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배 과수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과수원예의 정의와 특징
2. 과수원예의 재배 특성
2.1. 영년생 작물로서의 특성
2.2. 토양과 기후 조건의 중요성
2.3. 병해충 및 환경 요인에 대한 취약성
3. 과수원예의 경제적 특성
3.1. 과수 원예 생산액 및 주요 품종
3.2. 초기 투자 및 유지비용의 높음
3.3. 국내 시장 개방에 따른 과제
4. 과수원예와 과학기술의 결합
4.1. 스마트팜 기술의 활용
4.2. 노동력 감소와 생산성 향상
4.3. 병해충 관리 기술의 발전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과수원예의 정의와 특징
과수원예는 식용이나 산업용 원료로 이용할 수 있는 과실나무를 집약적으로 재배, 생산하는 원예 농업의 한 분야이다. 과수원예는 영년생 작물로서 한 번 심으면 수십 년 또는 반영구적으로 스스로 자랄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첫 수확이 가능한 결실 연령에 이르기까지 3~4년이 걸리는 것이 큰 특징이다. 따라서 과수원예는 초기 재배 환경, 특히 토양의 성질이 매우 중요하다.
과수는 토양 깊숙이 뿌리를 내리는 심근성 작물이기 때문에 토양이 깊고 배수가 잘되는 적지에서 경작해야 하며, 수직 방향으로 입체적으로 자라나므로 햇볕을 골고루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과수는 유전적으로 불안정한 특성이 있어서 품종 고유의 특성이 세대에 걸쳐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어렵다. 따라서 수확된 과실의 수량, 품질, 크기 등에서 차이가 발생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품종의 선택에서부터 품질, 재배지 환경 적합성, 관리 방법 등에 대한 심사숙고가 필요하다.
과수는 영년생 작물이기 때문에 병해충에 취약하다. 재배지에 적합한 품종을 선택했다 하더라도 다양한 자연적 요인에 의해 피해를 볼 수 있으며, 한번 병해충이 발생하면 이후에도 영향을 받게 되어 농가 소득에 직접적 타격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병해충 및 방제 정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
2. 과수원예의 재배 특성
2.1. 영년생 작물로서의 특성
과수는 영년생 작물이다. 영년생 작물이란 일년생이 아닌 다년생 작물로 한 번 심으면 수십 년 또는 반영구적으로 스스로 자랄 수 있다. 그러나 첫 수확이 가능한 결실 연령에 이를 때까지 3~4년이 걸리는 것이 큰 특징이다. 그만큼 초기 재배 환경(특히 토양)의 성질이 중요하다. 과수는 토양 깊숙이 뿌리를 내리는 심근성 작물이기 때문에 토양이 깊고 배수가 잘되는 적지에서 경작해야 하며 수직 방향으로 입체적으로 자라나므로 햇볕을 골고루 받을 수 있어야 한다. 과수는 유전적으로 불안한 특성이 있어서 품종 고유의 특성이 세대에 걸쳐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어렵다. 따라서 수확된 과실의 수량, 품질, 크기 등에서 차이가 발생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사전에 품종의 선택에서부터 품질, 재배지 환경 적합성, 관리 방법 등에 대해 심사숙고해야 한다.
2.2. 토양과 기후 조건의 중요성
과수 재배에 있어 토양과 기후 조건은 매우 중요하다. 과수는 토양 깊숙이 뿌리를 내리는 심근성 작물이기 때문에 토양이 깊고 배수가 잘되는 적지에서 경작해야 한다. 또한 과수는 수직 방향으로 입체적으로 자라나므로 햇볕을 골고루 받을 수 있어야 한다.
과수 재배 기후는 적절한 온도 범위와 강수량이 중요하다. 사과의 경우 연평균 온도 8~11°C, 생육기 평균기온 15~18°C가 적당하며 토심이 깊고 통기성과 보수력이 좋은 토양이 적합하다. 배는 연평균기온 12~15°C, 10°C 이상 일수가 215~240일, 연평균 강우량은 900mm 이상인 지역에서 잘 자란다. 복숭아는 연평균기온 11~15°C인 지방에서 재배되며 내습성이 약하고 배수가 불량한 곳에서는 생육이 나쁘다.
