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뮤추얼펀드
1.1. 뮤추얼펀드의 개념과 특성
뮤추얼펀드는 투자자로부터 모은 자금을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에 투자하여 그 수익을 투자자에게 분배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이다. 법적으로는 증권투자회사라고 한다. 뮤추얼펀드는 회사 업무를 모두 외부기관에 위탁·운용하는 명목상 회사(Paper Company)이다.
뮤추얼펀드에 가입한 투자자들은 주식회사의 주주와 동일하게 장부열람권, 주주총회 투표권 등의 권한을 가질 수 있다. 투자자는 주주로서 주주총회를 통해 회사 운영 및 투자정책에 참여하고 여러 가지 주주의 권한을 이용하여 펀드 운용을 감시할 수 있다. 이것은 기존 펀드인 계약형 투자신탁과 차별되는 특징이다.
또한 뮤추얼펀드는 투자과정의 투명성이 뛰어나다. 주식의 모집, 자산운용, 자산보관 및 일반사무에 관한 업무를 별도의 외부기관에 분산 위탁함으로써 투자 관리감독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주주총회를 통해 주주가 회사 운영에 참여할 수 있으며, 회사 내부에 독립적인 감독이사제도와 공인회계사 자격의 감사 제도를 두고 있다. 또한 영업보고서를 매월 작성하여 공시하는 등 투자과정에 대한 공시를 엄격하게 규정하여 운영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있다.
1.2. 뮤추얼펀드의 역사
뮤추얼펀드의 역사는 19세기 말에 위탁투자의 형태로 시작되었다. 돈은 있으나 투자하는 방법을 모르고 투자자금이 충분하지 않은 사람들이 자금을 모아 투자 전문가에게 관리를 맡겨 이익을 분배 받는 형식으로 시작되었다. 투자를 할 때는 분산하여 투자하라는 투자원칙을 따르자니 자금이 충분하지 않고 투자에 대한 상식이 부족하여 위험을 관리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전문가에게 맡기게 된 것이 뮤추얼펀드 발생의 동기가 되었다.
이렇게 전문가에 의해 관리되는 뮤추얼펀드는 1929년 세계대공황 때에도 배당을 해 준 기록이 있으나, 그 이후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얼마 후까지는 크게 발전을 보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1950년대에 들어서면서 자금을 공개로 모집하는 뮤추얼펀드회사들이 생겨나면서 대형화되기 시작했으며, 최근에는 거의 매 3년마다 뮤추얼펀드회사에서 관리되는 자금이 2배씩 팽창하고 있는 실정이다.
1.3. 뮤추얼펀드의 장점
1.3.1. 분산 투자
뮤추얼펀드는 분산 투자를 통해 투자의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뮤추얼펀드는 여러 종류의 주식, 채권, 모기지 등에 100여 종 이상으로 분산 투자함으로써 손실 부담을 줄이고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투자의 기본 원칙에 따라 한 곳에 집중 투자하는 것은 안정성이 부족하므로 여러 곳에 나누어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뮤추얼펀드는 이러한 분산 투자 전략을 통해 수익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1.3.2. 관리의 전문화
뮤추얼펀드는 관리의 전문화를 통해 수익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 뮤추얼펀드는 여러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투자 전문가들에 의해 운영되기 때문에, 이들은 이익을 많이 낼 수 있는 우량한 회사, 발전 전망이 있는 산업, 우수한 경영진이 있는 회사 등을 선별하여 투자한다. 대개의 투자에서는 수익성이 높을 경우 안전성이 낮거나 그와 반대로 안전성이 높을 경우 수익성이 낮게 마련이지만, 뮤추얼펀드는 고도의 전문지식과 경험을 갖춘 투자 전문가들에 의해 여러 곳에 분산투자되기 때문에 수익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 즉, 뮤추얼펀드는 전문가에 의해 체계적으로 운용되어 일반 투자자가 단독으로 투자하기 어려운 분산투자와 포트폴리오 관리 기법을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이를 통해 뮤추얼펀드는 개인 투자자에 비해 보다 높은 수익률과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1.3.3. 자금회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