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년인턴 수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청년 실업 현황과 대응책
1.1. 한국의 청년 실업 문제
1.1.1. 청년 실업의 심각성과 원인
1.1.2. 정부의 청년 실업 대책
1.2. 청년 인턴십 제도
1.2.1. 청년 인턴십의 개념과 종류
1.2.2. 청년 인턴십 사례 분석
1.2.3. 청년 인턴십 제도의 장단점
1.3. 효과적인 청년 실업 대응방안
1.3.1. 일자리 창출 및 성차별 해소
1.3.2. 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 강화
1.3.3. 기업의 신규 인력 채용 확대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청년 실업 현황과 대응책
1.1. 한국의 청년 실업 문제
1.1.1. 청년 실업의 심각성과 원인
1997년 IMF 관리체제 이후 국가 경쟁력이 크게 악화되면서 많은 기업이 도산하였고, 이에 따른 정리해고, 신규 인력 채용 감소, 영세 사업장의 폐업 등으로 인해 수많은 실업자가 발생하였다. IMF 이후에도 고용구조가 매우 취약해졌는데, 특히 취업의 취약계층인 여성, 노인, 청년들의 취업이 더욱 힘들어졌다. 그중에서도 일자리가 줄어들수록 새롭게 노동시장에 진입하려는 청년층이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되었다.
예전에는 청년층의 실업문제를 경제성장을 통해 충분히 해결 가능한 것으로 생각했지만, 현재의 청년층 실업문제는 경제성장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경험하게 되었다. 초기의 실업은 향후 실업에 빠질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청년층이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초기에 실업상태에 빠지는 것은 심각한 장기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연령계층에 비해 청년계층의 실업은 훨씬 심각하다. 청년들의 실업은 산업의 성장동력을 약화시키고 나아가 국가복지의 근간을 허물어 사회의 활기를 떨어뜨린다는 점에서 국가적 불행인 것이다.
1.1.2. 정부의 청년 실업 대책
정부의 청년 실업 대책은 다음과 같다.
IMF 경제위기 이후 급격히 늘어난 청년 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먼저 청년 실업자를 위해 '단기 일자리 제공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정부지원 인턴제'를 통해 1999년부터 2001년 6월까지 총 13만 2,524명의 청년 실업자를 인턴으로 채용하였다. 이 중 약 72%인 6만 7,371명이 정규직으로 채용되었다. 이는 여성과 지방대학 졸업자 등 취업 취약계층의 취업 기회 확대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공공부문에서 청년들이 선호하고 능력 개발 및 직업 경험을 쌓을 수 있는 다양한 인턴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아울러 정부는 '직업능력개발사업'을 통해 IT전문 교육, 저소득 가정 청소년 소프트웨어 기초교육 등 청년들의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창업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대학 내 창업동아리를 발굴하고 창업교육을 지원하는 등 청년의 기업가정신 함양과 창업 활동을 장려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단기 일자리 제공, 직업능력 개발, 창업 지원 등의 정책 외에도 중장기적으로 청년 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청소년 직장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재학생과 졸업생에게 기업과 공공기관에서의 실무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No Experience – No Job'의 악순환을 끊고자 한다.
또한 중소기업에 대한 청년들의 취업을 유도하기 위해 중소기업 작업환경 개선 지원, 중소기업 인력 부족 해소 등의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학교 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를 강화하고, 기업의 신규 인력 채용을 독려하는 등 중장기적인 해결책 마련에도 힘쓰고 있다.
종합해 보면, 정부는 청년 실업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단기적으로는 인턴십 제공, 직업훈련 등을 통해 청년들의 취업 기회를 높이고, 중장기적으로는 청년층의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와 신규 인력 채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참고 자료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063&bbs=INDX_001
http://blog.naver.com/vitaminwon?Redirect=Log&logNo=60064208752 청년인턴비판의견(참가자입장)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view.html?cateid=1041&newsid=20090212151007871&p=ytni&RELATED=P1 인턴교육
http://fsc.news.go.kr/gonews/branch.do?act=newsList§ionId=p_sec_1 금융위원회 뉴스
http://ftc.korea.kr/gonews/branch.do?act=detailView&dataId=155328187§ionId=p_sec_9&type=news&flComment=1&flReply=0 공정거래위원회 대통령보고내용
http://blog.naver.com/sanbada09?Redirect=Log&logNo=130043477617 잡셰어링 비판기사
http://korea.kr/newsWeb/pages/brief/categoryNews2/view.do?newsDataId=148662539&category_id=subject§ion_id=EDS01
http://www.eprobank.com/internship/internship01.asp
http://www.kbstar.com
http://cafe.naver.com/kbstarkb.cafe KB인턴모임
http://blog.daum.net/hellopolicy/daum 정책공감 블로그
http://www.kesi.or.kr/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http://www.seoul.go.kr/ 서울시청
http://www.eprobank.com/ 프로뱅크, HR컨설팅회사
기본 자료
고인숙(2020), 「교육심리학 강의교안」, 배움사이버 평생교육원
하워드 가드너(2007), 『다중지능』, 문용린·유경재 역, 웅진지식하우스
단행본 및 논문․평론
김동일·박소영(2015), 「다중지능 잠재 프로파일 분석」, 『교육심리연구』, 29(1)호
김말선·김종운(2012),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진로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진로교육연구』, 25(3)호
김은주·정태희(2011), 「다중지능을 활용한 중학교 문학 수업 연구」, 『교육실천연구』, 10(1)호
안윤정(2015), 「대학생의 직업정체성 단계에 따른 정서지능과 진로미래 관계 연구」, 『진로교육연구』, 28(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