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주제 선정의 이유
투약은 질병의 회복과 예방,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인체에 의약품을 이용하는 방법이나, 이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경우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고 사망에 까지 이르게 할 수 있는 행위이다"" 한 과정에서라도 실수가 있다면, 바로 그 파장은 환자에게로 가고, 가볍게는 그냥 관찰 정도만 필요한 경우에서 심하면 사망에 이르기까지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의료인 자신도 윤리적, 법적인 책임을 지어야 한다"" 아무리 투약오류가 사소하더라도, 환자에게는 아주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투약오류의 예방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투약사고 사례를 학습해보고 투약사고를 대비해보고자 한다"".
1.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실제 임상에서 간호사의 처치와 관련하여 발생되는 의료사고로 주사와 관련된 것이많다.간호 업무 중 투약은 전체 간호 업무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투약이 간호사가 하는 업무의 30%이상을 차지하고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간호사가 직접 환자에게 투여한 경우가 대부분이다.간호사가 약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고 약물 투여 전후로 확인의 의무, 주의의 의무, 설명의 의무를 준수한다면 투약오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2. 본론
2.1. 투약(Medication)의 정의 및 종류
투약(Medication)이란 질병의 회복과 예방,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인체에 의약품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크게 경구투여와 비경구투여로 나누어진다." 경구투여는 약물을 구강으로 투여하여 위장계에서 흡수되며, 약물의 효과는 비교적 늦게 나타난다. 비경구투여에는 피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주사, 골주사, 심장내주사, 복강내주사, 척수내주사 등의 주사요법과 신체의 한 부위에 국소적인 효과를 위해 적용하는 방법으로 피부에 연고를 도포하거나 질내투여, 직장투여, 약물의 점적, 관장 등의 국소투여, 그리고 약제를 미립자로 분무하여 증기나 가스로 약물을 호흡기를 통해 흡수하게 하는 흡입투여 등이 있다." 약물의 흡수가 신속하고 정확하여 비경구투여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주사로서, 임상에서 투약사고는 주사로 인한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
2.2. 투약 시 간호사의 역할과 책임
2.2.1. 투약의 5가지 원칙
투약 시 간호사는 정확한 대상자, 정확한 약물, 정확한 용량, 정확한 경로, 정확한 시간을 확인하는 5가지 원칙을 지켜야 한다.
첫째, 정확한 대상자(Right Patient) 확인이다. 간호사는 환자 팔찌나 의무기록 카드를 확인하고 환자의 이름을 직접 불러서 환자를 확인해야 한다.
둘째, 정확한 약물(Right Drug) 확인이다. 간호사는 1차로 약장에서 약물을 꺼내기 전, 2차로 처방된 용량을 용기에서 확인할 때, 3차로 다시 약장에 보관할 때 약물을 확인해야 한다.
셋째, 정확한 용량(Right Dose) 확인이다. 처방전에 기록된 용량과 실제 투약하는 용량이 일치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넷째, 정확한 경로(Right Route) 확인이다. 약물이 IM, IV, SC, ID 등 어떤 경로로 투여되어야 하는지 확인하고 그에 맞게 투여해야 한다.
다섯째, 정확한 시간(Right Time) 확인이다. 처방된 시간에 맞춰 투약해야 하며, 투약 시간을 반드시 기록해야 한다.
이상 5가지 원칙을 철저히 지켜 투약 오류를 예방하는 것이 간호사의 핵심적인 역할이다.
2.2.2. 다양한 투약오류 유형
다양한 투약오류 유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투약의 불이행은 처방된 약물이 투여되지 않은 경우를 말한다""
둘째, 부적절한 용량의 투여는 처방된 약물보다 적거나 많은 양의 약물이 투여된 경우이다""
셋째, 처방 이외의 약물투여는 의사의 처방이 없는 약물을 투여한 경우를 의미한다""
넷째, 다른 제형의 약물투여는 처방된 약물을 다른 형태의 약물로 투여한 경우를 말한다""
다섯째, 투약시각 오류는 계획된 투약시간에 맞추어 투여하지 않은 경우이다""
여섯째, 투약경로 오류는 약물의 형태는 처방과 일치하나 다른 경로로 투약한 경우를 의미한다""
일곱째, 질 낮은 약물의 투여는 물리적, 화학적 손상 등으로 질이 떨어지는 약물을 투여한 경우를 말한다""
여덟째, 주입속도의 오류는 정맥 수액을 주입할 때 주입 속도를 잘못 맞춘 경우이다""
아홉째, 투여방법의 오류는 부적절한 방법으로 약물을 투여한 경우를 말한다""
열째, 약물 준비조작 오류는 약물 투여 전에 필요한 조작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이다""
열한째, 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