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nrose drain

  • 1
  • 2
  • 3
  • 4
  • 5
  • 6
>
최초 생성일 2024.11.03
4,7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penrose drain"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배액관의 정의와 목적
1.1. 배액관의 정의
1.2. 배액관의 목적

2. 배액관의 종류
2.1. Penrose drain(개방형)
2.2. T-tube(개방형)
2.3. Hemovac(폐쇄형)
2.4. JP drain(bulb drain)(폐쇄형)
2.5. Chest tube(흉관배액관)

3. 배액관 관리
3.1. Penrose drain 관리
3.2. T-tube 관리
3.3. Hemovac 관리
3.4. JP drain 관리
3.5. Chest tube 관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배액관의 정의와 목적
1.1. 배액관의 정의

배액관이란 상처로부터 액체(삼출물)가 흘러나오도록 하기 위하여 삽입된 관을 의미한다."


1.2. 배액관의 목적

배액관의 목적은 수술 후 상처의 분비물 배액을 위해서, 체내에 고여 있는 분비물 배액을 위해서, 수술 및 시술 후 분비물의 배액과 출혈을 관찰하기 위해서이다. 배액관은 상처로부터 액체(삼출물)가 흘러나오도록 하기 위하여 삽입된 관으로, 수술 후 부종이나 통증, 감염 등을 일으키는 혈액, 혈장, 조직의 파편들을 환부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상처 치유 기간을 단축시키고 감염 위험을 줄일 수 있다.


2. 배액관의 종류
2.1. Penrose drain(개방형)

Penrose drain(개방형)은 납작하고 유연한 고무,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제품으로, 과다한 장액성 삼출액과 화농성 삼출액을 배액하여 근본조직의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처 옆쪽을 절개하여 배액관을 주입한 후, 배액관 끝 부위에 안전핀을 꽂아 상처 내부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Penrose drain은 주로 복부수술, 농양절개 후 배농 목적으로 사용되며, 피하조직의 혈액이나 혈청 배액으로 회복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량의 배액이 필요하지만 굳이 흡인(suction)을 할 필요가 없을 때 적용된다. 초기에는 드레싱이 자주 젖어 환자가 불편해 할 수 있으므로 자주 교환해 주어야 한다. 배액관 삽입 부위에 안전핀을 꽂아 상처 내부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


2.2. T-tube(개방형)

T-tube(개방형)는 담낭절제술이나 담도수술 후 총담관에 삽입하여 담즙 배출과 상처 치유를 돕는 배액관이다. 담낭 및 담도 수술 후, 간내 결석, 다발성 총담관결석, 담도암 등으로 인한 총담관의 폐색이 의심될 때 사용된다.

T-tube는 절개상을 통해 삽입되며, 몸 밖으로 나온 부분은 배액주머니와 연결된다. 담즙은 주머니로 배출되며, 담즙배출과 상처 치유를 돕는다. T-tube는 장기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조직반응을 적게 나타내며 탈락의 위험이 높다.

시술 후 간호로는 먼저 담즙주머니를 항상 상처 부위보다 낮게 유지하고 운동 시에는 주머니를 대퇴부에 고정한다. 상처부위와 튜브의 상태, 통증, 감염 증상을 관찰하며, 튜브가 꼬이거나 막히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튜브 주위 피부를 매일 소독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며, 출혈이나 담즙 유출을 관찰한다. 또한 담즙의 양과 색깔을 확인하고 주머니를 비워주며 매일 배액량을 기록한다. 환자와 보호자에게 튜브 및 피부 관리, 주머니 관리, 배액량 측정, 합병증 증상에 대해 교육한다.


2.3. Hemovac(폐쇄형)

Hemov...


참고 자료

조경숙 외, 제6판 성인간호학 상(2016), 현문사
강현숙 외 근거기반 기본간호학 상(2014), 수문사,281~282
대한간호협회 Nurselife 간호실무-기본간호-배액관 관리
황옥남 외(2018).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송경애 외(2017). 최신 기본간호학 II. 수문사
이동숙 외(2018). 기본간호학. 메디컬사이언스
고일선 외(2013). 기본간호학 2. 정담미디어·학지사
양선희 외(2018). 기본간호학 2. 현문사
강현숙 외 (2014), 근거기반 기본간호학 상, 수문사
김성근. 배액관의 종류와 올바른 관리. 2009
Hemovac Drain Care. drugs.com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USA), Clinical Center, "How to Care for the Jackson-Pratt Drai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세브란스병원 검사/치료정보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