기후변화로 인해 과수원 재배 적지가 변화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온대과수의 북상과 함께 아열대 및 열대과수 재배가 가능한 지역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주도는 기존의 감귤 외에도 바나나, 망고 등 열대과수 재배가 가능해졌다. 이처럼 기후와 토양 조건은 과수 재배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며, 기후변화에 따른 재배적지 변화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2.3. 병해충 및 환경 요인에 대한 취약성
과수 작물은 병해충에 취약하다. 재배지에 적합한 품종을 선택했다 하더라도 다양한 자연적 요인(일조, 온도, 강우량, 바람, 토양 환경 등)에 의해 피해를 입을 수 있다. 특히 과수는 영년생 작물이기 때문에 한 번 병...
참고 자료
김태성 외, 『원예작물학2』, 한국방송통신대학원출판문화원, 2021.
농업기술길잡이 062(개정판) 과수 병해충, 농촌진흥청, 2020년
“올해 농업생산액-농업소득 모두 증가 전망”, 이광조, 한국영농신문, 2024.01.30.,
http://www.youngno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440
과수학총론, 임열재 외, 향문사, 2015
두산백과, 백과사전, 과수, 과수의 특성,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22897&cid=40942&categoryId=31876
농업기술길잡이 077 과수 시설재배,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농촌진흥청, 2023
“AI로 병해충 진단하고 과수원에 로봇 상용화”, 박하늘, 농민신문, 2024.02.21.
https://n.news.naver.com/article/662/0000037906?sid=101
임열재, 과수학총론, 향문사, 2015, P15
KOSIS국가통계포털 > 노지 과수 재배면적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ET0014&vw_cd=MT_ZTITLE&list_id=F1G&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기상청 날씨누리 > 국내기후자료 > 우리나라기후 > 서울특별시, 경기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강원도, 제주특별자치도
(http://www.weather.go.kr/weather/main.jsp)
서울특별시농업기술센터 > 농업정보 (http://agro.seoul.go.kr/)
경기도 농업기술원 > 자료실 > 지도사업 (https://nongup.gg.go.kr)
경기도 농업기술원 > 생산정보 2018년 1호
강원도 농업기술원 > 농업정보 > 강원농업현황 (http://www.ares.gangwon.kr/hb/agri)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 자료실 > 지도사업 (http://ares.chungbuk.go.kr/home/main.php)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 (농업생산통계 https://www.jbares.go.kr/index.jbares)
네이버 지식백과: 사과 (https://terms.naver.com/)
네이버 지식백과: 배
네이버 지식백과: 포도
네이버 지식백과: 복숭아나무
네이버 지식백과: 감귤
농사로 > 영농기술 > 농업기술 > 포도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b/psbk/kidofcomdtyDtl.ps?pageIndex=1&pageSize=10&menuId=PS00067&sStdPrdlstCode=FT040603&sStdTchnlgyCode=GG01&sRdaStdPrdlstCode=FT&kidofcomdtyNo=24211)
농사로 > 영농기술 > 농업기술 > 작물기술정보 > 배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b/psbk/kidofcomdtyDtl.ps?pageIndex=1&pageSize=10&menuId=PS00067&sStdPrdlstCode=FT010602&sStdTchnlgyCode=GG01&sRdaStdPrdlstCode=FT&kidofcomdtyNo=24048)
농사로 > 영농기술 > 농업기술 > 복숭아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b/psbk/kidofcomdtyDtl.mo?pageIndex=1&pageSize=10&menuId=PS00067&sStdPrdlstCode=FT020604&sStdTchnlgyCode=GG01&sRdaStdPrdlstCode=FT&kidofcomdtyNo=23632)
네이버 지식백과 > 과수원예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0391&cid=46631&categoryId=46631#TABLE_OF_CONTENT18)
FAOSTAT(http://www.fao.org/faostat/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