비동에서 특이 소견은 없었다. 입술이 건조하고 틈이 있었으며, 치아는 정상이었다. 잇몸이 붉었고 혀에 백태가 있었다. 그 외 구강 내 점막, 편도선 등은 이상소견이 없었다.
경부, 쇄골하부, 상박, 액와, 서혜부, 대퇴 림프절에서도 특이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유방의 외형과 유두는 정상이었다. 호흡기계에서는 얕고 잦은 호흡을 하면서 흉통과 답답함을 호소하였다.
순환기계 검진에서는 정상 심음을 보였으며, 복부는 대칭적이고 장음이 감소되어 있었다. 수술로 인해 좌측에 JP 배액관 2개, 우측에 CTD 배액관 1개가 있었다. 생식기계와 항문 부위에서도 특이 소견은 없었다. 사지와 관절에서도 정상소견이었다.
신경학적 검진에서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전반적인 외모는 좋은 편이었다.
1.2. 진단적 검사
1.2.1. 혈액검사
혈액검사는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와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 경과를 확인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사례 연구에서 시행한 주요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백혈구(WBC) 수치는 입원 당시 10.79x10^12/L로 정상범위(4-10x10^12/L)를 초과하였으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최대 21.31x10^12/L까지 증가하였다. 이는 감염, 조직괴사, 염증 등의 병적 상태를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적혈구(RBC) 수와 헤모글로빈(Hb), 헤마토크릿(Hct) 수치는 입원 시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RBC는 3.95x10^12/L에서 최저 3.41x10^12/L까지 감소하였고, Hb는 10.8g/dL에서 10.1g/dL, Hct는 31.8%에서 30.7%로 감소하였다. 이는 수술 및 항응고제 사용에 따른 출혈로 인한 빈혈을 시사한다.
혈소판(Platelet) 수치는 정상범위(150-450x10^9/L)를 유지하였다.
응고 관련 지표인 프로트롬빈 시간(PT)과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PT는 15.2초에서 38.1초로, aPTT는 44.1초에서 45.3초로 증가하였다. 이는 항응고제 사용으로 인한 응고 시간 지연을 반영한다.
간 효소 지표인 AST(SGOT)와 ALT(SGPT)가 상승하였다. AST는 321 U/L까지 증가하였고, ALT는 107 U/L까지 상승하였다. 이는 심근경색으로 인한 심근 손상을 시사한다.
전해질 검사에서는 입원 당시 나트륨(Na+) 147 mEq/L, 칼륨(K+) 3.5 mEq/L로 정상 범위를 유지하였다.
마지막으로 심근효소 검사에서 Troponin I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심근경색의 진단 및 심근 손상 정도를 확인하는데 유용한 지표이다.
종합하면, 본 사례에서 시행한 혈액검사 결과는 STEMI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생리적 변화를 잘 반영하고 있다. 감염, 출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