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색전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초 생성일 2024.11.06
4,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폐색전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폐색전증의 개요
1.1. 정의 및 병태생리
1.2. 원인
1.3. 위험요인

2. 증상 및 진단
2.1. 증상
2.2. 진단 방법
2.2.1. 혈액검사
2.2.2. 영상검사

3. 치료
3.1. 비수술요법
3.1.1. 산소요법
3.1.2. 약물요법
3.1.2.1. 항응고요법
3.1.2.2. 혈전용해요법
3.2. 수술
3.2.1. 색전제거술
3.2.2. 하대정맥중절술
3.2.3. 경정맥 도관 색전절제술

4. 간호중재
4.1. 가스교환 증진
4.2. 심박출량 증진
4.3. 불안 감소
4.4. 출혈 위험성 감소
4.5. 응급간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폐색전증의 개요
1.1. 정의 및 병태생리

폐는 몸에 필요한 가스 교환을 하는 것이 주된 기능이다. 이를 위하여 폐에는 우심실로부터 나오는 폐동맥이 폐 전체에 걸쳐 분지되어 있으며, 이후 모세혈관을 지나 가스 교환을 하고 난 후 폐정맥을 통해 좌심방으로 들어가게 된다. 대부분의 폐색전증은 심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의 혈괴가 골반이나 하지에서 떨어져 나와 대정맥과 우심방을 거쳐 폐동맥의 작은 혈관을 폐쇄한다. 환기가 정상적일지라도 폐동맥이 부분 또는 완전히 폐쇄되면 혈류가 감소되거나 정지되어 관류장애가 오므로 환기-관류 불균형을 초래한다. 큰 혈관이 폐쇄되면 폐혈관 저항이 증가하고, 폐동맥압이 상승한다. 이에 따라 폐혈류를 유지하기 위해 우심실의 작용이 증가하게 되어 결국 우심부전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심박출량은 감소되고 수축기 혈압이 떨어지며 쇼크가 발생되고 심한 경우 사망한다. 색전 위에 혈소판이 모이고, 이는 serotonin과 thromboxane A2 분비를 증가시켜서 혈관을 수축시킨다. 광범위한 폐혈관 수축과 폐고혈압은 환기와 관류를 방해한다. 그 결과 산소화되지 않은 혈액이 동맥 순환으로 들어가 저산소혈증을 초래한다.


1.2. 원인

폐색전증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심부정맥혈전증(DVT)의 합병증이 가장 큰 원인이다. 치료하지 않은 심부정맥혈전증(DVT)의 30%에서 폐색전증이 발생한다. 정맥의 혈전이 골반이나 하지에서 떨어져 나와 대정맥과 우심방을 거쳐 폐동맥의 작은 혈관을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그 외에도 지방, 공기, 종양세포, 양수, 이물질, 주사된 입자, 감염성 섬유소 응고물, 농 등이 정맥계에 들어가서 폐색전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장골골절로 인한 지방색전과 림프조영술로 인한 유액색전도 혈류를 크게 방해하지는 않지만, 혈관을 손상시키고 급성 호흡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

임신 시 분만이나 양수천자의 합병증으로 양수색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망률이 80~90%에 달한다.

골반농양, 감염된 정맥도관 삽입, 소독하지 않은 주사기로 불법약물 사용 시에는 폐혈성색전이 흔히 발생할 수 있다.


