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세 수도원 운동과 현대 교회 부흥 운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중세 교회사와 종교개혁
1.1. 중세 기독교의 배경과 문제점
1.2. 중세의 종말과 기독교의 대처
1.3. 종교개혁 운동과 주요 신학자
1.3.1. 루터와 오직 믿음, 오직 은혜
1.3.2. 츠빙글리와 '순결한' 개혁
1.3.3. 칼빈과 하나님의 주권
1.4. 한국교회의 현실과 개혁의 필요성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중세 교회사와 종교개혁
1.1. 중세 기독교의 배경과 문제점
중세 기독교의 배경과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중세는 9세기부터 16세기를 아우르는 시대로, 이 시기 유럽에서는 봉건제도와 교회의 신정정치가 대립하며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했다. 특히 당시 대표 세력인 가톨릭이 권력을 쥐고 타락해감에 따라 종교개혁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게르만 민족들이 서유럽에 정착하며 기독교를 알게 되었고, 이들은 자신들의 문화권 안에서 기독교를 토착화하고자 노력했다. 이 과정에서 자신들의 삶을 기독교 가르침에 따라 살고자 했으며, 이것이 중세 교회사의 핵심이 되었다.
그러나 샤를마뉴에 의해 구축된 유럽의 기독교 질서가 9-10세기를 거치며 내적 분열과 외부 침입으로 혼란에 빠지게 되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봉건주의 체제와 신성 로마 제국이 형성되면서 기독교 역사의 새로운 모습이 만들어졌다.
교회와 수도원은 개혁 운동을 통해 권력의 중심이 되었고, 교회 세력이 강화되면서 동서방 교회가 분열하고 십자군 전쟁이 일어나는 등 문제가 생겨났다. 특히 교황과 황제가 '서임권'을 두고 싸우며 갈등이 심화되었다.
당시 유럽 교회는 성경이 가르치는 바를 따르지 않고 무지와 미신에 젖어 있었다. 따라서 전 유럽에서 개혁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1.2. 중세의 종말과 기독교의 대처
중세 교회는 13세기에 가장 강력한 권력을 지니게 되었다. 하지만 14세기에 들어 쇠퇴하게 된다. 르네상스를 통해 인간의 가치가 재발견되면서 하나님의 이름으로 정당화되던 13세기까지의 흐름에 커다란 도전이 등장하게 된다. 교황권의 쇠퇴, 중앙집권적 근대 국가관의 등장, 르네상스를 통한 시민 의식의 고양 등 새로운 질서가 나타났다. 특히 기독교와 관련해서는 신앙에 대한 이해가 교회의 가르침에 따르기보다는 개인의 신앙고백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마침내 종교 개혁이라는 서구 기독교의 대분열이 나타나게 된다.
중세는 교황권과 가톨릭 교회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기에, 중세의 몰락은 곧 교황권의 쇠퇴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었다. 사회구조적으로도 농경문화에서 도시문화로 바뀌어 감에 따라 '토지'라는 매개로 이어졌던 신분과 사회 질서가 변화되어 갔다. 교황권도 점점 약해져 갔는데, 교황 ...
참고 자료
정원래, “멜란히톤 종교개혁 신학의 틀을 세우다”, 익투스, 2017.
Andrew Atherstone. “The Reformation Faith & Flames”. a lion book, 2011.
최형걸, “중세교회사”, 이레서원, 2000.
심창섭, 채천석. “중세 교회사”, 도서출판 솔로몬, 1998.
윌리스턴 워커, 송인설 역, “기독교회사”, CH북스 크리스천다이제스트, 2018.
로드니 스타크, 손현선 옮김., “우리는 종교개혁을 오해했다”, 헤르몬, 2017.
한홍, “한홍 목사의 종교개혁 히스토리”, 2017.
오덕교, “종교개혁사”,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2002.
이재근, 송인규, 정재영, “종교개혁과 평신도의 재발견. 평신도에게 종교개혁은 어떤 의미인가”, 한국교회탐구센터, 2017.
개역개정성경
키르시 스티예르나, 박경수 김영란 역 “여성과 종교개혁”, 대한기독교서회,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