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철학의이해: 고대 그리스 아테네 정치 요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고대 그리스 아테네의 민주주의
2.1. 아테네 민주주의의 성립
2.1.1. 초기 정치 체제와 개혁의 필요성
2.1.2. 클레이스테네스의 개혁
2.1.3. 페리클레스와 아테네 민주정의 완성
2.2. 아테네의 정치 구조
2.2.1. 민회(Ekklesia)
2.2.2. 500인 평의회(Boule)
2.2.3. 법정(Heliaia)과 시민 재판
2.3. 아테네 민주주의의 특징
2.4. 아테네 정치의 한계
3. 자본주의적 생산과 소비사회
3.1. 자본주의적 생산의 특징
3.1.1. 이윤 추구와 자본 축적
3.1.2. 경쟁과 혁신
3.1.3. 노동 분업과 대량 생산
3.1.4. 노동과 자본의 불평등
3.2. 소비사회에 대한 반성
3.2.1. 자원의 고갈과 환경 오염
3.2.2. 소비의 불평등
3.3. 생태적 삶의 실천
3.3.1. 지속가능한 소비
3.3.2. 친환경 생산과 녹색 경제
3.3.3. 사회적 책임과 공동체의 역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 '민주적 의사결정'이라는 주제는 '다수의 정치참여'와 '의사결정력의 확보'라는 정치철학적 고민으로 요약할 수 있다. 과연 대중의 정치적 참여를 보장하면서도 동시에 수준 높은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그는 이 문제를 민주정과 과두정이 혼합된 형태인 '폴리테이아'라는 이상적 정체를 제시함을 통해 해결하려고 한다. 폴리테이아가 무엇인가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는 한편으로는 다수가 파당적 이해가 아닌 공익을 위해 다스리는 정체이며, 다른 한편으로 민주정과 과두정의 요소 중 민주정의 성격이 더 짙은 정체라고 설명한다. 이를 통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의도는 아테네의 민주주의를 고양하고 또 보호하기 위해, 그것이 파당적 이해에 지배당하지 않고 정치 공동체전체의 이익을 추구하도록 하는 데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고대 그리스 아테네의 정치, 자본주의적 생산의 특징, 소비사회에 대한 반성과 생태적 삶의 실천에 대해 요약해 보겠다.
2. 고대 그리스 아테네의 민주주의
2.1. 아테네 민주주의의 성립
2.1.1. 초기 정치 체제와 개혁의 필요성
아테네의 초기 정치 체제는 귀족 중심의 올리가르키(oligarchy), 즉 귀족정으로 운영되었다. 귀족들은 정치적 권력과 경제적 자원을 독점하며, 다수의 시민은 정치에서 배제되었다. 이러한 정치 구조는 사회적 불평등과 내부 갈등을 심화시켰고, 시민들의 불만을 고조시켰다. 기원전 7세기경 아테네에서는 솔론(Solon)이 등장해서 정치 개혁을 단행했다. 솔론은 법 개정을 통하여 부의 수준에 따라 정치 참여 자격을 부여하는 재산 등급제를 도입했으며, 빚에 의해 노예가 되는 것을 금지하는 등 빈민층의 고통을 경감시키는 조치를 했다. 그러나 솔론의 개혁은 귀족과 빈민 사이의 갈등을 완전하게 해결하지 못하였고, 아테네는 이후에 티라노스(tyranny), 즉 독재 정치를 겪게 된다.
2.1.2. 클레이스테네스의 개혁
클레이스테네스의 개혁은 기원전 508년경 아테네에서 단행된 대규모 정치 개혁으로, 민주주의 체제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클레이스테네스의 개혁은 기존의 귀족 중심의 혈연적 집단이 아닌, 지역 공동체를 기반으로 시민을 구성함으로써 정치 참여의 폭을 넓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먼저 클레이스테네스는 종래의 4개 부족제도를 개편하여 전국을 30개의 지구(deme)로 나누고, 이를 다시 10개 부족으로 재편성했다. 이를 통해 혈연에 기반한 전통적인 부족제도에서 벗어나 지역 공동체를 기준으로 시민들을 새롭게 조직화했다. 또한 4백명으로 구성된 평의회(Boule)를 5백명 규모로 확대하여, 시민들의 정치 참여 기회를 확대했다.
이러한 클레이스테네스의 개혁은 당시의 아테네 정치 체제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다. 기존 귀족 중심의 정치 구조에서 벗어나, 모든 시민들이 정치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아테네는 점차 민주주의 체제로 발전하게 되었다.
클레이스테네스의 개혁은 또한 아테네 시민들의 정치적 권리와 기회를 확대했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그는 혈연이나 신분이 아닌 지역 공동체를 기준으로 시민을 편성함으로써, 정치에서 배제되어 있던 보통 시민들에게 참여의 문을 열어주었다. 이로써 정치적 권리와 기회가 보다 균등하게 배분되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러한 클레이스테네스의 개혁은 아테네 민주주의 성립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받는다. 그의 개혁을 통해 아테네는 정치 참여의 폭을 크게 확대하고, 민주주의적 요소를 강화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오늘날 우리가 이해하는 민주주의의 기초를 마련한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라고 볼 수 있다.
2.1.3. 페리클레스와 아테네 민주정의 완성
페리클레스는 기원전 5세기 중반 아테네 민주정을 완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를 더욱 확대하고, 그들의 공공 업무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켰다. 특히 가난한 시민들이 정치에 참여할 수 있도록 수당 제도를 도입하였다. 이를 통해 민회나 법정에 참여하는 시민들에게 금전적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모든 계층의 남성 시민이 정치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체제를 완성하였다.
페리클레스의 가장 획기적인 개혁은 기원전 451년 부모 모두가 아테네 시민인 자녀에게 시민권을 부여하는 법안을 통과시킨 것이다. 이로써 모든 성인 남성에게 공직 참여의 기회가 주어졌고, 아테네 민주정은 전면적인 시민 정치 체제로 발전하게 되었다. 비록 여성, 노예, 외국인에 ...
참고 자료
철학의 이해, 2016.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설혜심, 소비의 역사, 휴머니스트, 2017.
허승욱, 환경경제 길라잡이, 도서출판 그린, 2004.
최원형, 세상은 보이지 않는 끈으로 연결되어 있다. 서울: 샘터사, 2016.
주성수, "시민참여, 자치권능, 심의민주주의 제도," 『경제와 사회』제 63 호, 2003.
이정호, 유현상, 박은미, 한길석 저, 철학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정주환 저, 그리스 민주정치와 선거제도 - 아테네 민주주의의 형성과 추첨제를 중심으로 -, 법학논총, 2016
정경실 저, 아테네 민회가 민주시민교육에 주는 함의, 한국교원대학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