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보건의료법규의 중요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전문직 표준과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1.1. 간호전문직 표준의 필요성과 중요성
1.1.1. 간호전문직 표준
1.1.2. 간호실무의 법적 기준 필요성 및 중요성
1.1.3. 간호실무의 윤리적 기준 필요성 및 중요성
1.2. 간호전문직 표준과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1.2.1. 간호전문직 수행 표준
1.2.2. 간호실무의 표준
1.2.3.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1.3. 자신의 임상경험에서의 간호의 법적, 윤리적 딜레마 분석 및 평가
1.4. 간호전문직 표준과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에 대한 종합적 평가와 의견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전문직 표준과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1.1. 간호전문직 표준의 필요성과 중요성
1.1.1. 간호전문직 표준
간호전문직 표준은 간호사의 전문직 수준을 향상시키고 간호실무의 수월성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하다. 미국간호협회(ANA)에서는 1960년대부터 간호전문직 수행의 표준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1973년 최초의 간호표준을 발표했는데, 이는 간호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후 1991년 새로운 수정안을 발표하였다.
간호전문직 표준은 전문직 수행의 표준 윤리, 업무수행 평가, 교육, 연구, 협동, 자원활용, 간호의 질 관리 등 7가지 영역으로 구성된다. 전문직 수행의 표준 윤리는 간호사가 대상자의 입장에서 모든 간호행위와 의사결정을 윤리적으로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업무수행 평가는 간호사가 전문직 실무표준과 관련법규에 준하여 간호업무수행을 평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육은 간호사가 최신 지식과 능력을 습득하고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는 간호사가 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실무에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협동은 간호사가 동료를 지지하고 건강팀과 협동해야 한다는 것이다. 자원활용은 간호사가 간호업무에 필요한 자원을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간호의 질 관리는 간호사가 간호의 질을 평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한간호협회에서 제시한 간호실무 표준에는 자료 수집, 진단, 계획, 수행, 평가의 5가지 영역이 포함된다. 자료 수집 표준은 간호사가 대상자의 건강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해야 한다는 것이다. 진단 표준은 간호사가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간호진단을 내려야 한다는 것이다. 계획 표준은 간호사가 대상자의 간호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목표를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수행 표준은 간호사가 간호계획에 따라 간호중재를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평가 표준은 간호사가 간호중재를 평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간호전문직 표준은 간호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간호실무의 수월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필요한 기준이다. 간호 전문직의 발전을 위해서는 간호전문직 표준의 지속적인 개발과 적용이 중요하다.
1.1.2. 간호실무의 법적 기준 필요성 및 중요성
간호실무의 법적 기준 필요성 및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법은 인간의 사회생활에 대한 규범이며, 정치적으로 조직된 사회의 강제성을 띠게 된다. 이러한 법의 효력이란 구속력을 갖는 것으로써, 규범이 정한 방법대로 행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전문직에 있어서 법의 효력은 일정한 자격을 갖춘 자에게만 의료와 같은 특정한 행위를 할 수 있는 독점적 권리를 주고 있다.
간호사의 직업은 '반전문직'이라고 불려지는 불완전한 전문직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 의료 과학기술의 발전, 환자인구의 노령화, 만성 및 퇴행성질환의 증가, 진료유형의 변화 등은 간호사들이 환자치료에서 점차 기술적, 사회적으로 더 큰 책무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간호사들은 간호직을 반전문직의 범주에서 전문직의 범주로 옮겨 놓으려는 시도들을 하였다. 교육을 강화하고, 간호사의 역할을 확대하여 자율성과 전문적 책임의 증대를 가져오도록 하였다.
이러한 간호사의 역할과 업무의 변화는 새로운 법률의 제정을 필요로 하였고 이러한 간호전문직 표준을 규정하는 법적 기준을 제대로 확립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화 된 간호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법적 기준이 필요하다.
1.1.3. 간호실무의 윤리적 기준 필요성 및 중요성
윤리적으로 의사결정하고 행동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개인적 특성이나 가치관, 문화, 법률...
참고 자료
이병숙 외. (2019). 간호관리학 제4판. 학지사메디컬. 서울
장금성 외 (2015). 간호윤리학과 전문직. 현문사
대한간호협회 홈페이지 ( http://www.koreanurse.or.kr/main.html )
안락사 합법화 논쟁 부상… "죽을 권리를 달라"
( http://www.sisaweek.com/news/curationView.html?idxno=137810 )
한성숙(2011), 전문간호사의 역할과 정책, 현문사
이상미(2011), 간호윤리와 법, 예하미디어
한성숙 외(2010) 간호윤리학. 개정2판. 서울: 대한간호협회; 2004. 63p~80p.
고명숙 외. 간호학개론. 개정3판. 파주: 수문사; 2011. 419p~439p.
김인숙 외. 최신 간호관리학. 개정3판. 서울: 현문사; 2012. 503p~505p.
정면숙 외. 알기 쉽고 현장감 있는 간호관리학. 서울: 현문사; 2014. 590p~613p.
강신국,‘5년간 간호사 기준 안지킨 병원 7147곳...처분은 단 150곳’,데일리팜,2022.11.08.
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93692&REFERER=N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