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메틸레드의 변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실험 배경 및 목적
1.2. 실험법 종류
1.3. 실험 원리
2. 실험 방법
2.1. 실험기구 및 시약
2.2. 실험순서
3. 실험결과
3.1. 표정(역가 구하기)
3.2. 농도 계산
4. 결론 및 토의(고찰)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실험 배경 및 목적
실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대기오염물질은 입자상 물질과 가스상 물질로 나눌 수 있다. 입자상 물질로는 분진, 매연, 검댕 등의 고정입자가 있고 가스상 물질로는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등이 있다. 이 중 가스상 대기오염물질 즉, 굴뚝이나 자동차 배기가스 등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의 황산화물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이다.
이 시험기준은 연소 등에 따라 굴뚝 등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의 황산화물(SO2 +SO3)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시료를 과산화수소수에 흡수시켜 황산화물을 황산으로 만든 후 NaOH 용액으로 적정한다.
1.2. 실험법 종류
황산화물을 적정하기 위한 방법은 두 가지로 "침전적정법(아르세나조 Ⅲ법)"과 "중화적정법"이 있다. 이번 실험은 2. 중화적정법으로 진행되었다. "중화적정법"은 시료를 과산화수소수에 흡수시켜 황산화물을 황산으로 만든 후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적정하는 방법이다. 종말점의 색상은 자주색에서 녹색으로 변화하는 점을 나타낸다(이때의 pH는 5.4). 이 방법은 시료 20L를 흡수액에 통과시키고 이 액을 250ml로 희석하여 분석용 시료용액으로 할 때 전 황산화물의 농도가 250ppm 이상이고 다른 산성가스의 영향을 무시할 때 적용된다. 그러나 이번 실험은 미지시료가 없이 기존 황산용액 희석을 통해 실험을 해본 것이므로 직접 시료의 황산화물 농도를 측정한 것이 아닌 임의적으로 정한 황산화물 시료를 통해 알고 있는 농도를 측정해보는 실험이다.
1.3. 실험 원리
중화 적정 원리는 산 또는 염기의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농도를 알 수 없는 염기 또는 산을 적정함으로써 정량하는 방법이다."" 화학반응 중에서 중화반응은 매우 신속하게 진행되고, 산염기 지시약에 의해서 중화점을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산 또는 염기를 정량할 수 있다."" 바탕 적정 원리는 분석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용매에 표준 용액을 적정하여 용매 내의 반응성 물질의 양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 용매를 사용하는 적정 실험에서 "적정 오차"를 결정할 수 있다.""설파민산 용액으로 표정하는 이유는 아질산이온이 설파민산과 반응해서...
참고 자료
http://100.naver.com/100.nhn?docid=61758
http://100.naver.com/100.nhn?docid=113374
http://100.naver.com/100.nhn?docid=105069
http://www.nanohi.co.kr/bbs/board/cus_bbs/pH.PDF
http://mecasys.co.kr/kor/file/data/01/spectro_priciple.pdf
http://user.chollian.net/~jhjh01/chem2/5.html
http://cont2.edunet4u.net/~space113/indicator.htm
http://web.njit.edu/~grow/Methylred.pdf
일반화학실험 교과서 p143 ~ p150
고분자공학전공 설계/실험 자료실
https://polymer.kumoh.ac.kr/polymer/sub0603.do?mode=view&articleNo=325527&article.offset=0&articleLimit=10
만능 지시약
https://www.scienceall.com/%eb%a7%8c%eb%8a%a5%ec%a7%80%ec%8b%9c%ec%95%bduniversal-indicator/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285857&cid=60227&categoryId=60227
천연 지시약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888856&cid=40942&categoryId=32251
해리상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141786&cid=60266&categoryId=60266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06684&cid=50314&categoryId=50314
한국산업규격 (KS), KS I 2200, “연도가스의 오염물질 측정방법”, 산업표준심의회, (2014)
한국산업규격 (KS), KS M ISO 6353-3, “화학 분석용 시약 ㅡ 제3부 : 규격 ㅡ 제2집", 산업표준심의회, (1987)
9.3 JIS K 0103,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sulfur oxides in flue gas”,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committee, (2011)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배출가스 중 황산화물 (ES 01307.1) - 중화적정법
2022 대기환경기사.산업기사 실기, 서영민, 예문사, 2022.01.15
환경부, 보도-설명,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개정 위해 현장의 소리, 대기공학연구과, 조강남, 2020.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