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셰익스피어 연극을 통한 수형자 교화
1.1. 교정학 전공자의 관점에서 본 수형자 교화
교정학 전공자의 관점에서 본 수형자 교화는 수형자들을 악인이나 혐오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그들을 치료해야 할 환자 혹은 도덕과 윤리를 아직 배우지 못한 어린아이로 여기는 것이다. 이는 고전학파적이고 응보형주의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수형자들의 교화와 재사회화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교정학 전공자들은 수형자들의 불우한 가정환경과 부족한 교육 수준, 범죄 유발 요인들을 고려하여 이들을 단순히 범죄자가 아닌 치유와 교화의 대상으로 보고 있다. 그들은 수형자들이 겪은 어려움과 고통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자세로 접근하며, 이를 통해 수형자들이 진정한 반성과 자기 성찰의 기회를 갖도록 돕고자 한다.
특히 교정학 전공자들은 수형자들의 심리적, 감정적 변화에 주목하여 이들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책임감 있는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이끌어 나간다. 예를 들어 셰익스피어 작품을 활용한 수형자 교화 프로그램은 이들로 하여금 자신의 과거를 반성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갖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교정학 전공자들은 수형자들을 단순한 범죄자가 아닌 교화의 대상으로 보며, 이들의 심리적·정서적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진정한 재사회화를 이루어내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처벌이 아닌 수형자들의 인격 회복과 건강한 사회 복귀를 도모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2. 미국의 수형자 교화 프로그램
미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이미 수형자들의 교화를 위해 셰익스피어 연극을 활용하는 시도가 있었다. 문학 교수인 로라 베이츠는 그의 저서 "감옥에서 만난 자유, 셰익스피어"에서 이를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미국의 교정 당국은 일찍이 수형자들의 교정과 재사회화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셰익스피어 연극을 활용한 교화 프로그램이었다. 이는 수형자들이 셰익스피어 연극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갈등과 내면을 탐구함으로써 자신의 범죄와 삶을 성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 취지였다.
특히 미국 교도소 중 가장 엄중한 보안 시설인 슈퍼맥스 교정시설에서도 이러한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다. 베이츠 교수는 슈퍼맥스 시설의 독거수용자들에게 직접 셰익스피어 수업을 진행했는데, 이를 통해 수형자들이 자신의 과거와 현재를 깊이 있게 성찰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겪는 모습을 목격할 수 있었다.
대표적인 사례로 래리 뉴턴이라는 무기수의 변화를 들 수 있다. 베이츠 교수의 셰익스피어 수업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