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내가 겪은 성과 관련된 사건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주요 내용
2.1. 성과 관련된 의미있게 떠오르는 장면
2.2. '성과 관련된 의미있게 떠오르는 장면'에 대한 느낌과 생각
2.2.1. 해당 장면을 기억하며 느낀 바
2.2.2. 해당 장면에 대한 생각
2.3. 나의 성정체성, 성역할 태도, 성의식 분석
2.3.1. 생애발달을 기반으로 한 성정체성, 성역할 태도, 성의식 분석
2.3.2. '성과 관련된 의미있는 장면'과 나의 성 관련 요소 사이의 상관관계 탐색
2.4. 성북구 모녀 사건의 모녀가 겪은 어려움의 정신장애 증상론적 설명
2.5. 성북구 모녀 사건 재반복 방지의 사회적 태도와 노력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성은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욕구이자 삶의 요소로써 일상에 활기와 즐거움을 불어넣고, 쾌락을 통해 인간관계와 감정 공유 수준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사회 차원에서도 성 관련 요소들이 건강한 형태로 발전해야만 사회의 건전성과 통합성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제고될 수 있으므로 우리는 올바른 성이 무엇인지를 고찰하고 이를 확립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성 상담은 내담자와 사회 구성원들이 올바른 성을 확립할 수 있게 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기능하는데, 이는 영유아에서 노인에 이르기까지 넓은 범위의 생애주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접근법이므로 그 유용함이 매우 크다. 나는 지난 교과과정을 통해 효과적인 성 상담을 위해선 내담자가 인식하는 성에 관련된 인상 깊은 기억과 이것이 내담자의 성적 발달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지를 파악하는 과정이 꼭 필요함을 알게 되었으므로 이하의 본문에서는 관련 역량을 제고하고자 내가 삶을 살아오면서 처음으로 경험한 '성과 관련된 의미있게 떠오르는 장면'이 어떤 것인지를 기록하고, 그 장면에 대한 느낌과 생각을 서술한 뒤, 나의 생애발달에 비추어 현재 나의 성정체성, 성역할 태도, 성의식을 분석해보고 이것이 '성과 관련된 의미있게 떠오르는 장면'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탐색해보도록 하겠다.
2. 주요 내용
2.1. 성과 관련된 의미있게 떠오르는 장면
성과 관련된 의미있게 떠오르는 장면은 나의 9살 때 겪었던 경험이다. 당시 나는 매우 활발한 여자아이였고, 운동신경도 좋아 남자아이들과 어울려 축구나 농구 등의 운동을 종종 했다. 그러던 어느 날 운동을 하다가 원피스가 찢어지는 일이 일어났는데, 이를 계기로 나는 여자아이로서 겪는 불편함에 대해 부모님께 투덜거리며 남자아이처럼 머리를 짧게 자르고 싶다고 요구하였다. 부모님께서는 처음엔 말렸지만 결국 내가 고집을 꺾지 않자 내가 원하는 대로 옷을 사주고 머리를 이발해주셨다. 이후 학교에 간 나는 키득거리는 친구들의 모습과 선생님의 걱정스러운 표정을 목격해야 했고, 나와 함께 축구를 했던 남자아이들이 나를 놀리며 외면하는 모습에 견딜 수 없는 수치심과 슬픔을 느꼈다"..
2.2. '성과 관련된 의미있게 떠오르는 장면'에 대한 느낌과 생각
2.2.1. 해당 장면을 기억하며 느낀 바
나는 위에서 서술한 '성과 관련된 의미있게 떠오르는 장면'을 통해 아래와 같이 세 가지 느낌을 받았다.
첫째, 과거 성정체성을 벗어난 모습을 다른 사람에게 보임으로써 수치심을 느꼈는데, 나는 이 기억을 상기하면서 그때의 수치심을 오랜 시간이 지난 현재 다시 느끼게 되었다.
둘째, 당시 내가 성역할과 성정체성을 바꾸기 위해 했던 행동...
참고 자료
대구사이버대학교 성상담 강의노트
전석균, 『정신건강론』, 공동체, 2016.
브레이크뉴스, 박성원, “대구 북구 일가족 자살은 사회적 타살”,
http://www.breaknews.com/700906, 2019.12.27.
일요시사, 장지선, “‘돈 없어서’ 극단적 선택하는 가족들”,
http://www.ilyosi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447, 2019.12.31.
한겨레, 박현정, “주민센터도 갔었는데… 봉천동 모자 비극 못 막은 ‘복지의 벽’”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06221.html, 2019.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