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생약과 본초
1.1. 생약 및 생약학
1.1.1. 생약(Crude Drug)
생약(Crude Drug)은 자연으로부터 얻어지는 동물, 식물, 광물, 미생물 및 그 대사생성물을 의약품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간단히 가공한 것으로, 부패와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적당한 훈증제를 분무하는 등 본질이 변하지 않은 상태의 천연물을 의미한다.
생약은 유효성분을 추출하거나 제제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천연물이다. 생약의 범주에는 동물, 식물, 광물, 미생물 및 그 대사생성물이 포함된다. 이 중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한약 또는 본초는 한의약학적 이론에 따라 사용되는 생약을 의미한다. 또한 세계 각지의 토착의술에 근거한 전통민속약물도 생약에 포함된다.
생약은 자연 상태 그대로의 천연물이며, 가공과정이 간단하여 본질이 변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된다. 생약은 부패와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당한 훈증제를 분무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생약은 천연물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거나 제제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1.1.2. 생약학(Pharmacognosy)
생약학(Pharmacognosy)은 천연약물의 역사, 분포, 재배, 채집, 감별, 평가, 보관 그리고 약효성분 및 이용 등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다""
생약학은 사람이나 다른 동물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물질에 대하여 탐구하여 인간에게 유익한 천연 자원에 대해 활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좁은 의미에서 생약학은 생약의 감별, 평가, 성분, 약리, 이용, 제제화, 보관 등을 다루며, 넓은 의미로는 생약자원으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새로운 의약품의 개발 및 응용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분야이다""
생약학은 과거에는 서양산 생약만을 우선적으로 다루었으나, 현재는 동양의약의 우수성이 입증되면서 한약 또는 본초와 같은 동양 생약과 전통민속약물들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Pharmacognosy라는 용어는 "pharm(drug)"와 "cogn(knowledge)"의 합성어로, 약물에 대한 지식을 뜻한다""
1.1.3. 생약학의 발전 시기
생약학의 발전 시기는 다음과 같다.""
기원전 3~4세기경,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 사람들이 기록한 점토판(clay tablets)이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처방 문헌이다. 이는 생약에 관한 최초의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BC 1552년경 이집트에서 발견된 에버스 파피루스(Ebers Papyrus)는 당시 이집트 문명 시기의 생약과 처방전을 상세히 기록한 문헌으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의약 문헌 중 하나이다. 이 문헌에는 계피, 석류피, 히요스엽, 박하, 아라비아고무, 알로에, 아편, 꿀 등 오늘날에도 많이 사용되는 생약들이 기록되어 있다.""
A.D. 77~78년, 고대 그리스의 학자 디오스코리데스가 저술한 'De Materia Medica'는 약 1,500년 동안 약물학의 성서로 존재하며, 생약에 대한 주요 정보를 담고 있다.""
18세기에 이르러 식물학자 칼 리네우스가 이진법 명명법을 제시하면서 생약학 연구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19세기에는 양귀비에서 모르핀의 분리, 각종 알칼로이드의 분리 등 천연물 성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20세기에 들어서는 새로운 약효 검정법과 screening 기법의 개발, 천연물질을 일부 변형시켜 반합성 약물을 만드는 기술 등이 발전하면서 생약학 연구가 크게 진전되었다.""
이처럼 생약학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해왔다. 특히 최근에는 새로운 연구 기법과 분석 기술의 발달로 생약의 성분 규명, 약리 작용 검증, 품질 평가 등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
1.2. 생약의 특징과 연구 방법
1.2.1. 생약의 약효
생약의 약효는 생약 중에 함유된 특수한 성분이나 공통된 몇 개의 성분들만이 가지고 있는 약리활성에 의한 것이 아니라, 그 활성이 각기 다를 수도 있는 전체 활성성분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이다. 즉, 생약은 복합제로 투여되는 경우가 많아 처방의 구성, 투여량의 증감 및 조제의 방법에 따라 약효가 다르게 나타난다.
생약의 활성성분들은 대부분 생물종의 고유한 생합성 경로에 따라 생성되는데, 기원이 다르면 성분계열이 달라질 수 있고, 산지와 생육조건이 다르면 성분조성이나 함량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생약의 약효를 현대적인 약물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기는 어려운 점이 많다. 그러나 단일 화합물의 약리활성을 위주로 하는 현대의학에서도 생약에서 분리된 활성성분들은 신약의 창제를 위한 모델이나 합성의 선도화합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생약에서 얻어진 성분 중에는 작용의 확실성으로 인해 신약의 약리기전을 해명하는 대상 시료로 이용되기도 하며, 한약으로서의 활성성분은 현대 약물학의 미해결분야를 보완할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한다. 이에 새로운 치료영역의 개발 및 새로운 약리기전을 가지는 신약의 창제를 위한 가능성을 생약에서 찾고 있다.
예를 들어 paclita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