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적혈구 침강 속도
1.1. 적혈구 침강 속도의 정의
적혈구 침강 속도는 "정해진 시간 동안 시험관 내에서 적혈구가 혈장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동한 거리"를 의미한다. 항응고제가 혼합된 정맥혈을 시험관에 넣고 일정 시간 수직으로 놓았을 때 적혈구가 혈장으로부터 분리되어 시험관 아래로 가라앉게 되는데, 이렇게 시간당 이동한 적혈구의 침강 선까지의 거리를 적혈구 침강속도(ESR)라고 한다. 적혈구 침강속도는 적혈구 침강에 작용하는 피브리노겐(fibrinogen)과 같은 인자와 침강에 반하는 적혈구 사이의 음전하(zeta potential)가 관여하여 형성된다.
1.2. 적혈구 침강 속도 측정법
1.2.1. Westergren법
Westergren법은 1972년에 국제표준위원회에서 전 세계 검사실의 자료를 정도 관리하기 위하여 국제표준 법으로 인정받은 검사법이다. 이 방법은 측정방법과 사용기구의 규정이 정해져 있다. Westergren법의 정상치는 다음과 같다: 50세 이하 남자 15㎜/h, 여자 20㎜/h, 50세 이상 남자 20㎜/h, 여자 30㎜/h, 85세 이상 남자 30㎜/h, 여자 42㎜/h이다. 이 방법은 정맥혈을 채취하여 3.2% 구연산나트륨 용액과 혼합한 후 Westergren 측정관에 주입하고, 1시간 후 적혈구가 침강한 높이를 mm 단위로 측정한다. 이때 측정관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워야 하며, 온도와 각도 등의 외적 요인도 결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1.2.2. Wintrobe-Landsberg법
Wintrobe-Landsberg법은 Westergren법과 차이점이 있는데, Wintrobe의 hematocrit관을 사용하며 항응고제로 EDTA나 이중수산염을 사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Wintrobe-Landsberg법에서는 Wintrobe의 hematocrit관을 사용하는데, 이는 Westergren법에서 사용하는 측정관과 구별된다"" Wintrobe의 hematocrit관은 Westergren 측정관과 다른 내경과 길이를 가지고 있어, 이로 인해 측정값에 차이가 날 수 있다""
또한 Wintrobe-Landsberg법은 항응고제로 EDTA나 이중수산염을 사용하는데, 이는 Westergren법에서 사용하는 sodium citrate와 다른 종류의 항응고제이다"" 항응고제의 종류에 따라서도 측정값에 영향을 줄 수 있다""
Wintrobe-Landsberg법과 Westergren법의 정상치는 동일하다고 언급되어 있는데, 50세 이하 남자 15mm/h, 여자 20mm/h, 50세 이상 남자 20mm/h, 여자 30mm/h, 85세 이상 남자 30mm/h, 여자 42mm/h로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Wintrobe-Landsberg법은 Westergren법과 측정 기구와 항응고제 사용에서 차이가 있지만, 정상치 기준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1.3. 적혈구 침강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3.1. 촉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