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베이비 붐 세대와 노후준비
1.1. 베이비 붐 세대의 현황과 특징
베이비 붐 세대의 현황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베이비 붐 세대는 한국전쟁 이후 급격한 출산율 증가로 1955년부터 1963년까지 9년 동안 태어난 약 713만 명의 인구를 말한다. 이들은 전체 인구의 14.6%를 차지하며, 현재 노년기에 접어들고 있다. 베이비 붐 세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첫째, 이들은 청년기에 산업화와 민주화를 경험한 세대이다. 1960년대의 빈곤 시대를 거쳐 1970년대 유신 시기를 겪었으며, 1980년대 산업화와 경제적 풍요, 민주화의 열망 사이에서 갈등했다. 또한 1990년대 후반에는 외환위기로 구조조정과 정리해고의 최대 피해자가 되기도 했다.
둘째, 이들은 교육, 소득, 소비 수준이 이전 세대에 비해 높다. 연금 가입률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합리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사고방식과 생활의식을 가지고 있다. 문화활동에 대한 선호도 또한 크게 나타나는데, 문화 자본이 많을수록 대중문화와 고급문화를 넘나드는 다양하고 개방적인 소비 패턴을 보인다.
셋째, 베이비 붐 세대는 주된 직장에서 빨리 퇴출되고 적절한 소득이 보장되는 직장으로 복귀하지 못해 열악한 근로생애사를 경험하고 있다. 또한 노후준비도 부족한 계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베이비 붐 세대는 한국의 경제발전을 이끌어온 세대이지만, 은퇴 및 노후 준비에 있어서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고 볼 수 있다.
1.2.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 실태
1.2.1. 연금 가입 현황
국민연금 가입 현황은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 실태를 보여주는 주요 지표이다. 1900명의 베이비 붐 세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국민연금에 가입된 비율은 약 60%에 해당하는 1,096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베이비 붐 세대 내에서도 성별,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연금 가입률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국민연금 가입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연금 가입에 필요한 경제적 여건이 잘 갖춰져 있는 집단일수록 노후준비를 체계적으로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여성, 독신가구, 저학력층 등 상대적으로 취약한 계층의 연금 가입률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베이비 붐 세대 내에서도 노후준비의 격차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1.2.2. 경제적, 신체적, 정서적 노후준비 수준
베이비 붐 세대의 경제적, 신체적, 정서적 노후준비 수준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경제적 노후준비 수준을 살펴보면, 국내 중년층들은 경제적 노후준비 정도에 대한 설문에서 자신이 얼마나 대비하고 있는지에 대해 평균값보다 조금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경제적으로 다들 보통 이상의 노후준비를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