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I나 로봇이 가족상담을 대체할 수 있을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AI와 로봇의 가족치료 및 상담 대체 가능성
2.1. AI와 로봇은 가족치료 및 상담을 대신할 수 있다.
2.2. AI와 로봇은 가족치료 및 상담을 대신할 수 없다.
3. 4차 산업혁명과 사회복지현장
3.1. 4차 산업혁명과 사회복지현장 고용
3.2. 사회복지사의 업무 축소 및 스마트화
3.3. 관련 기술 도입의 현실성
4. 미래사회에서 사회복지사의 필요성
4.1. 기술 발전과 소외 계층의 보호
4.2. 고령화 사회와 노인 복지 서비스의 확대
4.3. 가족 구조 변화와 정신건강 문제
4.4. 빈곤 문제와 사회적 안전망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바야흐로 AI가 인간의 자리를 대체하는 시대이다. Chat GPT의 등장 이후로 사회의 많은 부분들이 인공지능이 인간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예술이나 상담처럼 기존에 인간이 해야만 한다고 여겨졌던 일들에도 변화가 생겼다. AI가 소설을 쓰고, 로봇이 인간을 대신하여 상담을 하게 되었다. 실제로 가장 유명한 AI 사이트인 Chat GPT에 자신의 고민을 털어놓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AI는 불필요한 말을 덧붙이지 않고, 필요한 말들을 적절한 길이로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런 AI 혹은 로봇이 어디까지 인간의 삶을 대체할 수 있을까. 이들이 가족 치료나 상담을 대신할 수도 있으며, 그렇게 된다면 그에 따른 찬반 의견은 어떻게 나뉠 수 있을까?""
2. AI와 로봇의 가족치료 및 상담 대체 가능성
AI와 로봇은 가족치료 및 상담을 대신할 수 있다. 하버드대학 심리학과의 존 와이즈 박사와 동료는 2020년에 『정신건강 서비스의 행정과 정책』 저널에 낸 논문에서 AI가 심리치료 분야에 미친 변화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그들에 따르면 우리 사회는 앞으로 다음과 같은 변화를 맞게 된다.
첫째, 이전까지는 지역 사회나 상담 센터 등에 가야만 접할 수 있던 정보를 이제는 쉽게 얻을 수 있다. 특정한 장소에 가야만 얻을 수 있던 정보를 특정한 사이트나 AI 기반의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한 장점이다. 특히 이동이 어렵거나, 시간을 내어 상담을 받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AI는 이 과정에서 정보처리와 요약, 기존의 데이터와 매칭하는 작업을 인간보다 훨씬 정교하고, 오류 없이, 더 많은 양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둘째, 인간 심리 치료자가 AI를 활용할 수 있다. 내담자 문제나 정보 중에 자신이 놓친 부분이 있는지, 내담자에게 맞는 치료 옵션에서 혹시 고려하지 못한 것은 없는지, 내담자에게 맞는 더 효과적인 심리치료 기법이 있는지, 실시하고 있는 치료가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내담자는 실제 도움을 받고 있는지를 AI를 활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AI가 보조적으로 활용된다면 내담자는 오류가 적은 상담을 받을 수 있을뿐더러 다양한 선택지를 가지게 될 수 있다. 상담을 받을 때 인간에게 받을지, AI에게 받을지, AI를 활용하는 인간에게 받을 수 있을지 등의 선택지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AI와 로봇이 인간 사회에 들어서면서 상담 자체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진 것은 분명한 장점이며, AI나 로봇이 상담을 대신할 수 있다는 주장의 근거가 될 수 있다.
2.1. AI와 로봇은 가족치료 및 상담을 대신할 수 있다.
하버드대학 심리학과의 존 와이즈 박사와 동료는 2020년에 『정신건강 서비스의 행정과 정책』이라는 저널에 낸 리뷰 논문에서 AI가 심리치료 분야에 미친 변화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그들은 우리 사회가 앞으로 다음과 같은 변화를 맞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첫 번째 변화는 이전까지는 지역 사회나 상담 센터 등에 가야만 접할 수 있던 정보를 이제는 쉽게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특정한 장소에 가야만 얻을 수 있던 정보를 특정한 사이트나 AI 기반의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은 분명한 장점으로 여겨진다. ...
참고 자료
최기홍, AI는 인간의 심리서비스를 대체할 수 있을까?, 내 삶의 심리학 mind, 2023.7.
http://www.min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322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18,「4차 산업혁명이 사회복지서비스 분야 인력시장에 미치는 영향.
이윤수, 2018,「4차 산업혁명의 과학기술을 적용하는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윤리와 가치」,『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제4호.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1028622.html
https://www.nocutnews.co.kr/news/5527482
https://www.dailyimpact.co.kr/news/articleView.html?idxno=86168
https://biz.chosun.com/policy/politics/2021/10/05/3XNOJVTAQJA67M2DJWIU2M63IM/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today/article/6399904_35752.html
https://www.segye.com/newsView/*************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