1.3. 위험요인

폐색전증의 주요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장기간의 부동으로 정맥혈이 정체되는 상황, 즉 장기간 침상안정이나 장시간 비행기 여행 등은 폐색전증의 위험을 높인다. 최근의 수술, 특히 하지 정맥에 대한 수술은 폐색전증의 주요 위험 요인이다. 혈액응고 기능의 항진, 즉 과응고성(hypercoagulability)은 폐색전증 발생의 주요 원인이다. 과거에 폐색전증이나 심부정맥혈전증을 앓았던 병력이 있는 경우, 현재에도 재발의 위험이 크다. 화상, 임신, 호르몬 대체요법(estrogen), 심근경색증, 뇌졸중 등의 요인들도 폐색전증의 위험을 높인다. 또한 악성 종양, 특히 폐암이나 전립선암 등이 있는 경우에도 폐색전증의 위험이 증가한다. 심한 외상, 고관절이나 대퇴골 골절 등도 폐색전증의 주요 위험 요인이다. 중심정맥 카테터의 삽입 역시 폐색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


2. 증상 및 진단
2.1. 증상

폐색전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갑자기 시작된 호흡곤란, 객혈과 흉통이다"" 폐색전증의 증상은 대상자의 20% 이하에서 나타나며, 대부분의 대상자는 무증상인 경우가 많다""

대량의 폐색전증이 발생한 경우 호흡곤란, 실신 혹은 청색증이 나타날 수 있다"" 반면 흉막성 통증, 기침, 객혈은 주로 흉막에 가까운 원위부에 위치한 작은 폐색전증을 암시한다""

젊고 건강했던 환자의 경우 대량의 폐색전증에도 불구하고 단지 불안해 보이기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환자는 중등도의 운동 시에만 호흡곤란을 호소할 수 있다""

폐색전증이 심한 경우 빈호흡, 수포음, S2 심음의 강화, 빈맥, 발열, 식은 땀, S3, S4 gallop 심음, 정맥혈전증, 하지부종, 심잡음, 청색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갑작스런 흉골하 통증, 쇼크, 의식상실이 발생되고 사망할 수도 있다""

증상이 없는 작은 크기의 폐색전증이라도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폐혈관 부위가 점차 줄어들어 폐고혈압이 나타날 수 있다""


2.2. 진단 방법
2.2.1. 혈액검사

혈액검사는 폐색전증의 진단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D-dimer 검사와 일반혈액검사가 주요한 혈액검사 항목이다.

D-dimer는 혈전용해가 시작되면서 발생하는 섬유소(fibrin)의 분해산물이다. 폐색전증 환자의 90% 이상에서 D-dimer 수치가 500ng/mL 이상으로 상승한다. 따라서 D-dimer 검사는 폐색전증의 선별검사로 활용된다. 혈장 D-dimer가 낮게 나오면 폐색전증의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신 임상간호 매뉴얼 / 유해영 / 현문사
의학 약어와 해설/ 유해영 / 현문사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 최영희 외 / 현문사
성인간호학 / 서문자 외 / 현문사
퍼시픽 성인 간호학/ 이웅현 / 퍼시픽북스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www.kslm.org/
[성미혜 외]. (2018).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경기도 : 수문사.
[원종순 외]. (2014).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현문사.
[고자경 외]. (2017). 성인간호학Ⅰ. “폐색전증 (p.490~495)” 퍼시픽.
[네이버 지식백과] 폐색전증 [pulmonary thromboembolism]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제6판 상권 (n.p.: 현문사, 2016), 563-568.
폐색전증 좌측그림(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건강정보):
https://medicine.yonsei.ac.kr/health/encyclopedia/disease/body_board.do?mode=view&articleNo=66908&article.offset=0&articleLimit=12
증상(호흡곤란, 객혈, 흉통) 그림(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질환백과)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511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50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290&diseaseKindId=C000015
폐색전증 흉부 x-ray(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m.whodadoc.com/healthInfo/diseaseDic/%ED%8F%90%EC%83%89%EC%A0%84%EC%A6%9D
d-Dimer 검사: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7B74385EF4AB4B06
치료 산소요법:
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MjAyMTAzMjlfNTIg/MDAxNjE3MDA1MzM4NjEx.c3YTZVEUVoixAfHSXbUEkQnGEgkrEvX4_pCF-PSUm48g.fXhmD8Gjla-4yizuyELOwQJm9RYRW5tVyHSujgQvsMQg.JPEG.ee_nursing/E000463.jpg?type=w800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