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폐렴 매슬로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폐렴 질병 개요
2.1. 정의
2.2. 원인
2.3. 증상
2.4. 진단
2.5. 치료
2.6. 경과 및 합병증
2.7. 예방 방법
3. 폐렴 환자 간호 과정
3.1. 자료 수집
3.2. 간호진단 및 우선순위 선정
3.3. 간호계획 수립
3.4. 간호중재 수행
3.5. 간호 평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폐렴은 폐조직의 염증과 함께 발생하는 호흡기 감염으로, 전 세계적으로 많은 인구에게 영향을 주고 있는 주요 질병이다. 대상자의 폐렴 관리를 위한 간호과정을 다루며, 환자의 안전과 편안함을 보장하기 위해 이러한 과정을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보고서의 목표는 폐렴환자에 대한 종합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폐렴의 원인과 증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간호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신속하고 정확한 평가를 통해 환자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또한, 환자의 호흡기 기능과 산소 포화도를 모니터링하며, 적절한 치료 및 응급조치를 시행할 것이다. 이를 통해 환자의 회복과 건강 유지에 기여하고,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2. 폐렴 질병 개요
2.1. 정의
폐렴(pneumonia)은 폐실질에 급성 염증이 발생한 것으로, 병원체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폐렴으로 인한 사망률이 여전히 높아 감염성 질환의 주요한 사망 원인이 되고 있다.""
2.2. 원인
폐렴의 원인은 정상 방어기전의 손상, 유발 위험요인, 폐렴균 침입으로 요약될 수 있다."
정상 방어기전의 손상이 발생하면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공기 여과, 흡입공기의 습화와 가온, 후두개 개폐, 기침 반사, 점액섬모 청결작용, IgA와 IgG의 분비 및 폐포 대식세포의 방어 작용 등이 손상되면 폐렴이 발생한다."
유발 위험요인으로는 의식 저하로 인한 기침반사와 후두개 반사 저하, 기관내삽관으로 인한 기침반사 억제와 점액섬모 방어기전 손상, 공기 오염, 흡연, 상기도염, 노화에 따른 점액섬모 방어기전 손상, 영양장애에 따른 면역 기능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폐렴균은 흡인, 흡입, 혈액을 통해 폐에 침입할 수 있다. 정상 비인두와 구인두의 상주균이 흡인되거나, 공기 중 폐렴균이 호흡기도를 통해 흡입되거나, 신체의 다른 감염원에서 혈액을 통해 폐로 확산되어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2.3. 증상
폐렴은 폐실질에 급성염증이 발생된 것으로 전형적인 증상은 갑작스럽게 시작되는 발열, 화농성 가래를 동반한 기침, 흉부통증, 폐 타진 시 탁음, 진동감(fremitus) 증가, 수포음(crackles) 등이 나타난다"" 비전형적인 증상은 점진적으로 시작되고, 건성기침, 폐외 증상(두통, 근육통, 피로, 인두염, 오심, 구토, 설사)이 나타난다""
특히 유아나 노인의 경우 증상이 더욱 다양하게 나타나며, 노인에서 갑작스러운 혼동이 폐렴의 유일한 징후일 수 있다"" 폐렴의 대표적인 합병증으로는 흉막염, 흉막삼출, 무기폐, 기흉, 수막염, 급성호흡부전, 패혈증과 패혈성 쇼크 등이 있다""
2.4. 진단
폐렴의 진단은 발열 및 기침, 가래 등의 호흡기 증상을 통해서 의심할 수 있다"" 폐렴은 흉부 방사선 촬영을 통해 폐의 변화를 확인하여 진단할 수 있다""
객담검사, 혈액검사, 혈청검사, 소변항원검사 등을 통해 원인균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흉막액 배양검사, 흉부 X-레이, 흉부 컴퓨터 단층촬영(CT) 스캔 등의 검사를 통해 폐렴을 확인할 수 있다"" 청진 시 수포음이 들리는 경우에도 폐렴을 의심할 수 있다""
2.5. 치료
폐렴의 치료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한데, 활력징후의 평가, ...
참고 자료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labtestsonline.kr , 2022.09.27.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 2022.09.27.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성미혜 외, 정문각, 2020
성인간호학Ⅰ 제9판, 윤은자 외, 수문사, 2021
성인간호학Ⅱ 제9판, 윤은자 외, 수문사, 2021
기본간호학Ⅰ 제4판, 양선희 외, 현문사, 2021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황옥남 외(2018),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성미혜 외(2019),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박은영 외(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폐렴의 개요, MSD 매뉴얼 일반인용, https://www.msdmanuals.com/ko/%ED%99%88
호흡기내과 폐렴, 세브란스병원, https://sev.iseverance.com/dept_clinic/
호흡기 질환, 간호사가 알려주는 홈케어, https://khna.or.kr/homecare/index.php
성미혜 외(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원장원 외(2010), 폐렴의 진단과 치료,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황옥남 외(2018), 간호미생물학, 고문사
원종순 외(2015),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양선희 외(2020) 기본간호학 1, 2, 현문사
의학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