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표준적인 된소리 현상과 표준적이지 않은 된소리 현상을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세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경음과 경음화 개념
1.2. 경음화 현상의 특징
2. 경음화 현상의 실태
2.1. 경음화 현상의 유형
2.1.1. 단어 내 경음화 현상
2.1.2. 구 영역 경음화 현상
2.2. 경음화 현상의 변화 추이
3. 경음화 현상의 배경
3.1. 사회적 환경 변화와 경음화
3.2. 의사소통의 효율성과 경음화
4. 경음화 현상의 전망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경음과 경음화 개념
경음은 된소리를 말하는데, 우리말에서 된소리는 ㄲ, ㄸ, ㅃ, ㅆ, ㅉ의 다섯 가지이다. 경음화란 예사소리였던 것이 된소리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평음(예사소리) ㄱ, ㄷ, ㅂ, ㅅ, ㅈ이 경음(된소리) ㄲ, ㄸ, ㅃ, ㅆ, ㅉ으로 바뀌는 것이다.
경음(된소리)은 목에 힘을 주고 있다가 터뜨리면 나는 소리이다. 목에 힘을 준다는 것은 코와 입으로 나가는 바람을 온전히 막아서 목 안의 압력을 높인다는 뜻이다. 그렇게 압력을 높여 ㄱ, ㄷ, ㅂ, ㅅ, ㅈ을 발음하면 이 소리들이 터지면서 경음(된소리)이 된다. 예를 들어 "국수[국쑤]", "학교[학꾜]", "닫다[닫따]", "업다[업따]"와 같이 된소리가 나는 것은, 된소리로 바뀌는 소리 앞에 있는 자음이 모두 코와 입을 막아서 소리를 내는 파열음(ㄱ, ㄷ, ㅂ)이기 때문이다. ㄱ, ㄷ, ㅂ 소리를 내려면 코와 입을 막아야 하고, 그렇게 하면 입 안의 압력이 자연히 높아지므로 다음 소리를 발음할 때 터지면서 그 소리를 된소리로 바꾸어 주는 것이다."
1.2. 경음화 현상의 특징
경음화 현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음화는 자음 앞에서 주로 발생한다. 평음(예사소리)이 경음(된소리)으로 바뀌는 것이 경음화의 핵심이며, 이는 자음 앞에서 자주 일어난다. 예를 들어 '국수[국쑤]', '학교[학꾜]', '닫다[닫따]', '업다[업따]' 등에서 파열음인 'ㄱ, ㄷ, ㅂ' 앞에서 경음화가 발생한다"
둘째, 경음화는 구 영역에서도 나타난다. 단어 내부에서의 경음화 현상 외에도 관형사형 어미 '-ㄹ' 다음에 결합되는 'ㄱ, ㄷ, ㅂ, ㅅ, ㅈ'이 경음화되는 등 구 영역에서도 경음화 현상이 관찰된다. 예를 들면 '할 것을[할꺼슬]', '갈 데가[갈떼가]', '할 바를[할빠를]' 등이 이에 해당한다"
셋째, 경음화는 규칙적인 현상이면서도 불규칙적인 면모를 지닌다. 표준발음법에 경음화 규칙이 제시되어 있지만, 동일한 환경에서도 경음화가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사이시옷 개재로 인한 경음화 등 예외적인 현상도 존재한다. 이처럼 경음화는 규칙과 예외가 혼재된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넷째, 경음화는 세대 간, 지역 간 차이를 보인다. 젊은 세대일수록,...
참고 자료
고영근 · 구본관(2008),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개론 강의 교안(2021), 배론원격평생교육원.
생활속의 맞춤법 이야기(2000), 성기지, 역락.
한글 맞춤법, 무엇이 문제인가?(1997) 이현복 외, 태학사
글쓰기를 위한 4천만의 국어책(2020), 이재성, 들녘
현대 국어의 경음화 현상에 대한 검토, 엄태수(1998), 국제어문 19권
이재성(2006), 글쓰기를 위한 4천만의 국어책, 들녘.
강선민(2012), 현대국어에서 나타나는 경음화 현상의 양상과 원인, 한양대학교 대학원.
<우리말이 바뀐다> ④ 발음이나 문법도 변한다, 연합뉴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1&aid=0004712536&sid1=001
국립국어원 한국어 어문 규범 표준어 규정, https://kornorms.korean.go.kr//regltn/regltnView.do#a
천재학습백과 초등 어휘의 달인, https://terms.naver.com/list.nhn?cid=58583&categoryId=58674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34805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배론원격평생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