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분몰부피측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분몰 부피 (Partial Molar Volume)
1.1. 이론
1.1.1. 몰 분율(Mole Fraction, XA)
1.1.2. 분몰 부피(Partial Molar Volume)
1.1.3. 겉보기 몰랄부피(Apparent Molar Volume), ΦV
1.2. 실험 원리 및 방법
1.2.1. 비중병의 부피 측정
1.2.2. 물-에탄올 계의 성분별 분몰부피 측정
1.3. 실험 결과
1.3.1. 결과 요약
1.3.2. 고찰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분몰 부피 (Partial Molar Volume)
1.1. 이론
1.1.1. 몰 분율(Mole Fraction, XA)
몰 분율(Mole Fraction, XA)은 혼합 용액 내에서 특정 성분 A의 몰 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몰 분율은 용액 전체의 몰 수에 대한 특정 성분의 몰 수의 비로 정의된다.
용액이 성분 A와 B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때, 성분 A의 몰 분율 XA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XA = nA / (nA + nB)
여기서 nA는 성분 A의 몰 수, nB는 성분 B의 몰 수이다.
몰 분율 XA의 값은 항상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XA=1이면 순수한 A 성분, XA=0이면 순수한 B 성분을 의미한다. 혼합 용액의 경우 0
몰 분율은 용액의 여러 가지 물성, 즉 증기압, 삼투압, 끓는점 상승, 어는점 내림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용액의 열역학적 성질을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필수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1.1.2. 분몰 부피(Partial Molar Volume)
분몰 부피(Partial Molar Volume)는 용액 내에서 특정 성분이 차지하는 부피를 의미한다.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이성분계 혼합물(임의의 두 성분 A와 B의 혼합물)의 부피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V = ∫(nA, nB)
이 때 부피의 미분은 다음과 같이 주어지며
dV = (δV/δnA)p,T,nB dnA + (δV/δnB)p,T,nA dnB = VA dnA + VB dnB
여기서 정의된 Vi = (δV/δni)p,T,nj를 분몰부피라 한다. nj는 성분 i 이외에 각 성분의 몰 수를 일정하게 유지했다는 것을 뜻한다.
말로 표현하면 Vi는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특정한 조성을 가진 무한량의 용액에서 1몰의 1성분을 가했을 때의 부피 변화이다.
위 식을 조성, 온도,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적분하면 이성분 혼합물의 ...
참고 자료
물리화학실험 (physical chemistry lab) - 이학일 등 공저 , 네이버 위키백과 , 물리화학실험, 이문득, 자유아카데미 , 물리 화학실험 사공렬 한양대학교 출판원
화학공학용어사전, 화학용서사전편찬회, 일진사 (2017)
물리화학실험, D.Crockford, 탐구당 (1997)
Elementary Principles of Chemical Processes, Richard M. Felder, wiley (2016)
(1) 물리화학, Gorden M. Barrow, 자유 아카데미, 1993, p272∼274
(2) Lange's HnadBook of Chemistry, Norbert adolph.Lange.PH.D, p1199,1423
(3) 물리화학실험, H.D.Crockford, 탐구당 (1997. 1. 25), p7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