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RSV"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사례 연구기간 및 방법
1.3.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2. 간호과정
2.1. 간호사정
2.1.1. 건강력
2.1.2. 입원력
2.1.3. 신체검진
2.1.4. 성장발달력
2.1.5. 검사결과
2.1.6. 투약
2.2. 간호진단
2.3. 간호계획·수행·평가
3. 간호학적 측면 대안
3.1. 진단적 대안
3.2. 예방적 대안
3.3. 교육적 대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호흡기계 문제는 아동에게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문제이다. 호흡기 상태는 성인보다 소아가 더욱 민감하고 미숙한 기관이다. 따라서 기도폐쇄나 호흡부전의 발생이 더 잦고, 나이가 어릴수록 호흡기계의 미숙한 정도가 현저해 발생 시 더욱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pneumonia는 폐실질에 급성 염증이 발생된 것으로 항생제의 발달로 치료가 가능해졌음에도 폐렴으로 인한 사망률은 면역력이 약한 대상자에게는 여전히 높아서 감염질환의 주요한 사망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폐렴 환자의 빠른 회복을 도모하기 위해 수준 높은 지식을 갖춰 적절한 간호를 수행하고 싶어 아동 폐렴을 본 연구로 선정하고자 한다.
1.2. 사례 연구기간 및 방법
사례 연구기간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례연구는 실습 시작일인 23.05.08일부터 시작하였고, 대상자 퇴원일인 23.05.13일까지의 EMR 기록을 보고 조사하였다"".
1.3.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RSV 감염증은 RSV에 감염으로 인해 유발된 감염성 호흡기 질환을 말한다. 이는 만 2세까지 거의 모든 소아가 감염될 정도로 감염력이 높다. 이 바이러스에 한 번 감염되면 평생 지속적으로 재감염이 이루어진다. 성인의 경우 가벼운 감기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면역 저하자 또는 노령층에서는 중증 감염이 유발될 수 있다.
RSV는 5세 미만 아동이 감염되면 입원율이 높으며, 생후 3개월째가 감염 후 입원율이 가장 높은 연령이다. RSV는 주로 모세 기관지염과 폐렴으로 진행된다. 어린 아기가 RSV에 감염될 경우 사망 위험률이 증가하고 미숙아나 만성 폐질환, 선천성 심장 질환을 보유한 고위험군 아기가 RSV에 감염되면 심각한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다. RSV 감염증은 계절적으로 가을부터 초봄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폐렴은 말단세기관지 아래 폐씰질에 염증이 생기는 병으로 소아폐렴은 소아에서 관찰되는 폐렴을 말한다. 성인의 폐렴과는 원인 질환과 임상 양상이 다르다. RSV 폐렴은 영아의 폐렴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종종 무호흡을 동반하고 호전된 뒤에도 천식의 발병 위험을 높인다.
RSV는 일상생활에서 접하기 쉬운 바이러스로 부엌 조리대, 장난감, 수건, 담요, 이불, 사용한 휴지 등과 같은 물건에 묻은 채로 몇 시간 정도 살아있다. 이러한 RSV와 접촉하면 감염될 수 있다. 가족 구성원의 숫자가 많거나 어린이집 등과 같은 곳에서 집단 활동이나 생활을 하는 아기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감염 확률이 높다. RSV는 접촉이나 비말을 통해 기도감염을 일으키고 상기도염에서 하기도염으로 진행되면 폐렴이 발병한다.
RSV 첫 감염은 종종 울혈, 발열을 동반한 상기도질환으로부터 하기도 침범으로 진행되고, 가장 일반적으로 세기관지염, 때때로 기침가 호흡곤란을 동반한 폐렴을 야기한다. 이후 감염은 상기도만 관련이 있다. 세기관지염이 있었던 소아는 후에 천식 진단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RSV에 감염 후 3~5일에 콧물과 열이 나타나기 시작해 처음 감염된 소아의 약 절반이 기침과 쌕쌕거림을 보여 하기도가 관련된 것을 나타낸다. 6개월 미만의 영아에서 첫 번째 증상은 무호흡증이 될 수 있다. 보통 일부 소아는 중증 호흡 장애를 일으키고 그 중 소수가 사망한다. 폐렴에 걸리면 가래, 기침, 빠른 호흡, 흉통, 호흡곤란 등 호흡기계 증상이 나타난다. 전신적 감염을 일으키기에 병원성이 강한 폐렴에서는 고열과 처지는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폐렴으로 인해 가스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숨을 쉬어도 가슴이 답답하고, 빠르게 숨 쉬려고 하면 끙끙거리게 된다. 심해지면 산소포화도가 떨어진다. 흉막이 자극되면 기침이 나오는데, 심한 경우 가슴에 통증을 느낀다.
소아 폐렴은 전형적 임상 증상과 흉부방사선 소견을 근거로 진단한다. 폐 부위에 침윤이 관찰되면 폐렴으로 진...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우리나라 가을~겨울철 유행병: RSV 감염 (중앙대학교병원 건강칼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63166&docId=2109296&categoryId=51023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474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10
MSD매뉴얼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C%95%84%EB%8F%99%EC%9D%98-%EA%B1%B4%EA%B0%95-%EB%AC%B8%EC%A0%9C/%EC%98%81%EC%95%84-%EB%B0%8F-%EC%86%8C%EC%95%84%EC%9D%98-%EB%B0%94%EC%9D%B4%EB%9F%AC%EC%8A%A4%EC%84%B1-%EA%B0%90%EC%97%BC/%ED%98%B8%ED%9D%A1%EA%B8%B0-%EC%84%B8%ED%8F%AC%EC%9C%B5%ED%95%A9-%EB%B0%94%EC%9D%B4%EB%9F%AC%EC%8A%A4-rsv-%EA%B0%90%EC%97%BC-%EB%B0%8F-%EC%9D%B8%EA%B0%84-%EB%A9%94%ED%83%80%EB%89%B4%EB%AA%A8%EB%B0%94%EC%9D%B4%EB%9F%AC%EC%8A%A4-%EA%B0%90%EC%97%BC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성장도표 계산기
https://knhanes.kdca.go.kr/knhanes/sub08/sub08_04.do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성미혜, 정향미, 김영희, 양영옥(2019.08.26.),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P.277, 334, 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