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급성 신우신염
1.1. 정의
급성 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은 신우와 신장실질의 광범위한 발열성 감염을 의미한다. 신장의 세균감염으로 인하여 발생한 요로감염증으로, 대부분의 요로감염증은 방광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으나 신장을 침범하여 급성 신우신염이 발생하면 고열, 오심, 구토 및 요통이 발생하고, 합병증으로 신장농양 및 패혈증이 생길 수 있으며 반복적인 신우신염은 신장손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
1.2. 원인
1.2.1. 원인 세균
급성 신우신염의 원인 세균은 주로 대장균(E.coli)이다. 대장균이 원인균의 약 85%를 차지한다. 이 외에도 group B streptococci, Klebsiella pneumoniae, Proteus, Staphylococcus species 등의 다른 세균들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대장균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소화기관에 상주하며 대부분 무해하지만, 때때로 방광 및 요도로 침입하여 요로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여성의 경우 해부학적 구조상 요도가 짧아 대장균이 쉽게 요도를 거쳐 방광으로 침입할 수 있다. 또한 비뇨기계 수술이나 시술 후 세균이 요로로 유입되어 감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 외에 드물게 Salmonella typhosa, Corynebacterium diphtheriae, Mycoplasma pneumoniae, Leptospira 등의 전신 감염 병원체에 의해서도 신우신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신장 침범 없이도 간질성 신우신염 소견을 보일 수 있다.
요약하면, 급성 신우신염의 가장 주요한 원인균은 대장균이며, 이 외에도 다양한 세균들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상행성 요로 감염을 통해 신장으로 세균이 침투하여 감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2. 발생 위험 요인
여아, 비포경 수술 남아, 방광 요관 역류, 폐쇄성 요로계 기형, 신경성 방광, 음순 유착, 배뇨 훈련, 배뇨 이상(불완전 방광), 변비, 요로 상피 세포의 특수 수용체, 요관 기구 삽입, 요충 감염, 비위생적 관리(배변 후 뒤에서 앞으로 닦기), 통목욕, 분유 수유 등이 급성 신우신염의 발생 위험 요인이다.
1.3. 병태생리
신우신염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신실질에 부종과 농양이 있으며 세뇨관 내와 주위에 다핵백혈구의 침윤이 있고 농양 내에서 병원균을 보이는 경우도 흔하다. 염증부위는 염증이 없는 부위와 경계가 분명하고 전체적으로는 삼각형으로 첨부가 수질에 위치하는데 조직괴사는 신피질에서 더욱 심하다. 염증초기에 독소와 신실질 내 부종으로 혈류저하가 나타나며 이는 조직괴사에 큰 역할을 한다. 사구체는 대개의 경우 보존된다. 급성과 만성 염증소견이 동시에 나타나며 세포침윤보다는 부종과 섬유화가 현저할 때도 있다. 또한 전신성 감염에서는 원인균의 신장침입이 없는데도 부종과 단핵세포침윤이 두드러진 간질성 신우신염의 소견을 보이는 경우도 많다."
1.4. 임상증상
급성 신우신염 환자의 주요 임상증상은 갑작스러운 고열, 오한, 옆구리 동통, 메스꺼움, 빈뇨, 농뇨와 세균뇨 등이다"" 연령별로 증상을 살펴보면, 어린이의 경우 발열(38.5도 이상), 보챔, 식욕부진, 구토, 옆구리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성인은 전신권태감, 한기, 고열, 탁뇨, 빈뇨, 혈뇨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노인의 경우 탈수, 비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는데,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고열과 오한(떨림), 측부통 등의 전형적인 증상 외에도 빈뇨, 배뇨통, 소화불량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유아나 소아의 경우 비특이적인 증상을 보여 진단과 치료가 지연되는 경우가 많은데, 음식을 잘 먹지 않거나 체중감소, 원인 불명의 발열과 소화장애가 나타날 때 신우신염을 의심해 봐야 한다""
1.5. 진단
1.5.1. 요배양 검사
요배양 검사는 소변 내 세균의 종류와 수를 확인하는 검사로, 급성 신우신염의 진단에 필수적인 검사이다. 요배양 검사에서 소변 내 단일 세균이 100,000CFU/ml 이상 검출되면 요로감염을 진단할 수 있다.
소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