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화학반응속도와 농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화학 반응 속도와 농도
1.1. 실험 목표
1.2. 실험 이론
1.2.1. 화학 반응 속도의 정의
1.2.2. 화학 반응 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1.2.3. 반응 차수에 따른 반응 속도 변화
1.3. 실험 기구 및 시약
1.4. 실험 방법
1.5. 실험 결과
1.5.1. 삼각 플라스크 별 Na2S2O3 용액 농도 및 반응 시간
1.5.2. 농도와 시간 간의 그래프
1.6. 결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화학 반응 속도와 농도
1.1. 실험 목표
이번 실험의 목표는 화학 반응 속도를 측정하여 반응물의 농도가 반응 속도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화학 반응 속도란 반응물이 소모되거나 생성물이 생성되는 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단위시간 동안 감소한 반응물질의 농도 또는 단위시간 동안 증가한 생성물질의 농도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해 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특히 반응물의 농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1.2. 실험 이론
1.2.1. 화학 반응 속도의 정의
화학 반응 속도란 반응물이 소모되거나 생성물이 생성되는 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단위 시간 동안에 감소한 반응물질의 농도 또는 단위 시간 동안에 증가한 생성물질의 농도로 나타낼 수 있다. 즉, A 분자가 B 분자로 변환되는 간단한 반응의 진행 상황의 경우 반응속도(v)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v = -Δ[A] / Δt = Δ[B] / Δt
이때 단위 시간 동안 반응물 A의 농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Δ[A]는 음의 값이다. 반응속도의 값을 양의 값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음의 부호를 붙여야 한다.
따라서 화학 반응 속도는 단위 시간 동안 감소한 반응물질의 농도 또는 단위 시간 동안 증가한 생성물질의 농도로 정의된다고 할 수 있다.
1.2.2. 화학 반응 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화학 반응 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온도, 농도, 촉매이다.
온도가 상승하면 분자의 운동에너지가 증가하여 반응 속도가 빨라진다. 온도가 올라갈수록 분자들의 평균 운동에너지가 증가하므로 서로 충돌할 확률이 높아져 반응 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온도가 높을수록 화학 반응 속도가 빨라진다.
농도가 증가하면 단위 부피당 반응물 분자 수가 증가하므로 분자 간 충돌 횟수가 늘어나 반응 속도가 빨라진다. 즉, 반응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분자들 간 충돌 확률이 증...
참고 자료
일반화학실험 교과서 p177 ~ p179
고분자공학전송 설계/실험 자료실
https://polymer.kumoh.ac.kr/polymer/sub0603.do?mode=view&articleNo=325527&article.offset=0&articleLimit=10
화학 반응 속도론
https://ko.wikipedia.org/wiki/%ED%99%94%ED%95%99%EB%B0%98%EC%9D%91%EC%86%8D%EB%8F%84%EB%A1%A0
금오공과대학교, 일반화학실험, 사이플러스, 177p~181p, 2016
노흔효, [2021-2] 일반화학실험2 9주차 화학 반응 속도와 농도, 2021.11.09, https://polymer.kumoh.ac.kr/polymer/sub0603.do?mode=view&articleNo=330614&article.offset=0&articleLimit=10
금오공과대학교, 일반화학실험, 사이플러스 (2021.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