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결핵
1.1. 결핵이란
결핵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에 의한 만성 감염병으로 주로 폐에 감염을 일으켜 폐결핵이 결핵의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신장, 신경, 뼈 등 우리 몸 속 거의 대부분의 조직이나 장기에서 병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질병은 활동성결핵 환자로부터 나온 결핵균이 포함된 미세한 침방울에 의해 감염되며, 결핵균이 공중으로 떠돌아다니다 주위 사람들이 숨을 들이쉴 때 공기와 함께 폐 속으로 들어가 감염이 이루어지게 된다. 결핵의 전염을 막는 방법 중 가장 중요하고 효과적인 방법은 빠른 진단과 발견된 환자가 끝까지 치료를 잘 받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2. 결핵의 감염
결핵은 주로 활동성결핵 환자로부터 나온 결핵균이 포함된 미세한 침방울에 의해 감염된다. 침방울의 크기는 매우 작아 몸 밖으로 나오자마자 수분이 증발해 결핵균만이 공중으로 떠돌아다니다 주위 사람들이 숨을 들이쉴 때 공기와 함께 폐 속으로 들어가 감염이 이루어지게 된다. 결핵은 호흡기를 통해 공기 중으로 전파되는데, 활동성폐결핵 환자의 기침, 재채기, 말하기 등의 행위에 의해 발생한 작은 침방울(droplet nuclei)이 공기 중에 부유하다가 타인의 폐로 들어가면 감염된다. 이러한 결핵균이 포함된 침방울의 크기는 매우 작아 눈에 보이지 않으며, 공기 중에 오래 부유할 수 있어 여러 사람이 같은 공간에 있으면 감염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핵 예방을 위해서는 활동성 결핵 환자에 대한 조기 발견과 함께 환자의 격리와 적절한 치료가 가장 중요하다.
1.3. 국내 결핵 현황
국내 결핵 현황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2020년 전 세계 215개국 중 대한민국의 결핵 발생 현황은 95위를 기록했으며, OECD 38개국 중에서는 1위를 차지했다. 구체적으로 2020년 우리나라의 결핵 발생률은 10만 명당 49.4명으로, 전년대비 16.9% 감소했으나 여전히 매우 높은 수준이다. 결핵 사망자 수도 2천 명으로, 2020년 국내 법정감염병 중 최다 사망을 기록했다. 특히 저소득 및 취약계층의 결핵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열악한 생활환경과 의료접근성 부족 등이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정부는 취약계층 결핵환자 지원사업 등을 통해 감염 관리와 치료 접근성 제고에 힘쓰고 있으나, 여전히 지역 간 격차와 요양시설 부족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은 실정이다."
2. 국내 결핵 관련 정책 및 법규
2.1. 국내 결핵 관련 정책
국내 결핵 관련 정책은 환자 관리 사업,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사업 등이 있다""
결핵 관리를 위해 정부는 취약계층 결핵환자 지원사업, 결핵 요양 시설 운영 등을 시행하고 있다"" 정부는 취약계층 결핵환자에게 치료비, 후송비, 간병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결핵 전파를 예방하고자 한다"" 또한 결핵전담간호사를 통해 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