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미용기원에대한 특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고대 미용의 기원과 발전
2.1. 고대 미용의 개념과 특징
2.2. 단군신화와 고조선의 미용
2.3. 이집트 문명의 미용 문화
2.3.1. 이집트의 메이크업
2.3.2. 이집트의 헤어 문화
2.3.3. 이집트의 복식과 장신구
3. 한국 미용 역사의 시대별 특징
3.1. 삼국시대의 미용 문화
3.2. 고려시대의 미용 문화
3.3. 조선시대의 미용 문화
3.3.1. 피부관리 및 화장법
3.3.2. 조선시대 미용사 '수모'
3.4. 근대 및 현대 미용의 발달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미용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본능인 식욕, 성욕과 더불어 아름다움에 대한 기본행위이다. 인간은 타 동물과 달리 단순한 본능이나 필요에 의해서가 아닌 보다 상위의 만족을 위해 스스로를 꾸미는 존재이다. 이러한 미용의 기원을 살펴봄으로써 인간 문명의 발달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세계 4대 문명 중 하나인 이집트 문명의 경우, 오랜 역사와 더불어 급격한 과학적, 문화적 발전을 이루어 내면서 미용 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집트의 미용 문화가 현대 미용 문화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는 것은 미용의 기원과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2. 고대 미용의 기원과 발전
2.1. 고대 미용의 개념과 특징
고대 미용의 개념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미용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본능인 식욕, 성욕과 더불어 아름다움에 대한 기본행위이다. 고대 사회에서의 미용은 주로 피부보호, 신분표현, 여성의 아름다움 극대화, 섹시함 강조, 상처감추기, 종교의식의 일환 등의 목적으로 발전해왔다.
고대 이집트 문명에서는 분장을 하거나 향이 첨가된 연고를 사용하여 뜨거운 기후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자 하였다. 또한 높은 신분을 가진 사람들은 특정한 헤어스타일이나 복식으로 자신의 지위를 표현하기도 하였다.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에는 백납을 얼굴에 발라 피부를 희게 만들고, 메이크업으로 얼굴의 결점을 가리는 등 여성의 섹시함과 여성스러움을 강조하는 미용법이 발달하였다.
중세 유럽에서는 천연두로 인한 흉터를 감추기 위해 가루분을 발라 상처를 가렸다.
이처럼 고대 미용은 실용적이면서도 특정한 목적을 위해 발전해왔다고 볼 수 있다.
2.2. 단군신화와 고조선의 미용
단군신화에 따르면 고대 고조선인들은 향나무와 마늘, 쑥 등을 이용하여 피부 미용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신화 속 단군이 곰과 호랑이에게 쑥과 마늘을 먹게 하여 백색 피부를 가지게 했다는 대목은 당시 고조선 지배층이 흰 피부를 선호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탕액편에 기록된 "돈고" 라는 돼지기름을 바른다는 내용은 고대 고조선인들이 동상을 예방하고자 자연물을 활용한 피부 보호법을 사용했음을 알려준다. 이처럼 고대 고조선의 미용 문화는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한 피부 미백과 보호에 중점을 두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고대인들의 미의식이 깨끗하고 건강한 피부를 중요시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2.3. 이집트 문명의 미용 문화
2.3.1. 이집트의 메이크업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메이크업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눈과 입술에 화려한 색조를 사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집트인들은 검은색과 녹색, 파란색의 안료를 사용하여 눈두덩이를 칠하는 눈 화장을 즐...
참고 자료
조선왕실의 미용과 치장 이민주 저 | 세창출판사 | 2019.04.05
김남일, 『한방화장품의 문화사』, 들녘, 2013
김기영 외, 『에센스 미용학개론』, 메디시언, 2019
김옥연 외, 『미용문화사』, 메디시언, 2014
전선정 외, 『미용미학과 미용문화사』, 청구, 2008
류은주 외, 『헤어미용』, 서울특별시교육청, 2010
허순득 외, 『미용학개론』, 광문각, 2012
고대 이집트 미용문화가 현대 미용에 미친 영향, 맹유진, 한국뷰티아트학회, 2005
https://www.earticle.net/Article/A35532
고대에서부터 현재까지의 가발의 특징과 현대에서의 미용측면의 가발종류와 특징, 한미란, 남부대학교, 2006
https://docviewer.nanet.go.kr/reader/viewer
염색장, 김지희, 화산문화, 2002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88986277661
이집트 복식의 재해석을 통한 미적 특성에 따른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은실, 호남대, 2009
http://koreascience.kr/article/JAKO200921752341870.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