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의 아동미술을 제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동미술
1.1.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의 아동미술
1.1.1. 아동미술 지도를 위한 보육교사의 자질과 역할
1.1.2. 자신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통한 강점과 약점별 함양 전략 방안
1.2. 아동미술의 중요성
1.3. 아동미술 지도에서의 교사 역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동미술
1.1.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의 아동미술
1.1.1. 아동미술 지도를 위한 보육교사의 자질과 역할
보육교사는 아동미술 지도를 위해 다음과 같은 자질과 역할을 갖추어야 한다.
보육교사는 기본적으로 인내심, 융통성, 개방성과 원만한 대인관계 등의 자질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통해 아동의 미술 활동에 긍정적이고 지지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또한 아동의 발달 단계와 특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의 흥미와 수준에 적합한 미술 활동을 계획하고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보육교사는 미술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지속적으로 함양해야 한다. 미술 재료, 기법, 구성 등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아동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유롭고 창의적인 표현을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을 활용하여 아동의 미적 감수성과 안목을 키워나갈 수 있어야 한다.
보육교사는 아동 중심의 관찰과 기록, 평가를 통해 아동의 발달과 흥미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여 미술 활동을 계획하고 운영해야 한다. 아동의 자유로운 표현을 지지하고 격려하되, 필요시 적절한 개입과 도움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아동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면서도 적극적인 참여와 경험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처럼 보육교사는 아동미술 지도를 위해 다양한 자질과 역할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통해 아동 개개인의 발달과 창의성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1.1.2. 자신에 대...
...
참고 자료
손원경, 조혜진, 김옥주, 이현숙, 2010, 「현장중심 미술수업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지식 변화 탐색」, 유아교육연구, 30(4), 319-339.
신현지, 2016, 「누리과정 미술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 및 현황 연구 –제주도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양윤정, 최현승, 2007,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미술과 내용 교수 지식(PCK) 연구」, 연구보고 RRI 2007-3-6, 서울:한국교육과정평가원.
현화동, 2018, 「유아교사의 미술교육 교수법 개선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소은 외, 아동미술, 양서원, 2017.
이희선 외, 놀이중심 영유아 미술교육, 어가 2020.
김현자 외, 활동중심 아동미술, 창지사, 2019.
정채영 외,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놀이중심 유아미술교육의 방향, 인문사회21, 2020.
교육부 ・ 보건복지부, 2019 개정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 보건복지부, 2019 개정누리과정 놀이이해자료
신현지(2016). 누리과정 미술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 및 현황 연구-제주도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장성은(2011). 유아 미술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교육실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5).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김여원(2022). 아동의 창의성 발달을 위한 미술활동 프로그램 연구-만3세~5세를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미술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